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범 앵커 :
장기 이식 수술은 이제 세계적으로 상당이 대중화됐습니다. 그러나 장기 매매는 법률로도 그리고 윤리적으로도 금지돼 있거나 금지되야 할 문제입니다. 수요는 많고 기증은 이에 따르지 못하고 있는 안구 기증의 실태와 문제점을 김진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진수 기자 :
중앙 안은행이 문을 연 것이 지난 67년, 이 중앙 안은행을 통해서 빛을 되찾은 사람은 지금까지 약 9백여 명에 달하고 있습니다. 그런 데도 아직 1만여 명의 실명자가 각막이식 수술을 바라고 있고, 150명 정도는 수술을 받기 위해 항상 대기 중이며, 또 이들은 통상 1년 반 정도는 기다려야 수술을 받을 수 있는 실정입니다.
문제는 안구의 확보입니다.
양미자 (47살, 안구 기증 등록자 ) :
우리가 평소에 쓰는 신문지 한 장도 쓰다 버리면은 필요한 사람이 있듯이요, 내가 아끼는 나의 일부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주면 상당히 유효할 것 같은 마음에서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김진수 기자 :
이렇게 쉽지 않은 결정을 하는 사람이 늘고 있는데도 안구 공급이 태부족인 것은 우리나라 국민들의 뿌리 깊은 유교사상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우선 풀이됩니다.
이상욱 (중앙 안은행 개설자) :
신체발부는 수지부모하니 말이죠, 이것을 이제 핵시한 것이 효의 시초다 이래서 관념적으로 이렇게 남한테 이렇게 자기 눈을 줘야 된다는 이견 있는데, 실제 문제에 있어서 그게 어려운 모양입니다.
김진수 기자 :
이러한 인식 때문에 대부분 보호자들의 반대로 안구 기증을 등록한 사람 가운데 불과 1%만이 실제로 안구를 기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문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게다가 이미 미국, 일본 등지에서는 법으로 사망한 행려병자의 눈은 안구은행에서 먼저 쓸 수 있게 해놓은데 반해 우리나라는 아직 아무런 법적인 뒷받침이 없다는 점, 그리고 안은행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이 전혀 되고 있질 않은 점도 빛 못 보는 이들의 앞을 더욱 어둡게 하는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족한 안구 기증 실태와 문제점
-
- 입력 1990-01-16 21:00:00

박성범 앵커 :
장기 이식 수술은 이제 세계적으로 상당이 대중화됐습니다. 그러나 장기 매매는 법률로도 그리고 윤리적으로도 금지돼 있거나 금지되야 할 문제입니다. 수요는 많고 기증은 이에 따르지 못하고 있는 안구 기증의 실태와 문제점을 김진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진수 기자 :
중앙 안은행이 문을 연 것이 지난 67년, 이 중앙 안은행을 통해서 빛을 되찾은 사람은 지금까지 약 9백여 명에 달하고 있습니다. 그런 데도 아직 1만여 명의 실명자가 각막이식 수술을 바라고 있고, 150명 정도는 수술을 받기 위해 항상 대기 중이며, 또 이들은 통상 1년 반 정도는 기다려야 수술을 받을 수 있는 실정입니다.
문제는 안구의 확보입니다.
양미자 (47살, 안구 기증 등록자 ) :
우리가 평소에 쓰는 신문지 한 장도 쓰다 버리면은 필요한 사람이 있듯이요, 내가 아끼는 나의 일부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주면 상당히 유효할 것 같은 마음에서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김진수 기자 :
이렇게 쉽지 않은 결정을 하는 사람이 늘고 있는데도 안구 공급이 태부족인 것은 우리나라 국민들의 뿌리 깊은 유교사상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우선 풀이됩니다.
이상욱 (중앙 안은행 개설자) :
신체발부는 수지부모하니 말이죠, 이것을 이제 핵시한 것이 효의 시초다 이래서 관념적으로 이렇게 남한테 이렇게 자기 눈을 줘야 된다는 이견 있는데, 실제 문제에 있어서 그게 어려운 모양입니다.
김진수 기자 :
이러한 인식 때문에 대부분 보호자들의 반대로 안구 기증을 등록한 사람 가운데 불과 1%만이 실제로 안구를 기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문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게다가 이미 미국, 일본 등지에서는 법으로 사망한 행려병자의 눈은 안구은행에서 먼저 쓸 수 있게 해놓은데 반해 우리나라는 아직 아무런 법적인 뒷받침이 없다는 점, 그리고 안은행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이 전혀 되고 있질 않은 점도 빛 못 보는 이들의 앞을 더욱 어둡게 하는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