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모기에 모기약·모기장 매출 급증

입력 2017.10.12 (07:26) 수정 2017.10.12 (07: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때 아닌 가을 모기가 기승을 부리면서 관련 제품의 매출이 크게 늘었다고 합니다.

생활경제 소식 김현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마트 집계 결과 지난달 1일부터 지난 9일까지 모기약 매출액은 11억 3천 4백 만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이상 증가했습니다.

모기장 매출도 160% 이상 급증했습니다.

가을철 모기가 기승을 부리는 이유는 올해 잦았던 국지성 호우로 물웅덩이가 늘어난데다 가을 늦더위까지 이어지면서 모기가 서식하기 좋은 조건이 형성됐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중국의 이른바 사드보복이 본격화한 지 반년만에 대 중국 농식품 수출이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농식품부는 9월 한달간 대 중국 농식품 수출이 1억 8백만 달러로 1년 전에 비해 1.1%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3월 대중국 농식품 수출이 마이너스로 돌아선 뒤 감소세가 지속되다 6개월만에 다시 반등했습니다.

인삼과 라면 수출이 호조를 보인 게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독일 알리안츠 그룹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국민 1인당 순금융자산은 약 3천 7백여 만원으로 53개국 중 22위를 기록했습니다.

순 금융자산은 현금과 예금 보험 주식 등 전체 금융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으로 우리나라는 2015년 21위에서 한 계단 내려왔습니다.

국내 총생산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우리나라가 아시아 국가 가운데 가장 높아 우려되는 면이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을 모기에 모기약·모기장 매출 급증
    • 입력 2017-10-12 07:28:57
    • 수정2017-10-12 07:51:24
    뉴스광장
<앵커 멘트>

때 아닌 가을 모기가 기승을 부리면서 관련 제품의 매출이 크게 늘었다고 합니다.

생활경제 소식 김현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마트 집계 결과 지난달 1일부터 지난 9일까지 모기약 매출액은 11억 3천 4백 만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이상 증가했습니다.

모기장 매출도 160% 이상 급증했습니다.

가을철 모기가 기승을 부리는 이유는 올해 잦았던 국지성 호우로 물웅덩이가 늘어난데다 가을 늦더위까지 이어지면서 모기가 서식하기 좋은 조건이 형성됐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중국의 이른바 사드보복이 본격화한 지 반년만에 대 중국 농식품 수출이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농식품부는 9월 한달간 대 중국 농식품 수출이 1억 8백만 달러로 1년 전에 비해 1.1%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3월 대중국 농식품 수출이 마이너스로 돌아선 뒤 감소세가 지속되다 6개월만에 다시 반등했습니다.

인삼과 라면 수출이 호조를 보인 게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독일 알리안츠 그룹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국민 1인당 순금융자산은 약 3천 7백여 만원으로 53개국 중 22위를 기록했습니다.

순 금융자산은 현금과 예금 보험 주식 등 전체 금융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으로 우리나라는 2015년 21위에서 한 계단 내려왔습니다.

국내 총생산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우리나라가 아시아 국가 가운데 가장 높아 우려되는 면이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