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갯녹음 심각…고수온이 원인

입력 2018.05.08 (08:48) 수정 2018.05.08 (08: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바닷속이 사막처럼 변하는 갯녹음 현상이 동해에서 가장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해마다 상승하는 바닷물 온도 때문에 갯녹음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김계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북 울진 인근 바닷속.

암반은 시멘트 가루를 뒤집어 쓴 듯 허옇고, 해조류와 물고기는 자취를 감췄습니다.

바다 사막화라고 불리는 갯녹음입니다.

수심 5에서 20미터 안팎의 우리나라 연안을 조사했더니 동해는 조사면적의 50% 이상 이같은 갯녹음이 발견됐습니다.

남해, 제주의 갯녹음 면적이 각각 30%, 35%인데 비해 심각한 상황입니다.

[김태식/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생태복원실 연구원 : "수온이 상승하면서 예상치 못하게 한두달 전에 무성했던 해조류가 수온 상승이나 기타 이유로 한번에 갯녹음, 사막화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거든요."]

갯녹음은 바닷물에 녹아있는 석회물질이 탄산칼슘 등으로 석출돼 가라앉아 생기는데, 수온이 올라갈수록 용해도가 낮아져 석출이 가속화됩니다.

실제로 동해안 수온은 우리나라 연안 가운데 상승 속도가 가장 가팔라, 지난 50년 동안 남해 1.01도, 서해 1.26도 오른데 비해 동해는 1.43도나 올랐습니다.

전 세계 평균 3배 수준입니다.

대양과 달리 우리나라 연안은 반 폐쇄적인데다, 동해 유입 난류의 세력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인성/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2100년 정도면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이 오키나와 수온과 비슷해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해조류를 심어 어류 서식 환경으로 복원하는 바다숲 조성사업에 2009년부터 연간 350억 원 가량 투입되고 있지만 갯녹음 속도를 따라잡기엔 역부족입니다.

점점 뜨거워지는 바다 환경을 면밀히 조사하고, 맞춤형 해조류를 이식하는 등 효과적인 관리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해 갯녹음 심각…고수온이 원인
    • 입력 2018-05-08 08:50:15
    • 수정2018-05-08 08:56:52
    아침뉴스타임
[앵커]

바닷속이 사막처럼 변하는 갯녹음 현상이 동해에서 가장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해마다 상승하는 바닷물 온도 때문에 갯녹음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김계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북 울진 인근 바닷속.

암반은 시멘트 가루를 뒤집어 쓴 듯 허옇고, 해조류와 물고기는 자취를 감췄습니다.

바다 사막화라고 불리는 갯녹음입니다.

수심 5에서 20미터 안팎의 우리나라 연안을 조사했더니 동해는 조사면적의 50% 이상 이같은 갯녹음이 발견됐습니다.

남해, 제주의 갯녹음 면적이 각각 30%, 35%인데 비해 심각한 상황입니다.

[김태식/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생태복원실 연구원 : "수온이 상승하면서 예상치 못하게 한두달 전에 무성했던 해조류가 수온 상승이나 기타 이유로 한번에 갯녹음, 사막화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거든요."]

갯녹음은 바닷물에 녹아있는 석회물질이 탄산칼슘 등으로 석출돼 가라앉아 생기는데, 수온이 올라갈수록 용해도가 낮아져 석출이 가속화됩니다.

실제로 동해안 수온은 우리나라 연안 가운데 상승 속도가 가장 가팔라, 지난 50년 동안 남해 1.01도, 서해 1.26도 오른데 비해 동해는 1.43도나 올랐습니다.

전 세계 평균 3배 수준입니다.

대양과 달리 우리나라 연안은 반 폐쇄적인데다, 동해 유입 난류의 세력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인성/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2100년 정도면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이 오키나와 수온과 비슷해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해조류를 심어 어류 서식 환경으로 복원하는 바다숲 조성사업에 2009년부터 연간 350억 원 가량 투입되고 있지만 갯녹음 속도를 따라잡기엔 역부족입니다.

점점 뜨거워지는 바다 환경을 면밀히 조사하고, 맞춤형 해조류를 이식하는 등 효과적인 관리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