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문제, 협상으로 풀어야

입력 2002.10.22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제네바합의를 이끌었던 주역들은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지 궁금합니다.
한마디로 협상을 통해서 북한 핵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충고하고 있습니다.
워싱턴의 최재현 특파원입니다.
⊙기자: 클린턴 행정부 당시 대북 정책 담당자들은 부시 행정부가 현재 북한에 취할 수 있는 조처를 군사행동과 봉쇄정책 그리고 협상의 세 가지로 압축했습니다.
이들은 봉쇄정책은 북한의 본격적인 핵개발을 촉발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군사공격의 위험성을 경고했습니다.
⊙커트 켐벨(미 국방부 부차관보): (무력사용은)남한에만 수십만 명의 인명손실과 한반도의 파괴를 초래할 것입니다.
⊙기자: 따라서 비록 제네바 핵합의가 파기 위기에 몰렸지만 그 기본틀을 유지하면서 반드시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갈루치(전 북 핵 대사): 북한이 특별 핵 사찰을 받아들인다면 새로운 기본합의는 필요 없다고 봅니다.
⊙기자: 이번 사태를 촉발한 북한의 우라늄 농축기술이 과대 평가됐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아인혼(전 미 국무부 비확산 차관보): 분명한 것은 북한이 무기제조 수준의 농축 우라늄을 만들어 내지는 못 했다는 겁니다.
⊙기자: 칼루치 전 대사는 새 북미협상의 성공을 위해 북미 핵합의와 우방들의 대북 유인책을 일시 유보할 필요가 있다면서 속도 조절론도 제시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뉴스 최재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핵 문제, 협상으로 풀어야
    • 입력 2002-10-22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제네바합의를 이끌었던 주역들은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지 궁금합니다. 한마디로 협상을 통해서 북한 핵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충고하고 있습니다. 워싱턴의 최재현 특파원입니다. ⊙기자: 클린턴 행정부 당시 대북 정책 담당자들은 부시 행정부가 현재 북한에 취할 수 있는 조처를 군사행동과 봉쇄정책 그리고 협상의 세 가지로 압축했습니다. 이들은 봉쇄정책은 북한의 본격적인 핵개발을 촉발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군사공격의 위험성을 경고했습니다. ⊙커트 켐벨(미 국방부 부차관보): (무력사용은)남한에만 수십만 명의 인명손실과 한반도의 파괴를 초래할 것입니다. ⊙기자: 따라서 비록 제네바 핵합의가 파기 위기에 몰렸지만 그 기본틀을 유지하면서 반드시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갈루치(전 북 핵 대사): 북한이 특별 핵 사찰을 받아들인다면 새로운 기본합의는 필요 없다고 봅니다. ⊙기자: 이번 사태를 촉발한 북한의 우라늄 농축기술이 과대 평가됐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아인혼(전 미 국무부 비확산 차관보): 분명한 것은 북한이 무기제조 수준의 농축 우라늄을 만들어 내지는 못 했다는 겁니다. ⊙기자: 칼루치 전 대사는 새 북미협상의 성공을 위해 북미 핵합의와 우방들의 대북 유인책을 일시 유보할 필요가 있다면서 속도 조절론도 제시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뉴스 최재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