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 전통 종이 사라질 위기
입력 2018.04.11 (09:47)
수정 2018.04.11 (09: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타이완의 전통 종이가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습니다.
전통 종이를 만드는 곳이 타이완 전체에 이제 네 곳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리포트]
전통 종이 공장 네 곳이 몰려있는 타이완 중부 난터우 현입니다.
닥나무 껍질을 채취해 찌고 삶고 세척하는 등 여러과정을 거쳐 '닥죽'을 만드는데요.
닥죽을 대나무 발에 얇게 건져 올려 말리면 종이가 됩니다.
[황환장/타이완 광싱 전통 종이 공장 사장 : "표백 처리하면 종이의 수명이 짧아지기 때문에 우리는 닥죽을 희게 만들지 않습니다."]
닥죽을 건져 올리는 '종이 뜨기' 는 숙련된 장인만 제대로 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중요한 과정인데요.
하지만 숙련공은 몇 명 남지 않았고 새로 일을 배우려는 젊은이도 없습니다.
원가가 높아 가격 경쟁력이 없는 데다 전통 종이를 찾는 사람도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데요.
일부 종이 공장은 체험 코너를 운영하며 명맥을 유지하고 있지만, 몇 년을 더 버틸 수 있을지는 아무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타이완의 전통 종이가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습니다.
전통 종이를 만드는 곳이 타이완 전체에 이제 네 곳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리포트]
전통 종이 공장 네 곳이 몰려있는 타이완 중부 난터우 현입니다.
닥나무 껍질을 채취해 찌고 삶고 세척하는 등 여러과정을 거쳐 '닥죽'을 만드는데요.
닥죽을 대나무 발에 얇게 건져 올려 말리면 종이가 됩니다.
[황환장/타이완 광싱 전통 종이 공장 사장 : "표백 처리하면 종이의 수명이 짧아지기 때문에 우리는 닥죽을 희게 만들지 않습니다."]
닥죽을 건져 올리는 '종이 뜨기' 는 숙련된 장인만 제대로 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중요한 과정인데요.
하지만 숙련공은 몇 명 남지 않았고 새로 일을 배우려는 젊은이도 없습니다.
원가가 높아 가격 경쟁력이 없는 데다 전통 종이를 찾는 사람도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데요.
일부 종이 공장은 체험 코너를 운영하며 명맥을 유지하고 있지만, 몇 년을 더 버틸 수 있을지는 아무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타이완 전통 종이 사라질 위기
-
- 입력 2018-04-11 09:48:20
- 수정2018-04-11 09:50:01
[앵커]
타이완의 전통 종이가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습니다.
전통 종이를 만드는 곳이 타이완 전체에 이제 네 곳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리포트]
전통 종이 공장 네 곳이 몰려있는 타이완 중부 난터우 현입니다.
닥나무 껍질을 채취해 찌고 삶고 세척하는 등 여러과정을 거쳐 '닥죽'을 만드는데요.
닥죽을 대나무 발에 얇게 건져 올려 말리면 종이가 됩니다.
[황환장/타이완 광싱 전통 종이 공장 사장 : "표백 처리하면 종이의 수명이 짧아지기 때문에 우리는 닥죽을 희게 만들지 않습니다."]
닥죽을 건져 올리는 '종이 뜨기' 는 숙련된 장인만 제대로 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중요한 과정인데요.
하지만 숙련공은 몇 명 남지 않았고 새로 일을 배우려는 젊은이도 없습니다.
원가가 높아 가격 경쟁력이 없는 데다 전통 종이를 찾는 사람도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데요.
일부 종이 공장은 체험 코너를 운영하며 명맥을 유지하고 있지만, 몇 년을 더 버틸 수 있을지는 아무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타이완의 전통 종이가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습니다.
전통 종이를 만드는 곳이 타이완 전체에 이제 네 곳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리포트]
전통 종이 공장 네 곳이 몰려있는 타이완 중부 난터우 현입니다.
닥나무 껍질을 채취해 찌고 삶고 세척하는 등 여러과정을 거쳐 '닥죽'을 만드는데요.
닥죽을 대나무 발에 얇게 건져 올려 말리면 종이가 됩니다.
[황환장/타이완 광싱 전통 종이 공장 사장 : "표백 처리하면 종이의 수명이 짧아지기 때문에 우리는 닥죽을 희게 만들지 않습니다."]
닥죽을 건져 올리는 '종이 뜨기' 는 숙련된 장인만 제대로 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중요한 과정인데요.
하지만 숙련공은 몇 명 남지 않았고 새로 일을 배우려는 젊은이도 없습니다.
원가가 높아 가격 경쟁력이 없는 데다 전통 종이를 찾는 사람도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데요.
일부 종이 공장은 체험 코너를 운영하며 명맥을 유지하고 있지만, 몇 년을 더 버틸 수 있을지는 아무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