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부터 명절증후군에 시달리는 주부들
입력 2002.09.15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명절 때 제일 고단해지는 분들이 바로 가정주부들입니다.
그래서 벌써부터 온몸이 쑤시고 우울해지는 이른바 명절증후군에 시달리는 주부들이 많습니다.
보도에 천희성 기자입니다.
⊙기자: 추석명절을 지내고 난 후 두통과 소화불량 등을 겪는 주부들이 적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명절증후군 때문으로 생각합니다.
추석을 앞두고 요즘 주부들의 화제는 명절로 모아집니다.
대부분 명절증후군을 드러냅니다.
⊙김국자(서울 문래동): 명절 때 다가오면 허리가 미리부터 아프다고나 할까.
⊙기자: 특히 올해는 추석 연휴가 일요일과 겹쳐 예년보다 짧기 때문에 직장여성들은 부담감을 더 느낍니다.
⊙김미영(회사원): 굉장히 일정이 빡빡하죠.
그리고 바로 그 다음 날로 출근을 해야 하니까...
⊙기자: 심지어 벌써부터 병원을 찾아 상담하는 경우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손현균(한강성심병원 정신과): 일종의 스트레스 질환으로 볼 수가 있는데 추석이 점차 다가오면서 신경이 예민하고 불안하고 우울감을 호소하는 주부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기자: 한 여성단체의 조사에서는 주부 10명 가운데 8명이 명절증후군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명절 전부터 남편이 관심을 갖고 아내를 격려해 주는 것이 주부들이 명절증후군에서 벗어나는 데 긴요하다고 전문가들은 권합니다.
그리고 부부간의 가사 분담과 친척 간의 잦은 접촉으로 친속감을 높이는 것이 명절증후군을 근원적으로 없애는 방법입니다.
KBS뉴스 천희성입니다.
그래서 벌써부터 온몸이 쑤시고 우울해지는 이른바 명절증후군에 시달리는 주부들이 많습니다.
보도에 천희성 기자입니다.
⊙기자: 추석명절을 지내고 난 후 두통과 소화불량 등을 겪는 주부들이 적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명절증후군 때문으로 생각합니다.
추석을 앞두고 요즘 주부들의 화제는 명절로 모아집니다.
대부분 명절증후군을 드러냅니다.
⊙김국자(서울 문래동): 명절 때 다가오면 허리가 미리부터 아프다고나 할까.
⊙기자: 특히 올해는 추석 연휴가 일요일과 겹쳐 예년보다 짧기 때문에 직장여성들은 부담감을 더 느낍니다.
⊙김미영(회사원): 굉장히 일정이 빡빡하죠.
그리고 바로 그 다음 날로 출근을 해야 하니까...
⊙기자: 심지어 벌써부터 병원을 찾아 상담하는 경우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손현균(한강성심병원 정신과): 일종의 스트레스 질환으로 볼 수가 있는데 추석이 점차 다가오면서 신경이 예민하고 불안하고 우울감을 호소하는 주부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기자: 한 여성단체의 조사에서는 주부 10명 가운데 8명이 명절증후군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명절 전부터 남편이 관심을 갖고 아내를 격려해 주는 것이 주부들이 명절증후군에서 벗어나는 데 긴요하다고 전문가들은 권합니다.
그리고 부부간의 가사 분담과 친척 간의 잦은 접촉으로 친속감을 높이는 것이 명절증후군을 근원적으로 없애는 방법입니다.
KBS뉴스 천희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벌써부터 명절증후군에 시달리는 주부들
-
- 입력 2002-09-15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명절 때 제일 고단해지는 분들이 바로 가정주부들입니다.
그래서 벌써부터 온몸이 쑤시고 우울해지는 이른바 명절증후군에 시달리는 주부들이 많습니다.
보도에 천희성 기자입니다.
⊙기자: 추석명절을 지내고 난 후 두통과 소화불량 등을 겪는 주부들이 적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명절증후군 때문으로 생각합니다.
추석을 앞두고 요즘 주부들의 화제는 명절로 모아집니다.
대부분 명절증후군을 드러냅니다.
⊙김국자(서울 문래동): 명절 때 다가오면 허리가 미리부터 아프다고나 할까.
⊙기자: 특히 올해는 추석 연휴가 일요일과 겹쳐 예년보다 짧기 때문에 직장여성들은 부담감을 더 느낍니다.
⊙김미영(회사원): 굉장히 일정이 빡빡하죠.
그리고 바로 그 다음 날로 출근을 해야 하니까...
⊙기자: 심지어 벌써부터 병원을 찾아 상담하는 경우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손현균(한강성심병원 정신과): 일종의 스트레스 질환으로 볼 수가 있는데 추석이 점차 다가오면서 신경이 예민하고 불안하고 우울감을 호소하는 주부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기자: 한 여성단체의 조사에서는 주부 10명 가운데 8명이 명절증후군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명절 전부터 남편이 관심을 갖고 아내를 격려해 주는 것이 주부들이 명절증후군에서 벗어나는 데 긴요하다고 전문가들은 권합니다.
그리고 부부간의 가사 분담과 친척 간의 잦은 접촉으로 친속감을 높이는 것이 명절증후군을 근원적으로 없애는 방법입니다.
KBS뉴스 천희성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