대기물질 분석…“방사성 물질 검출 안 돼”

입력 2017.09.06 (12:07) 수정 2017.09.06 (12: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핵실험 성격을 규명할 대기 물질에 대한 분석작업이 진행되고 있는데요,

현재까지 시료를 채집해 분석한 결과 방사성 물질은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이용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어제 육군헬기를 이용해 북한 풍계리와 가까운 동해상에서 포집한 대기물질을 건네받아 정밀 계측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0시간 가량 진행된 분석에서 핵실험을 확증할 수 있는 방사성 물질 제논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수소탄 실험을 규명할 수 있는 헬륨과 리튬 등과 같은 어떠한 방사성 핵종도 탐지되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동해안에 설치된 고정식 장비와 항공기를 이용해 포집한 시료도 함께 분석했지만 역시 방사성 핵종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당초 6차 핵실험 이후 지반이 함몰돼 암반에 균열이 생겼고 상당량의 방사능 물질이 갱도 밖으로 나왔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하지만 바람이 북쪽으로 불면서 방사성 물질 시료 채집에 실패한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원자력안전기술원에는 분석을 마친 1차 시료 외에 해상 포집 2차와 3차 시료가 전달돼 분석작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한편 우리 정부는 전국의 환경방사선 수치가 평상시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북한 핵실험에 의한 환경방사선 영향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용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기물질 분석…“방사성 물질 검출 안 돼”
    • 입력 2017-09-06 12:09:52
    • 수정2017-09-06 12:11:58
    뉴스 12
<앵커 멘트>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핵실험 성격을 규명할 대기 물질에 대한 분석작업이 진행되고 있는데요,

현재까지 시료를 채집해 분석한 결과 방사성 물질은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이용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어제 육군헬기를 이용해 북한 풍계리와 가까운 동해상에서 포집한 대기물질을 건네받아 정밀 계측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0시간 가량 진행된 분석에서 핵실험을 확증할 수 있는 방사성 물질 제논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수소탄 실험을 규명할 수 있는 헬륨과 리튬 등과 같은 어떠한 방사성 핵종도 탐지되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동해안에 설치된 고정식 장비와 항공기를 이용해 포집한 시료도 함께 분석했지만 역시 방사성 핵종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당초 6차 핵실험 이후 지반이 함몰돼 암반에 균열이 생겼고 상당량의 방사능 물질이 갱도 밖으로 나왔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하지만 바람이 북쪽으로 불면서 방사성 물질 시료 채집에 실패한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원자력안전기술원에는 분석을 마친 1차 시료 외에 해상 포집 2차와 3차 시료가 전달돼 분석작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한편 우리 정부는 전국의 환경방사선 수치가 평상시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북한 핵실험에 의한 환경방사선 영향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용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