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선포 120주년’…황실 연회 음식 재현
입력 2017.10.12 (06:55)
수정 2017.10.12 (07: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난 1897년 10월에 조선이 대한제국을 선포했는데요, 올해가 꼭 120주년이 됩니다.
잊혀진 대한제국 역사 복원 프로그램의 하나로 대한제국 황실의 연회음식이 재현됐습니다.
신강문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호텔 조리실에서 평소 보기 힘든 진귀한 음식들을 만들고 있습니다.
대한제국 황실 연회때 식탁에 올렸던 서양식 요리입니다.
이렇게 조리된 음식들이 외국 공사를 접견하던 연회장에 옛 모습 그대로 선보였습니다.
푸아그라 파테, 안심 송로버섯구이, 꿩가슴살 포도 요리 등 정통 프랑스식 12가지 코스 만찬입니다.
당시 음식을 재현하기 위해 조리사들은 19세기 프랑스 음식 서적을 연구하고, 국립고궁박물관의 유물들도 활용했습니다.
<인터뷰> 유재덕(신세계조선호텔 메뉴개발 주방장) : "케이크 틀과 아이스크림을 만들 수 있는 수동 기계가 (국립고궁박물관에) 남아있더라고요, 그러한 것들을 참고해서..."
대한제국이 프랑스식 연회를 한 것은 당시 국제사회 외교 전례에 따라 황제국가로서 위상을 과시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손정우(배화여대 교수) "대등한 국제관계를 유지하고 또 자주국가의 위상을 표상하기 위해서 연회식 상차림을 서양식으로 베풀었습니다."
올해 대한제국 선포 120주년을 맞아 문화당국은 잊혀진 문화와 역사를 되살리는 다채로운 시도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KBS 뉴스 신강문입니다.
지난 1897년 10월에 조선이 대한제국을 선포했는데요, 올해가 꼭 120주년이 됩니다.
잊혀진 대한제국 역사 복원 프로그램의 하나로 대한제국 황실의 연회음식이 재현됐습니다.
신강문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호텔 조리실에서 평소 보기 힘든 진귀한 음식들을 만들고 있습니다.
대한제국 황실 연회때 식탁에 올렸던 서양식 요리입니다.
이렇게 조리된 음식들이 외국 공사를 접견하던 연회장에 옛 모습 그대로 선보였습니다.
푸아그라 파테, 안심 송로버섯구이, 꿩가슴살 포도 요리 등 정통 프랑스식 12가지 코스 만찬입니다.
당시 음식을 재현하기 위해 조리사들은 19세기 프랑스 음식 서적을 연구하고, 국립고궁박물관의 유물들도 활용했습니다.
<인터뷰> 유재덕(신세계조선호텔 메뉴개발 주방장) : "케이크 틀과 아이스크림을 만들 수 있는 수동 기계가 (국립고궁박물관에) 남아있더라고요, 그러한 것들을 참고해서..."
대한제국이 프랑스식 연회를 한 것은 당시 국제사회 외교 전례에 따라 황제국가로서 위상을 과시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손정우(배화여대 교수) "대등한 국제관계를 유지하고 또 자주국가의 위상을 표상하기 위해서 연회식 상차림을 서양식으로 베풀었습니다."
올해 대한제국 선포 120주년을 맞아 문화당국은 잊혀진 문화와 역사를 되살리는 다채로운 시도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KBS 뉴스 신강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한제국 선포 120주년’…황실 연회 음식 재현
-
- 입력 2017-10-12 07:09:09
- 수정2017-10-12 07:18:29

<앵커 멘트>
지난 1897년 10월에 조선이 대한제국을 선포했는데요, 올해가 꼭 120주년이 됩니다.
잊혀진 대한제국 역사 복원 프로그램의 하나로 대한제국 황실의 연회음식이 재현됐습니다.
신강문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호텔 조리실에서 평소 보기 힘든 진귀한 음식들을 만들고 있습니다.
대한제국 황실 연회때 식탁에 올렸던 서양식 요리입니다.
이렇게 조리된 음식들이 외국 공사를 접견하던 연회장에 옛 모습 그대로 선보였습니다.
푸아그라 파테, 안심 송로버섯구이, 꿩가슴살 포도 요리 등 정통 프랑스식 12가지 코스 만찬입니다.
당시 음식을 재현하기 위해 조리사들은 19세기 프랑스 음식 서적을 연구하고, 국립고궁박물관의 유물들도 활용했습니다.
<인터뷰> 유재덕(신세계조선호텔 메뉴개발 주방장) : "케이크 틀과 아이스크림을 만들 수 있는 수동 기계가 (국립고궁박물관에) 남아있더라고요, 그러한 것들을 참고해서..."
대한제국이 프랑스식 연회를 한 것은 당시 국제사회 외교 전례에 따라 황제국가로서 위상을 과시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손정우(배화여대 교수) "대등한 국제관계를 유지하고 또 자주국가의 위상을 표상하기 위해서 연회식 상차림을 서양식으로 베풀었습니다."
올해 대한제국 선포 120주년을 맞아 문화당국은 잊혀진 문화와 역사를 되살리는 다채로운 시도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KBS 뉴스 신강문입니다.
지난 1897년 10월에 조선이 대한제국을 선포했는데요, 올해가 꼭 120주년이 됩니다.
잊혀진 대한제국 역사 복원 프로그램의 하나로 대한제국 황실의 연회음식이 재현됐습니다.
신강문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호텔 조리실에서 평소 보기 힘든 진귀한 음식들을 만들고 있습니다.
대한제국 황실 연회때 식탁에 올렸던 서양식 요리입니다.
이렇게 조리된 음식들이 외국 공사를 접견하던 연회장에 옛 모습 그대로 선보였습니다.
푸아그라 파테, 안심 송로버섯구이, 꿩가슴살 포도 요리 등 정통 프랑스식 12가지 코스 만찬입니다.
당시 음식을 재현하기 위해 조리사들은 19세기 프랑스 음식 서적을 연구하고, 국립고궁박물관의 유물들도 활용했습니다.
<인터뷰> 유재덕(신세계조선호텔 메뉴개발 주방장) : "케이크 틀과 아이스크림을 만들 수 있는 수동 기계가 (국립고궁박물관에) 남아있더라고요, 그러한 것들을 참고해서..."
대한제국이 프랑스식 연회를 한 것은 당시 국제사회 외교 전례에 따라 황제국가로서 위상을 과시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손정우(배화여대 교수) "대등한 국제관계를 유지하고 또 자주국가의 위상을 표상하기 위해서 연회식 상차림을 서양식으로 베풀었습니다."
올해 대한제국 선포 120주년을 맞아 문화당국은 잊혀진 문화와 역사를 되살리는 다채로운 시도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KBS 뉴스 신강문입니다.
-
-
신강문 기자 kmshin@kbs.co.kr
신강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