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생화학무기 최대생산국

입력 1991.11.08 (21: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성범 앵커 :

비교적 정확하게 북한의 핵개발 추진상황을 감시하고 있는 미국 등 선진국 정보기관들은 북한의 핵개발이 무기 개발단계에 가까워진 것으로 보고 북한이 핵사찰을 수락하도록 모든 가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견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우리측은 오늘 핵무기는 물론 생화학무기의 전면 폐지도 선언을 했지만 북한측은 많은 지역에 상당량의 각종 생화학무기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김재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김재철 기자 :

대량살상 능력면에서 핵무기 못지않는 화학생물의 무기는 1차세계대전시 독일군이 벨기에에서 불과 15분간 살충한 염소가스로 영국군과 프랑스군 5천명이 사망하고 2천5백 명이 포로가 되만5천여 명의 병사가 공포와 혼란에 빠졌습니다.

이렇게 엄청는 등 1난 살상력을 지닌 화학무기와 세균무기등의 화생무기는 1차세계대전후 일부 국가들이 계속 개발.생산.비축해 왔지만 서로가 보복이 두려워 2차대전때도 사용되지 않았고 최근 이라크도 연합군의 보복을 겁내 결국 사용하지 못했습니다.

화학무기 최대생산국중의 하나인 북한은 현재 신의주와 강계, 함흥등 3개지역에 화학무기 연구소를 두고 있고 아오지, 청진, 만포, 신의주, 함흥, 순천등 8개지역에 생산시설을 그리고 황촌, 삼산동, 사리원등 6개지역에 저장시설을 완비해 두고 있습니다.

국방부에 따르면 북한은 현재 연간 약 4,400톤의 수포성, 신경성 유독가스를 비롯한 화학무기 생산능력과 약 천 톤의 화학무기와 일부 세균무기까지 비축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연대 끝까지 화학소대를 편성해서 화생무기의 공격훈련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화생무기의 독성과 가공할만한 파괴력은 핵무기 못지않기 때문에 화학무기를 생산하거나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국제협약과 각국의 외교노력은 요즘 들어 한층 더 증폭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 생화학무기 최대생산국
    • 입력 1991-11-08 21:00:00
    뉴스 9

박성범 앵커 :

비교적 정확하게 북한의 핵개발 추진상황을 감시하고 있는 미국 등 선진국 정보기관들은 북한의 핵개발이 무기 개발단계에 가까워진 것으로 보고 북한이 핵사찰을 수락하도록 모든 가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견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우리측은 오늘 핵무기는 물론 생화학무기의 전면 폐지도 선언을 했지만 북한측은 많은 지역에 상당량의 각종 생화학무기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김재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김재철 기자 :

대량살상 능력면에서 핵무기 못지않는 화학생물의 무기는 1차세계대전시 독일군이 벨기에에서 불과 15분간 살충한 염소가스로 영국군과 프랑스군 5천명이 사망하고 2천5백 명이 포로가 되만5천여 명의 병사가 공포와 혼란에 빠졌습니다.

이렇게 엄청는 등 1난 살상력을 지닌 화학무기와 세균무기등의 화생무기는 1차세계대전후 일부 국가들이 계속 개발.생산.비축해 왔지만 서로가 보복이 두려워 2차대전때도 사용되지 않았고 최근 이라크도 연합군의 보복을 겁내 결국 사용하지 못했습니다.

화학무기 최대생산국중의 하나인 북한은 현재 신의주와 강계, 함흥등 3개지역에 화학무기 연구소를 두고 있고 아오지, 청진, 만포, 신의주, 함흥, 순천등 8개지역에 생산시설을 그리고 황촌, 삼산동, 사리원등 6개지역에 저장시설을 완비해 두고 있습니다.

국방부에 따르면 북한은 현재 연간 약 4,400톤의 수포성, 신경성 유독가스를 비롯한 화학무기 생산능력과 약 천 톤의 화학무기와 일부 세균무기까지 비축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연대 끝까지 화학소대를 편성해서 화생무기의 공격훈련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화생무기의 독성과 가공할만한 파괴력은 핵무기 못지않기 때문에 화학무기를 생산하거나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국제협약과 각국의 외교노력은 요즘 들어 한층 더 증폭되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