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식 최초 ‘창경궁 대온실’ 복원
입력 2017.11.11 (07:36)
수정 2017.11.11 (08: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아름다운 외관과 달리 대한제국 역사의 비애가 담겨있는 곳이죠.
일제때 창경원으로 격하됐던 창경궁의 대온실이 옛모습을 되찾았습니다.
설립 당시만 해도 서양식 최초 온실로 동양 최대 규모였다고 합니다.
이근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가을 단풍이 절정을 맞은 창경궁 뜨락.
백색의 수정궁을 닮은 건물이 르네상스풍의 분수와 함께 은은한 자태를 드러냅니다.
지붕 용마루는 오얏꽃 무늬로 장식됐습니다.
일제가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인 순종을 창덕궁에 유폐시킨 후 창경궁을 헐어내고 동물원과 함께 지은 대온실.
일본인이 설계하고 프랑스 회사가 시공했습니다.
역사의 부침을 겪어온 대온실이 1년 3개월간의 보수 공사를 거쳐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인터뷰> 김명준(창경궁관리소장) : "최초의 우리나라의 서양식 온실로서 가장 큰 특징이 있어서 다른 건물들은 다 철거됐지만은 이 온실만큼은 보존해서 관리하는것이 좋다는 판단하에서.."
최초 준공때 사용된 영국제 타일 원형을 발견해 그대로 재현하는 등 복원에 힘을 쏟았습니다.
온실 내부는 난대 식물이 주를 이루고 천연기념물 나무들에서 채취해 키워낸 후계목들이 터를 잡았습니다.
그 옆으로는 독도 자생식물들이 관람객들을 맞이 합니다.
건축기술사적 가치를 지닌 창경궁 대온실이 처음 모습으로 새로운 생명들을 품게 됐습니다.
KBS 뉴스 이근우입니다.
아름다운 외관과 달리 대한제국 역사의 비애가 담겨있는 곳이죠.
일제때 창경원으로 격하됐던 창경궁의 대온실이 옛모습을 되찾았습니다.
설립 당시만 해도 서양식 최초 온실로 동양 최대 규모였다고 합니다.
이근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가을 단풍이 절정을 맞은 창경궁 뜨락.
백색의 수정궁을 닮은 건물이 르네상스풍의 분수와 함께 은은한 자태를 드러냅니다.
지붕 용마루는 오얏꽃 무늬로 장식됐습니다.
일제가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인 순종을 창덕궁에 유폐시킨 후 창경궁을 헐어내고 동물원과 함께 지은 대온실.
일본인이 설계하고 프랑스 회사가 시공했습니다.
역사의 부침을 겪어온 대온실이 1년 3개월간의 보수 공사를 거쳐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인터뷰> 김명준(창경궁관리소장) : "최초의 우리나라의 서양식 온실로서 가장 큰 특징이 있어서 다른 건물들은 다 철거됐지만은 이 온실만큼은 보존해서 관리하는것이 좋다는 판단하에서.."
최초 준공때 사용된 영국제 타일 원형을 발견해 그대로 재현하는 등 복원에 힘을 쏟았습니다.
온실 내부는 난대 식물이 주를 이루고 천연기념물 나무들에서 채취해 키워낸 후계목들이 터를 잡았습니다.
그 옆으로는 독도 자생식물들이 관람객들을 맞이 합니다.
건축기술사적 가치를 지닌 창경궁 대온실이 처음 모습으로 새로운 생명들을 품게 됐습니다.
KBS 뉴스 이근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양식 최초 ‘창경궁 대온실’ 복원
-
- 입력 2017-11-11 07:38:17
- 수정2017-11-11 08:05:48

<앵커 멘트>
아름다운 외관과 달리 대한제국 역사의 비애가 담겨있는 곳이죠.
일제때 창경원으로 격하됐던 창경궁의 대온실이 옛모습을 되찾았습니다.
설립 당시만 해도 서양식 최초 온실로 동양 최대 규모였다고 합니다.
이근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가을 단풍이 절정을 맞은 창경궁 뜨락.
백색의 수정궁을 닮은 건물이 르네상스풍의 분수와 함께 은은한 자태를 드러냅니다.
지붕 용마루는 오얏꽃 무늬로 장식됐습니다.
일제가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인 순종을 창덕궁에 유폐시킨 후 창경궁을 헐어내고 동물원과 함께 지은 대온실.
일본인이 설계하고 프랑스 회사가 시공했습니다.
역사의 부침을 겪어온 대온실이 1년 3개월간의 보수 공사를 거쳐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인터뷰> 김명준(창경궁관리소장) : "최초의 우리나라의 서양식 온실로서 가장 큰 특징이 있어서 다른 건물들은 다 철거됐지만은 이 온실만큼은 보존해서 관리하는것이 좋다는 판단하에서.."
최초 준공때 사용된 영국제 타일 원형을 발견해 그대로 재현하는 등 복원에 힘을 쏟았습니다.
온실 내부는 난대 식물이 주를 이루고 천연기념물 나무들에서 채취해 키워낸 후계목들이 터를 잡았습니다.
그 옆으로는 독도 자생식물들이 관람객들을 맞이 합니다.
건축기술사적 가치를 지닌 창경궁 대온실이 처음 모습으로 새로운 생명들을 품게 됐습니다.
KBS 뉴스 이근우입니다.
아름다운 외관과 달리 대한제국 역사의 비애가 담겨있는 곳이죠.
일제때 창경원으로 격하됐던 창경궁의 대온실이 옛모습을 되찾았습니다.
설립 당시만 해도 서양식 최초 온실로 동양 최대 규모였다고 합니다.
이근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가을 단풍이 절정을 맞은 창경궁 뜨락.
백색의 수정궁을 닮은 건물이 르네상스풍의 분수와 함께 은은한 자태를 드러냅니다.
지붕 용마루는 오얏꽃 무늬로 장식됐습니다.
일제가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인 순종을 창덕궁에 유폐시킨 후 창경궁을 헐어내고 동물원과 함께 지은 대온실.
일본인이 설계하고 프랑스 회사가 시공했습니다.
역사의 부침을 겪어온 대온실이 1년 3개월간의 보수 공사를 거쳐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인터뷰> 김명준(창경궁관리소장) : "최초의 우리나라의 서양식 온실로서 가장 큰 특징이 있어서 다른 건물들은 다 철거됐지만은 이 온실만큼은 보존해서 관리하는것이 좋다는 판단하에서.."
최초 준공때 사용된 영국제 타일 원형을 발견해 그대로 재현하는 등 복원에 힘을 쏟았습니다.
온실 내부는 난대 식물이 주를 이루고 천연기념물 나무들에서 채취해 키워낸 후계목들이 터를 잡았습니다.
그 옆으로는 독도 자생식물들이 관람객들을 맞이 합니다.
건축기술사적 가치를 지닌 창경궁 대온실이 처음 모습으로 새로운 생명들을 품게 됐습니다.
KBS 뉴스 이근우입니다.
-
-
이근우 기자 lkw@kbs.co.kr
이근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