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7,530원…다주택자 양도세 ↑
입력 2018.01.02 (12:19)
수정 2018.01.02 (12: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해가 바뀌면서 달라지는 제도도 많습니다.
최저임금이 큰 폭으로 인상되고, 소득세와 법인세 최고세율은 높아집니다.
다주택자에게는 양도소득세가 중과됩니다.
새해 달라지는 것들 임승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올해 시간당 최저임금은 7,530원, 지난해보다 16% 넘게 올랐습니다.
17년 만에 최대 인상 폭으로, 월급으로 따지면 157만 원 정돕니다.
기업 부담을 덜기 위한 지원도 함께 이뤄집니다.
<녹취> 김동연(경제부총리) : "소상공인이나 중소기업들의 비용부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자리 안정자금을 저희가 내년에 3조 원 가까이 지원하는 건 다 알고 계실 겁니다."
고소득자와 초대기업의 세 부담은 늘어납니다.
연 소득 1억 5천만 원에서 5억 원까지 38%이던 소득세율 구간이 나뉘면서 3억 원을 넘으면 40% 세율이 적용되고 5억 원 초과자의 세율은 42%로 높아집니다.
과세표준 3천억 원을 넘는 기업의 법인세율도 22%에서 25%로 오릅니다.
다주택자의 양도세 부담도 늘어납니다.
4월부터 조정대상 지역에서 집을 팔면 2주택자는 10%p, 3주택자 이상은 20%p 세율이 더 높아집니다.
신혼부부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주택구입과 전세대출 자금 금리가 최대 1%가량 낮아지고, 대출 한도도 늘어납니다.
육아휴직 기간도 출근한 것으로 인정돼 연차휴가가 부여되고, 입사 1년 차의 연차도 늘어납니다.
이밖에 초등학교 방과 후 돌봄교실 어린이에게는 주 1회 제철 과일이 무상으로 제공됩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해가 바뀌면서 달라지는 제도도 많습니다.
최저임금이 큰 폭으로 인상되고, 소득세와 법인세 최고세율은 높아집니다.
다주택자에게는 양도소득세가 중과됩니다.
새해 달라지는 것들 임승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올해 시간당 최저임금은 7,530원, 지난해보다 16% 넘게 올랐습니다.
17년 만에 최대 인상 폭으로, 월급으로 따지면 157만 원 정돕니다.
기업 부담을 덜기 위한 지원도 함께 이뤄집니다.
<녹취> 김동연(경제부총리) : "소상공인이나 중소기업들의 비용부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자리 안정자금을 저희가 내년에 3조 원 가까이 지원하는 건 다 알고 계실 겁니다."
고소득자와 초대기업의 세 부담은 늘어납니다.
연 소득 1억 5천만 원에서 5억 원까지 38%이던 소득세율 구간이 나뉘면서 3억 원을 넘으면 40% 세율이 적용되고 5억 원 초과자의 세율은 42%로 높아집니다.
과세표준 3천억 원을 넘는 기업의 법인세율도 22%에서 25%로 오릅니다.
다주택자의 양도세 부담도 늘어납니다.
4월부터 조정대상 지역에서 집을 팔면 2주택자는 10%p, 3주택자 이상은 20%p 세율이 더 높아집니다.
신혼부부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주택구입과 전세대출 자금 금리가 최대 1%가량 낮아지고, 대출 한도도 늘어납니다.
육아휴직 기간도 출근한 것으로 인정돼 연차휴가가 부여되고, 입사 1년 차의 연차도 늘어납니다.
이밖에 초등학교 방과 후 돌봄교실 어린이에게는 주 1회 제철 과일이 무상으로 제공됩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최저임금 7,530원…다주택자 양도세 ↑
-
- 입력 2018-01-02 12:22:49
- 수정2018-01-02 12:35:17

<앵커 멘트>
해가 바뀌면서 달라지는 제도도 많습니다.
최저임금이 큰 폭으로 인상되고, 소득세와 법인세 최고세율은 높아집니다.
다주택자에게는 양도소득세가 중과됩니다.
새해 달라지는 것들 임승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올해 시간당 최저임금은 7,530원, 지난해보다 16% 넘게 올랐습니다.
17년 만에 최대 인상 폭으로, 월급으로 따지면 157만 원 정돕니다.
기업 부담을 덜기 위한 지원도 함께 이뤄집니다.
<녹취> 김동연(경제부총리) : "소상공인이나 중소기업들의 비용부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자리 안정자금을 저희가 내년에 3조 원 가까이 지원하는 건 다 알고 계실 겁니다."
고소득자와 초대기업의 세 부담은 늘어납니다.
연 소득 1억 5천만 원에서 5억 원까지 38%이던 소득세율 구간이 나뉘면서 3억 원을 넘으면 40% 세율이 적용되고 5억 원 초과자의 세율은 42%로 높아집니다.
과세표준 3천억 원을 넘는 기업의 법인세율도 22%에서 25%로 오릅니다.
다주택자의 양도세 부담도 늘어납니다.
4월부터 조정대상 지역에서 집을 팔면 2주택자는 10%p, 3주택자 이상은 20%p 세율이 더 높아집니다.
신혼부부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주택구입과 전세대출 자금 금리가 최대 1%가량 낮아지고, 대출 한도도 늘어납니다.
육아휴직 기간도 출근한 것으로 인정돼 연차휴가가 부여되고, 입사 1년 차의 연차도 늘어납니다.
이밖에 초등학교 방과 후 돌봄교실 어린이에게는 주 1회 제철 과일이 무상으로 제공됩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해가 바뀌면서 달라지는 제도도 많습니다.
최저임금이 큰 폭으로 인상되고, 소득세와 법인세 최고세율은 높아집니다.
다주택자에게는 양도소득세가 중과됩니다.
새해 달라지는 것들 임승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올해 시간당 최저임금은 7,530원, 지난해보다 16% 넘게 올랐습니다.
17년 만에 최대 인상 폭으로, 월급으로 따지면 157만 원 정돕니다.
기업 부담을 덜기 위한 지원도 함께 이뤄집니다.
<녹취> 김동연(경제부총리) : "소상공인이나 중소기업들의 비용부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자리 안정자금을 저희가 내년에 3조 원 가까이 지원하는 건 다 알고 계실 겁니다."
고소득자와 초대기업의 세 부담은 늘어납니다.
연 소득 1억 5천만 원에서 5억 원까지 38%이던 소득세율 구간이 나뉘면서 3억 원을 넘으면 40% 세율이 적용되고 5억 원 초과자의 세율은 42%로 높아집니다.
과세표준 3천억 원을 넘는 기업의 법인세율도 22%에서 25%로 오릅니다.
다주택자의 양도세 부담도 늘어납니다.
4월부터 조정대상 지역에서 집을 팔면 2주택자는 10%p, 3주택자 이상은 20%p 세율이 더 높아집니다.
신혼부부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주택구입과 전세대출 자금 금리가 최대 1%가량 낮아지고, 대출 한도도 늘어납니다.
육아휴직 기간도 출근한 것으로 인정돼 연차휴가가 부여되고, 입사 1년 차의 연차도 늘어납니다.
이밖에 초등학교 방과 후 돌봄교실 어린이에게는 주 1회 제철 과일이 무상으로 제공됩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
-
임승창 기자 sclim@kbs.co.kr
임승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