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온 겨레에 선물 주자”에 南 “첫술에 배부르랴” 응수

입력 2018.01.10 (06:32) 수정 2018.01.10 (06: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25개월 만에 열린 어제 남북 고위급 당국회담에서, 우리측 수석 대표는 조명균 통일부 장관, 북측 수석대표는 리선권이었습니다.

서로 다른 성격의 두 수석대표는, 시작부터 회담의 주도권을 쥐기 위해 치열한 수싸움을 벌였습니다.

장덕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양복 차림에 김일성 부자 배지를 단 채 나타난 북한 리선권은 여유로운 모습이었습니다.

["새해 축하합니다. (환영합니다. 반갑습니다.)"]

웃으며 협상장에 앉은 리선권은, 겨울 날씨에 경색됐던 남북관계를 빗대며 압박합니다.

[리선권/북측 수석대표 : "자연계의 날씨보다 북남 관계가 더 동결 상태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생각합니다."]

그러면서 느닷없이 6.15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된 해에 태어난 조카 이야기를 꺼내며 이른바 통 큰 합의를 하자는 말을 합니다.

[리선권/북측 수석대표 : "온 겨레에게 새해 첫 선물, 그 값비싼 결과물을 드리는 게 어떠한가 하는 생각을 가지고 이 자리에 나왔습니다."]

직설적인 리선권의 화법에 조명균 장관은 '시작이 반'이라는 속담으로 차분히 응수합니다.

[조명균/남측 수석대표 : "'시작이 반이다' 하는 그런 마음으로 의지와 끈기를 갖고 회담을 끌어나갔으면 좋겠다 하는 그런 생각이고요."]

성과에 매달려 서두르지는 않겠다는 입장도 분명히 했습니다.

[조명균/남측 수석대표 : "'첫 숟가락에 배부르랴'하는 그런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런 것도 감안해서 저희가 서두르지 않고 끈기를 갖고 하나하나 풀어나가면 되겠다."]

거듭된 악수 포즈 요청에도 기꺼이 응한 리선권.

["기자 선생들에게 잘 보여야 됩니다."]

회담장의 분위기는 화기애애 했지만, 협상의 주도권을 쥐려는 양측의 수싸움은 치열했습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北 “온 겨레에 선물 주자”에 南 “첫술에 배부르랴” 응수
    • 입력 2018-01-10 06:33:23
    • 수정2018-01-10 06:46:52
    뉴스광장 1부
[앵커]

25개월 만에 열린 어제 남북 고위급 당국회담에서, 우리측 수석 대표는 조명균 통일부 장관, 북측 수석대표는 리선권이었습니다.

서로 다른 성격의 두 수석대표는, 시작부터 회담의 주도권을 쥐기 위해 치열한 수싸움을 벌였습니다.

장덕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양복 차림에 김일성 부자 배지를 단 채 나타난 북한 리선권은 여유로운 모습이었습니다.

["새해 축하합니다. (환영합니다. 반갑습니다.)"]

웃으며 협상장에 앉은 리선권은, 겨울 날씨에 경색됐던 남북관계를 빗대며 압박합니다.

[리선권/북측 수석대표 : "자연계의 날씨보다 북남 관계가 더 동결 상태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생각합니다."]

그러면서 느닷없이 6.15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된 해에 태어난 조카 이야기를 꺼내며 이른바 통 큰 합의를 하자는 말을 합니다.

[리선권/북측 수석대표 : "온 겨레에게 새해 첫 선물, 그 값비싼 결과물을 드리는 게 어떠한가 하는 생각을 가지고 이 자리에 나왔습니다."]

직설적인 리선권의 화법에 조명균 장관은 '시작이 반'이라는 속담으로 차분히 응수합니다.

[조명균/남측 수석대표 : "'시작이 반이다' 하는 그런 마음으로 의지와 끈기를 갖고 회담을 끌어나갔으면 좋겠다 하는 그런 생각이고요."]

성과에 매달려 서두르지는 않겠다는 입장도 분명히 했습니다.

[조명균/남측 수석대표 : "'첫 숟가락에 배부르랴'하는 그런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런 것도 감안해서 저희가 서두르지 않고 끈기를 갖고 하나하나 풀어나가면 되겠다."]

거듭된 악수 포즈 요청에도 기꺼이 응한 리선권.

["기자 선생들에게 잘 보여야 됩니다."]

회담장의 분위기는 화기애애 했지만, 협상의 주도권을 쥐려는 양측의 수싸움은 치열했습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