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무기 20기 이상”…핵탄두 소형화 박차
입력 2017.09.15 (07:39)
수정 2017.09.15 (08: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대륙간 탄도미사일 개발의 궁극적인 목표는 핵탄두를 장착해 쏘는 건데요.
북한은 이미 핵무기를 20기 이상 만들 수 있는 핵물질을 보유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 등을 통해 핵탄두 소형화 기술도 상당 수준 축적한 것으로 보입니다.
최영윤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한은 3차 핵실험 직후 재가동에 들어간 영변 원자로에서 핵무기를 만드는 데 쓰는 플루토늄을 추출해 왔습니다.
군 당국은 북한이 지난해(2016) 말 기준으로 50kg 가량의 플루토늄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녹취> 문상균(국방부 대변인) : "영변 5MW 원자로 가동 이후에 재처리라든가 핵실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10kg 증가한 50여 kg으로 추정됩니다."
플루토늄 4~6kg 가량으로 1기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만큼 이미 10개 안팎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더해 북한은 지난 2010년, 연간 1~2개의 핵무기용 고농축 우라늄 생산이 가능한 원심분리기를 공개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를 근거로 북한이 최대 20개 이상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관건은 실전 배치가 가능한 수준이냐는 것, 즉 미사일에 실어서 쏠 수 있을 만큼 소형화, 경량화에 성공했느냐입니다.
북한의 주력 미사일인 스커드-B에 탑재하는 것을 기준으로 직경 90cm, 중량 1톤 이내로 만들면 소형화, 경량화에 성공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북한이 거듭된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를 통해 소형화, 경량화 목표에 다가서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KBS 뉴스 최영윤입니다.
대륙간 탄도미사일 개발의 궁극적인 목표는 핵탄두를 장착해 쏘는 건데요.
북한은 이미 핵무기를 20기 이상 만들 수 있는 핵물질을 보유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 등을 통해 핵탄두 소형화 기술도 상당 수준 축적한 것으로 보입니다.
최영윤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한은 3차 핵실험 직후 재가동에 들어간 영변 원자로에서 핵무기를 만드는 데 쓰는 플루토늄을 추출해 왔습니다.
군 당국은 북한이 지난해(2016) 말 기준으로 50kg 가량의 플루토늄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녹취> 문상균(국방부 대변인) : "영변 5MW 원자로 가동 이후에 재처리라든가 핵실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10kg 증가한 50여 kg으로 추정됩니다."
플루토늄 4~6kg 가량으로 1기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만큼 이미 10개 안팎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더해 북한은 지난 2010년, 연간 1~2개의 핵무기용 고농축 우라늄 생산이 가능한 원심분리기를 공개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를 근거로 북한이 최대 20개 이상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관건은 실전 배치가 가능한 수준이냐는 것, 즉 미사일에 실어서 쏠 수 있을 만큼 소형화, 경량화에 성공했느냐입니다.
북한의 주력 미사일인 스커드-B에 탑재하는 것을 기준으로 직경 90cm, 중량 1톤 이내로 만들면 소형화, 경량화에 성공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북한이 거듭된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를 통해 소형화, 경량화 목표에 다가서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KBS 뉴스 최영윤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北 핵무기 20기 이상”…핵탄두 소형화 박차
-
- 입력 2017-09-15 07:46:28
- 수정2017-09-15 08:09:09

<앵커 멘트>
대륙간 탄도미사일 개발의 궁극적인 목표는 핵탄두를 장착해 쏘는 건데요.
북한은 이미 핵무기를 20기 이상 만들 수 있는 핵물질을 보유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 등을 통해 핵탄두 소형화 기술도 상당 수준 축적한 것으로 보입니다.
최영윤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한은 3차 핵실험 직후 재가동에 들어간 영변 원자로에서 핵무기를 만드는 데 쓰는 플루토늄을 추출해 왔습니다.
군 당국은 북한이 지난해(2016) 말 기준으로 50kg 가량의 플루토늄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녹취> 문상균(국방부 대변인) : "영변 5MW 원자로 가동 이후에 재처리라든가 핵실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10kg 증가한 50여 kg으로 추정됩니다."
플루토늄 4~6kg 가량으로 1기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만큼 이미 10개 안팎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더해 북한은 지난 2010년, 연간 1~2개의 핵무기용 고농축 우라늄 생산이 가능한 원심분리기를 공개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를 근거로 북한이 최대 20개 이상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관건은 실전 배치가 가능한 수준이냐는 것, 즉 미사일에 실어서 쏠 수 있을 만큼 소형화, 경량화에 성공했느냐입니다.
북한의 주력 미사일인 스커드-B에 탑재하는 것을 기준으로 직경 90cm, 중량 1톤 이내로 만들면 소형화, 경량화에 성공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북한이 거듭된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를 통해 소형화, 경량화 목표에 다가서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KBS 뉴스 최영윤입니다.
대륙간 탄도미사일 개발의 궁극적인 목표는 핵탄두를 장착해 쏘는 건데요.
북한은 이미 핵무기를 20기 이상 만들 수 있는 핵물질을 보유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 등을 통해 핵탄두 소형화 기술도 상당 수준 축적한 것으로 보입니다.
최영윤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한은 3차 핵실험 직후 재가동에 들어간 영변 원자로에서 핵무기를 만드는 데 쓰는 플루토늄을 추출해 왔습니다.
군 당국은 북한이 지난해(2016) 말 기준으로 50kg 가량의 플루토늄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녹취> 문상균(국방부 대변인) : "영변 5MW 원자로 가동 이후에 재처리라든가 핵실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10kg 증가한 50여 kg으로 추정됩니다."
플루토늄 4~6kg 가량으로 1기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만큼 이미 10개 안팎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더해 북한은 지난 2010년, 연간 1~2개의 핵무기용 고농축 우라늄 생산이 가능한 원심분리기를 공개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를 근거로 북한이 최대 20개 이상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관건은 실전 배치가 가능한 수준이냐는 것, 즉 미사일에 실어서 쏠 수 있을 만큼 소형화, 경량화에 성공했느냐입니다.
북한의 주력 미사일인 스커드-B에 탑재하는 것을 기준으로 직경 90cm, 중량 1톤 이내로 만들면 소형화, 경량화에 성공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북한이 거듭된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를 통해 소형화, 경량화 목표에 다가서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KBS 뉴스 최영윤입니다.
-
-
최영윤 기자 freeyaw@kbs.co.kr
최영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북한 6차 핵실험 이어 미사일 발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