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다음 달 5일부터 표준시 통일
입력 2018.04.30 (23:05)
수정 2018.04.30 (23: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가 평양 표준시를 남측과 통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27일에 있었던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구두 약속을 지킨 것인데, '판문점 선언'의 후속 조치 논의도 속도를 낼지 주목됩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이 다음 달 5일부터 평양 표준 시간을 30분 앞당기겠다고 공표했습니다.
지난 27일 문재인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평양 표준시를 서울에 맞추겠다고 약속한 지 불과 사흘 만입니다.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결정 형식으로 발표해, 절차적 정당성도 신경 썼습니다.
[조선중앙TV : "민족의 화해 단합의 첫 실행조치로 현재 조선 반도에 존재하는 두 개의 시간을 통일하는 것부터 해나가실 결심을 피력하시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구두 약속에 대해서도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면서, '판문점 선언' 합의도 적극적으로 이행할 것이란 기대가 나오고 있습니다.
[백태현/통일부 대변인 : "김정은 위원장이 남북관계 개선 및 국제사회와의 조화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나타내고 이를 빠른 속도로 실행해 가겠다는 그런 걸 보여주는 게 아닌가..."]
시기를 못 박지 않은 적십자 회담과 고위급 회담 역시 우선적으로 빨리하자는 게 남측 입장인데, 북측이 피하진 않을 것이란 분석이 많습니다.
특히 고위급 회담을 열 경우 공동연락사무소의 개성 설치를 우선적으로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우리로선 경의선 동해선 철도 도로 연결 등 경협 논의는, 북·미 정상회담 결과를 보면서 진행할 수밖에 없는 한계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봅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가 평양 표준시를 남측과 통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27일에 있었던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구두 약속을 지킨 것인데, '판문점 선언'의 후속 조치 논의도 속도를 낼지 주목됩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이 다음 달 5일부터 평양 표준 시간을 30분 앞당기겠다고 공표했습니다.
지난 27일 문재인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평양 표준시를 서울에 맞추겠다고 약속한 지 불과 사흘 만입니다.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결정 형식으로 발표해, 절차적 정당성도 신경 썼습니다.
[조선중앙TV : "민족의 화해 단합의 첫 실행조치로 현재 조선 반도에 존재하는 두 개의 시간을 통일하는 것부터 해나가실 결심을 피력하시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구두 약속에 대해서도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면서, '판문점 선언' 합의도 적극적으로 이행할 것이란 기대가 나오고 있습니다.
[백태현/통일부 대변인 : "김정은 위원장이 남북관계 개선 및 국제사회와의 조화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나타내고 이를 빠른 속도로 실행해 가겠다는 그런 걸 보여주는 게 아닌가..."]
시기를 못 박지 않은 적십자 회담과 고위급 회담 역시 우선적으로 빨리하자는 게 남측 입장인데, 북측이 피하진 않을 것이란 분석이 많습니다.
특히 고위급 회담을 열 경우 공동연락사무소의 개성 설치를 우선적으로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우리로선 경의선 동해선 철도 도로 연결 등 경협 논의는, 북·미 정상회담 결과를 보면서 진행할 수밖에 없는 한계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봅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北 다음 달 5일부터 표준시 통일
-
- 입력 2018-04-30 23:07:05
- 수정2018-04-30 23:17:50

[앵커]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가 평양 표준시를 남측과 통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27일에 있었던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구두 약속을 지킨 것인데, '판문점 선언'의 후속 조치 논의도 속도를 낼지 주목됩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이 다음 달 5일부터 평양 표준 시간을 30분 앞당기겠다고 공표했습니다.
지난 27일 문재인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평양 표준시를 서울에 맞추겠다고 약속한 지 불과 사흘 만입니다.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결정 형식으로 발표해, 절차적 정당성도 신경 썼습니다.
[조선중앙TV : "민족의 화해 단합의 첫 실행조치로 현재 조선 반도에 존재하는 두 개의 시간을 통일하는 것부터 해나가실 결심을 피력하시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구두 약속에 대해서도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면서, '판문점 선언' 합의도 적극적으로 이행할 것이란 기대가 나오고 있습니다.
[백태현/통일부 대변인 : "김정은 위원장이 남북관계 개선 및 국제사회와의 조화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나타내고 이를 빠른 속도로 실행해 가겠다는 그런 걸 보여주는 게 아닌가..."]
시기를 못 박지 않은 적십자 회담과 고위급 회담 역시 우선적으로 빨리하자는 게 남측 입장인데, 북측이 피하진 않을 것이란 분석이 많습니다.
특히 고위급 회담을 열 경우 공동연락사무소의 개성 설치를 우선적으로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우리로선 경의선 동해선 철도 도로 연결 등 경협 논의는, 북·미 정상회담 결과를 보면서 진행할 수밖에 없는 한계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봅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가 평양 표준시를 남측과 통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27일에 있었던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구두 약속을 지킨 것인데, '판문점 선언'의 후속 조치 논의도 속도를 낼지 주목됩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이 다음 달 5일부터 평양 표준 시간을 30분 앞당기겠다고 공표했습니다.
지난 27일 문재인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평양 표준시를 서울에 맞추겠다고 약속한 지 불과 사흘 만입니다.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결정 형식으로 발표해, 절차적 정당성도 신경 썼습니다.
[조선중앙TV : "민족의 화해 단합의 첫 실행조치로 현재 조선 반도에 존재하는 두 개의 시간을 통일하는 것부터 해나가실 결심을 피력하시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구두 약속에 대해서도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면서, '판문점 선언' 합의도 적극적으로 이행할 것이란 기대가 나오고 있습니다.
[백태현/통일부 대변인 : "김정은 위원장이 남북관계 개선 및 국제사회와의 조화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나타내고 이를 빠른 속도로 실행해 가겠다는 그런 걸 보여주는 게 아닌가..."]
시기를 못 박지 않은 적십자 회담과 고위급 회담 역시 우선적으로 빨리하자는 게 남측 입장인데, 북측이 피하진 않을 것이란 분석이 많습니다.
특히 고위급 회담을 열 경우 공동연락사무소의 개성 설치를 우선적으로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우리로선 경의선 동해선 철도 도로 연결 등 경협 논의는, 북·미 정상회담 결과를 보면서 진행할 수밖에 없는 한계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봅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
-
김경진 기자 kjkim@kbs.co.kr
김경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