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와 생활정보] ‘가을모기’ 극성…언제쯤 사라지나
입력 2017.10.12 (07:28)
수정 2017.10.12 (07: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처서가 지나면 모기 입이 삐뚤어진다'라는 속담이 있지만 여름철에 자취를 감추듯 했던 모기가 오히려 가을에 더 많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강아랑 기상캐스터와 함께 날씨와 관련된 생활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강 캐스터, 모기가 이제서야 불청객 역할을 하고 있는 건 기후 변화에 따른 현상이겠죠?
<리포트>
네, 가을철에 모기가 찾아오는건 지구 온난화와 관계가 깊습니다.
이제 여름보다는 가을철의 환경이 모기가 서식하기에 적합해졌습니다.
주로 모기가 활동하는 적정 온도는 24도에서 28도인데요.
올 가을, 늦 더위가 이어지면서 한낮엔 25도 안팎을 오르내려 모기가 자라기 쉬웠습니다.
늦 여름에 국지성 호우가 이어져 가을철에 모기가 성장할 수 있는 웅덩이가 많이 만들어진 것도 모기가 기승을 부리는 데 한 몫을 하죠.
날씨가 서늘해 지면서 실내에 난방을 하는 곳이 있죠.
온도와 습도가 높아져 모기가 서식하기 좋은 조건이 됩니다.
모기가 사라지기 시작한다는 처서 절기는 8월 23일이었는데요.
달력이 두번 넘어간 지금도 모기와의 전쟁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모기는 아침 기온이 10도 이하로 떨어질때까지 알을 낳기 때문에 당분간은 끈질긴 모기와 만날일이 더 있겠죠.
또, 일본 뇌염을 일으켜 방역작업이 한창인 작은 빨간집 모기도 오히려 요즘같은 가을에 말썽을 부리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모기 퇴치를 위해 씽크대나 화장실에 배수 구멍을 막고, 실내 환경이 너무 습하지 않도록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날씨와 생활 정보였습니다.
'처서가 지나면 모기 입이 삐뚤어진다'라는 속담이 있지만 여름철에 자취를 감추듯 했던 모기가 오히려 가을에 더 많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강아랑 기상캐스터와 함께 날씨와 관련된 생활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강 캐스터, 모기가 이제서야 불청객 역할을 하고 있는 건 기후 변화에 따른 현상이겠죠?
<리포트>
네, 가을철에 모기가 찾아오는건 지구 온난화와 관계가 깊습니다.
이제 여름보다는 가을철의 환경이 모기가 서식하기에 적합해졌습니다.
주로 모기가 활동하는 적정 온도는 24도에서 28도인데요.
올 가을, 늦 더위가 이어지면서 한낮엔 25도 안팎을 오르내려 모기가 자라기 쉬웠습니다.
늦 여름에 국지성 호우가 이어져 가을철에 모기가 성장할 수 있는 웅덩이가 많이 만들어진 것도 모기가 기승을 부리는 데 한 몫을 하죠.
날씨가 서늘해 지면서 실내에 난방을 하는 곳이 있죠.
온도와 습도가 높아져 모기가 서식하기 좋은 조건이 됩니다.
모기가 사라지기 시작한다는 처서 절기는 8월 23일이었는데요.
달력이 두번 넘어간 지금도 모기와의 전쟁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모기는 아침 기온이 10도 이하로 떨어질때까지 알을 낳기 때문에 당분간은 끈질긴 모기와 만날일이 더 있겠죠.
또, 일본 뇌염을 일으켜 방역작업이 한창인 작은 빨간집 모기도 오히려 요즘같은 가을에 말썽을 부리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모기 퇴치를 위해 씽크대나 화장실에 배수 구멍을 막고, 실내 환경이 너무 습하지 않도록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날씨와 생활 정보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날씨와 생활정보] ‘가을모기’ 극성…언제쯤 사라지나
-
- 입력 2017-10-12 07:30:35
- 수정2017-10-12 07:51:25

<앵커 멘트>
'처서가 지나면 모기 입이 삐뚤어진다'라는 속담이 있지만 여름철에 자취를 감추듯 했던 모기가 오히려 가을에 더 많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강아랑 기상캐스터와 함께 날씨와 관련된 생활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강 캐스터, 모기가 이제서야 불청객 역할을 하고 있는 건 기후 변화에 따른 현상이겠죠?
<리포트>
네, 가을철에 모기가 찾아오는건 지구 온난화와 관계가 깊습니다.
이제 여름보다는 가을철의 환경이 모기가 서식하기에 적합해졌습니다.
주로 모기가 활동하는 적정 온도는 24도에서 28도인데요.
올 가을, 늦 더위가 이어지면서 한낮엔 25도 안팎을 오르내려 모기가 자라기 쉬웠습니다.
늦 여름에 국지성 호우가 이어져 가을철에 모기가 성장할 수 있는 웅덩이가 많이 만들어진 것도 모기가 기승을 부리는 데 한 몫을 하죠.
날씨가 서늘해 지면서 실내에 난방을 하는 곳이 있죠.
온도와 습도가 높아져 모기가 서식하기 좋은 조건이 됩니다.
모기가 사라지기 시작한다는 처서 절기는 8월 23일이었는데요.
달력이 두번 넘어간 지금도 모기와의 전쟁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모기는 아침 기온이 10도 이하로 떨어질때까지 알을 낳기 때문에 당분간은 끈질긴 모기와 만날일이 더 있겠죠.
또, 일본 뇌염을 일으켜 방역작업이 한창인 작은 빨간집 모기도 오히려 요즘같은 가을에 말썽을 부리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모기 퇴치를 위해 씽크대나 화장실에 배수 구멍을 막고, 실내 환경이 너무 습하지 않도록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날씨와 생활 정보였습니다.
'처서가 지나면 모기 입이 삐뚤어진다'라는 속담이 있지만 여름철에 자취를 감추듯 했던 모기가 오히려 가을에 더 많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강아랑 기상캐스터와 함께 날씨와 관련된 생활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강 캐스터, 모기가 이제서야 불청객 역할을 하고 있는 건 기후 변화에 따른 현상이겠죠?
<리포트>
네, 가을철에 모기가 찾아오는건 지구 온난화와 관계가 깊습니다.
이제 여름보다는 가을철의 환경이 모기가 서식하기에 적합해졌습니다.
주로 모기가 활동하는 적정 온도는 24도에서 28도인데요.
올 가을, 늦 더위가 이어지면서 한낮엔 25도 안팎을 오르내려 모기가 자라기 쉬웠습니다.
늦 여름에 국지성 호우가 이어져 가을철에 모기가 성장할 수 있는 웅덩이가 많이 만들어진 것도 모기가 기승을 부리는 데 한 몫을 하죠.
날씨가 서늘해 지면서 실내에 난방을 하는 곳이 있죠.
온도와 습도가 높아져 모기가 서식하기 좋은 조건이 됩니다.
모기가 사라지기 시작한다는 처서 절기는 8월 23일이었는데요.
달력이 두번 넘어간 지금도 모기와의 전쟁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모기는 아침 기온이 10도 이하로 떨어질때까지 알을 낳기 때문에 당분간은 끈질긴 모기와 만날일이 더 있겠죠.
또, 일본 뇌염을 일으켜 방역작업이 한창인 작은 빨간집 모기도 오히려 요즘같은 가을에 말썽을 부리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모기 퇴치를 위해 씽크대나 화장실에 배수 구멍을 막고, 실내 환경이 너무 습하지 않도록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날씨와 생활 정보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