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장광고문제 진단

입력 1990.08.13 (21: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성범 앵커 :

광고도 넓은 의미에서는 정보라고 볼 수는 있습니다. 현대는 광고 시대라는 말도 있고 그래서인지 우리는 광고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는 느낌입니다.

상품 가치의 표현이 지나치게 소비자에게 알려져서 엉뚱한 피해를 입히는 경우도 종종 나타납니다. 광고의 양도 그렇지만 특히 내용이 좀 과하지 않은가도 생각해볼 단계에 왔습니다.

지종학 기자의 보도입니다.


지종학 기자 :

새로 나온 상품치고 최고가 아닌 것이 없고 최대가 아닌 것이 없습니다.

변혁을 의미하는 대대적인 혁신이라는 단어는 상품의 색깔만 바꾸고 디자인만 조금 바꿔도 또는 정기적인 세일도 다 혁신 세일로 탈바꿈합니다.

의약품과 건강식품의 효과 중에 만병통치가 아닌 것이 없으며 광고문안 또는 안내 설명서의 효능란을 보면 못 고치는 병이 없습니다.

한국 소비자 보호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현재까지 접수된 과장 광고에 의한 소비자 고발은 전체 170건 가운데 화학제품과 의약품이 22.94%인 39건, 식품이 17%, 이어 가전제품이 13.53%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문제가 되는 수입 화장품은 상품의 원안에도 없는 하루아침에 피부를 바꿔주고 주름을 없애주며 심지어 바르는 크림이 몸의 균형도 변형시켜 준다고 선전합니다.


송병준 (소비자 보호원 홍보과장) :

식품이나 화장품을 마치 의약품처럼 광고해 가지고 소비자를 우롱하는 것이 있습니다.

이러한 광고는 소비자의 건강을 직접적으로 해치는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지종학 기자 :

최근 급격히 늘어난 영화 광고의 과장 광고는 권위 있는 해외영화제 수상작임을 위장하거나 서로 전통임을 내세운 폭력 영화 아니면 낯 뜨거운 외설 영화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송경호 (공연윤리위 광고부장) :

영화 작품이 많다 보니깐 최대 최고 이런 배타성 성격의 문구가 많아지면서 즉 과대 과장 표현이 많은 거죠.


지종학 기자 :

소비자의 입장에서 볼 때 일반 생활 용품의 과장광고가 경제적인 피해를 입힌다면은 영화 광고의 경우 정신적인 측면이 강조됩니다.

이같은 영화의 경우 외국 영화 수입이 개방됨에 따라 치열한 경쟁 속에 과장 광고는 더욱 늘어날 것이 예상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과장광고문제 진단
    • 입력 1990-08-13 21:00:00
    뉴스 9

박성범 앵커 :

광고도 넓은 의미에서는 정보라고 볼 수는 있습니다. 현대는 광고 시대라는 말도 있고 그래서인지 우리는 광고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는 느낌입니다.

상품 가치의 표현이 지나치게 소비자에게 알려져서 엉뚱한 피해를 입히는 경우도 종종 나타납니다. 광고의 양도 그렇지만 특히 내용이 좀 과하지 않은가도 생각해볼 단계에 왔습니다.

지종학 기자의 보도입니다.


지종학 기자 :

새로 나온 상품치고 최고가 아닌 것이 없고 최대가 아닌 것이 없습니다.

변혁을 의미하는 대대적인 혁신이라는 단어는 상품의 색깔만 바꾸고 디자인만 조금 바꿔도 또는 정기적인 세일도 다 혁신 세일로 탈바꿈합니다.

의약품과 건강식품의 효과 중에 만병통치가 아닌 것이 없으며 광고문안 또는 안내 설명서의 효능란을 보면 못 고치는 병이 없습니다.

한국 소비자 보호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현재까지 접수된 과장 광고에 의한 소비자 고발은 전체 170건 가운데 화학제품과 의약품이 22.94%인 39건, 식품이 17%, 이어 가전제품이 13.53%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문제가 되는 수입 화장품은 상품의 원안에도 없는 하루아침에 피부를 바꿔주고 주름을 없애주며 심지어 바르는 크림이 몸의 균형도 변형시켜 준다고 선전합니다.


송병준 (소비자 보호원 홍보과장) :

식품이나 화장품을 마치 의약품처럼 광고해 가지고 소비자를 우롱하는 것이 있습니다.

이러한 광고는 소비자의 건강을 직접적으로 해치는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지종학 기자 :

최근 급격히 늘어난 영화 광고의 과장 광고는 권위 있는 해외영화제 수상작임을 위장하거나 서로 전통임을 내세운 폭력 영화 아니면 낯 뜨거운 외설 영화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송경호 (공연윤리위 광고부장) :

영화 작품이 많다 보니깐 최대 최고 이런 배타성 성격의 문구가 많아지면서 즉 과대 과장 표현이 많은 거죠.


지종학 기자 :

소비자의 입장에서 볼 때 일반 생활 용품의 과장광고가 경제적인 피해를 입힌다면은 영화 광고의 경우 정신적인 측면이 강조됩니다.

이같은 영화의 경우 외국 영화 수입이 개방됨에 따라 치열한 경쟁 속에 과장 광고는 더욱 늘어날 것이 예상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