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난감부터 건조기…렌털 열풍 이유는

입력 2017.11.04 (06:47) 수정 2017.11.04 (07: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사지 않고 빌려쓰는 물건 바로 렌털이죠.

정수기와 비데로 대표되던 렌털 서비스가 요즘은 유아용품부터 고가의 가전제품까지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3년 뒤 국내 렌털 시장 규모는 40조 원에 이를 거란 전망입니다.

이윤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6개월 된 딸을 둔 이 부부는 장난감을 사지 않고 빌려 씁니다.

유아용 의자와 딸랑이도 렌털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시중 가격 8만7천 원인 이 놀이 기구 렌털비는 1년에 만 원입니다.

모든 장난감을 빌려 쓴 덕에 지출을 3분의 1로 줄였습니다.

<인터뷰> 김혜림(주부) : "아기들이 사용기간이 2~3개월 되게 짧은데 렌탈하게 되면 아이의 발달에 맞춰서 다양하게 장난감을 줄 수 있어서..."

정장 수백 벌이 비치된 이 곳은 의류렌털업쳅니다.

셔츠와 타이, 구두를 포함해 정장 한 벌을 약 3만 원에 빌릴 수 있습니다.

면접을 앞둔 취업준비생들이 주 고객입니다.

<인터뷰> 이은혜(서울시 중랑구) : "면접은 한 번 보면 또 다시 입을 일이 없을 것 같아서 비용적인 면에서 (선택했습니다)."

여행 목적의 렌터카도 일상으로 들어왔습니다.

한 대의 차를 여럿이 필요한 시간에 빌려 쓰는 차량 공유 서비스.

보험료와 세금, 유지비를 아낄 수 있는게 장점입니다.

대기업도 렌털 공략에 나섰습니다.

웬만한 건 빌려쓴다는 소비 풍조가 확산되면서 렌털 전문업체 뿐 아니라 일반 가전업체도 렌털 품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살균기, 건조기와 전기레인지도 렌털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이같은 렌털 열풍엔 저성장 시대,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만 쓴다는 소비 성향이 반영돼 있습니다.

<인터뷰> 소지섭(가전업체 선임 과장) : "1인 가구가 증가하다 보니까 집은 좁은데 가전제품을 많이 두기는 힘든 분들이 렌털가전을 먼저 체험하시고 자기 것으로 결정을 하는 거죠."

지난해 1인당 지출한 렌털 비용은 약 50만 원, 소유에서 공유 경제로의 전환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장난감부터 건조기…렌털 열풍 이유는
    • 입력 2017-11-04 07:20:46
    • 수정2017-11-04 07:41:28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사지 않고 빌려쓰는 물건 바로 렌털이죠.

정수기와 비데로 대표되던 렌털 서비스가 요즘은 유아용품부터 고가의 가전제품까지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3년 뒤 국내 렌털 시장 규모는 40조 원에 이를 거란 전망입니다.

이윤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6개월 된 딸을 둔 이 부부는 장난감을 사지 않고 빌려 씁니다.

유아용 의자와 딸랑이도 렌털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시중 가격 8만7천 원인 이 놀이 기구 렌털비는 1년에 만 원입니다.

모든 장난감을 빌려 쓴 덕에 지출을 3분의 1로 줄였습니다.

<인터뷰> 김혜림(주부) : "아기들이 사용기간이 2~3개월 되게 짧은데 렌탈하게 되면 아이의 발달에 맞춰서 다양하게 장난감을 줄 수 있어서..."

정장 수백 벌이 비치된 이 곳은 의류렌털업쳅니다.

셔츠와 타이, 구두를 포함해 정장 한 벌을 약 3만 원에 빌릴 수 있습니다.

면접을 앞둔 취업준비생들이 주 고객입니다.

<인터뷰> 이은혜(서울시 중랑구) : "면접은 한 번 보면 또 다시 입을 일이 없을 것 같아서 비용적인 면에서 (선택했습니다)."

여행 목적의 렌터카도 일상으로 들어왔습니다.

한 대의 차를 여럿이 필요한 시간에 빌려 쓰는 차량 공유 서비스.

보험료와 세금, 유지비를 아낄 수 있는게 장점입니다.

대기업도 렌털 공략에 나섰습니다.

웬만한 건 빌려쓴다는 소비 풍조가 확산되면서 렌털 전문업체 뿐 아니라 일반 가전업체도 렌털 품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살균기, 건조기와 전기레인지도 렌털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이같은 렌털 열풍엔 저성장 시대,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만 쓴다는 소비 성향이 반영돼 있습니다.

<인터뷰> 소지섭(가전업체 선임 과장) : "1인 가구가 증가하다 보니까 집은 좁은데 가전제품을 많이 두기는 힘든 분들이 렌털가전을 먼저 체험하시고 자기 것으로 결정을 하는 거죠."

지난해 1인당 지출한 렌털 비용은 약 50만 원, 소유에서 공유 경제로의 전환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