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리사랑에는 졸업이 없어요”…‘할빠·할마’들의 황혼 육아

입력 2018.05.08 (21:35) 수정 2018.05.08 (21: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버이날 한 때나마 시름을 털고 웃으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날마다 손자들 키우느라 여념이 없으신 어르신들도 많습니다.

맞벌이 가정이 늘면서 어린 손자들을 대신 맡아서 키워주는 노년층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이 분들을 김소영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8살 쌍둥이 손녀가 방과후 학원에 가는 길, 구의례 할머니의 오후가 시작됩니다.

["땅콩버터 넣은 거야. 나눠서 먹어요."]

직장 다니는 딸을 위해 육아를 전담한지 벌써 8년째.

조금이나마 딸에게 도움이 돼 뿌듯하다고 말합니다.

[구의례/쌍둥이 할머니 : "우리 애들이 믿고 맡기는 것 같아서 그것도 감사해요. '자격이 있으니까 맡기는구나' 하고."]

하지만 희생도 큽니다.

맘 편히 친구 만나기도 쉽지 않은 게 현실입니다.

[구의례/쌍둥이 할머니 : "놀러갔다가도 막 서둘러서 와야하고. 가려고 얘기를 하면 우리 딸이나 사위는 미안해하잖아요. 그러니까 얘기를 안하고..."]

["안녕 얘들아~"]

구 할머니같은 할빠, 할마들이 늘면서 학교에서는 학조부모회가 열립니다.

오늘은 할아버지도 함께 학교를 찾았습니다.

[유영환/OO초등학교 교장 : "하시고 싶은 말씀, 한 말씀 해보실까요?"]

한자리에 모이니 아이들 이야기가 끝이 없습니다.

[구의례/쌍둥이 할머니 : "(식단표를) 집에서 보고 아, 오늘 중식은 우리 애들이 매워서 못 먹겠네 이런거 생각하면서."]

간혹 서운함도 터져나옵니다.

[임봉례/손녀 육아 할머니 : "초콜릿이나 과자 같은 것을 (먹이는데). 너희들 자랄 때도 다 먹고 컸다, 그래도 지금 건강하지 않느냐."]

[김미현/손자 육아 할머니 : "'엄마가 그래서 아이가 저렇다'라고 이제 표현을 할 때가 있어요. (기껏 가르쳐줬는데!) 저한테 그렇게 표현을 해요. 그러면 화가 나죠."]

맞벌이 가정 열 중 아홉은 조부모가 육아에 관여하고 있습니다.

조부모들의 평균 양육 일수는 일주일에 5.2일, 그에 걸맞는 대우와 권리도 필요합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내리사랑에는 졸업이 없어요”…‘할빠·할마’들의 황혼 육아
    • 입력 2018-05-08 21:35:50
    • 수정2018-05-08 21:45:03
    뉴스 9
[앵커]

어버이날 한 때나마 시름을 털고 웃으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날마다 손자들 키우느라 여념이 없으신 어르신들도 많습니다.

맞벌이 가정이 늘면서 어린 손자들을 대신 맡아서 키워주는 노년층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이 분들을 김소영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8살 쌍둥이 손녀가 방과후 학원에 가는 길, 구의례 할머니의 오후가 시작됩니다.

["땅콩버터 넣은 거야. 나눠서 먹어요."]

직장 다니는 딸을 위해 육아를 전담한지 벌써 8년째.

조금이나마 딸에게 도움이 돼 뿌듯하다고 말합니다.

[구의례/쌍둥이 할머니 : "우리 애들이 믿고 맡기는 것 같아서 그것도 감사해요. '자격이 있으니까 맡기는구나' 하고."]

하지만 희생도 큽니다.

맘 편히 친구 만나기도 쉽지 않은 게 현실입니다.

[구의례/쌍둥이 할머니 : "놀러갔다가도 막 서둘러서 와야하고. 가려고 얘기를 하면 우리 딸이나 사위는 미안해하잖아요. 그러니까 얘기를 안하고..."]

["안녕 얘들아~"]

구 할머니같은 할빠, 할마들이 늘면서 학교에서는 학조부모회가 열립니다.

오늘은 할아버지도 함께 학교를 찾았습니다.

[유영환/OO초등학교 교장 : "하시고 싶은 말씀, 한 말씀 해보실까요?"]

한자리에 모이니 아이들 이야기가 끝이 없습니다.

[구의례/쌍둥이 할머니 : "(식단표를) 집에서 보고 아, 오늘 중식은 우리 애들이 매워서 못 먹겠네 이런거 생각하면서."]

간혹 서운함도 터져나옵니다.

[임봉례/손녀 육아 할머니 : "초콜릿이나 과자 같은 것을 (먹이는데). 너희들 자랄 때도 다 먹고 컸다, 그래도 지금 건강하지 않느냐."]

[김미현/손자 육아 할머니 : "'엄마가 그래서 아이가 저렇다'라고 이제 표현을 할 때가 있어요. (기껏 가르쳐줬는데!) 저한테 그렇게 표현을 해요. 그러면 화가 나죠."]

맞벌이 가정 열 중 아홉은 조부모가 육아에 관여하고 있습니다.

조부모들의 평균 양육 일수는 일주일에 5.2일, 그에 걸맞는 대우와 권리도 필요합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