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인조 강도 수사 장비.인력 태부족

입력 1994.02.02 (21: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윤성 앵커 :

3인조 강도 속보입니다. 이번 떼강도에 며칠 동안 전 경찰력이 매달리다 시피 했습니다. 경찰을 질책하는 소리도 높았습니다. 그러나 이런 실정에서는 일선경찰도 할 말은 많습니다. 경찰의 현 인력이나 장비가, 뛰는 범죄를 따라 잡기는 힘들게 돼 있습니다. 특히, 맨몸으로 현장을 뛰고 있는 수사경찰의 할 말은 더욱 많다고 합니다.

그 실태를 장한식 기자가 취재를 했습니다.


장한식 기자 :

강도가 들었다는 신고를 받고, 순찰차가 현장으로 급히 달려갑니다.

분초를 다투는 긴박한 순간 입니다. 그러나 정작 사건현장에서 제 역할을 다하는 순찰차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출고된 지 5년이 지난 순찰차 입니다. 하루도 쉬지 않고 운행하다보니 고장이 잦아, 운행하는 날 만큼이나 이처럼 수리하는 날이 많습니다.


자동차 정비공 :

너무 노후 돼 가지고, 수리를 해도 소용이 없어요. 범인을 잡기는커녕 놓친다니까. 겨우 시동만 걸려 가는 거지 뭐.


장한식 기자 :

그나마, 이런 차량마저 아쉬운 곳이 많습니다. 서울과 성남을 잇는 대로변의 이 검문소에는, 차량이라고는 낡은 오토바이 한대뿐입니다. 기동력을 갖춘 강력범을 따라 잡기는 처음부터 불가능 합니다.


의무경찰 :

내리막길에서는, 시속90km까지 정도 나오고, 평지 길은 시속80km정도 달립니다.


장한식 기자 :

이거가지고 빠른 차는 어떻게 쫓아요?


의무경찰 :

그러니까, 이걸로는 추적이 불가능 하죠!


장한식 기자 :

파출소도 마찬가지 입니다. 다른 곳에서는 구경하기조차 힘든, 낡은 8bit 컴퓨터가 재산목록 1호 입니다. 무전기와 가스총 등’ 기본 장비마저 고장 난 것이 많습니다.


경찰관 :

사용 안하니까, 고체식이라 굳어져 분사해도 나올지 몰라요.


장한식 기자 :

설령, 훌륭한 장비가 있다 해도 운영할 인력이 없는 것이 더 큰 문제입니다. 직원이 16명인 이 파출소의 관할 인구는, 자그마치 3만8천명. 한 사람당 2천명이 넘습니다.


경찰관 :

실상, 이 전 구역을 커버하는 것은,2명이 이 넓은 구역을 담당해요.


장한식 기자 :

24시간 교대근무는 말할 것도 없고, 요즘처럼 방범비상령이 내리면, 비번까지 근무에 투입되는 격무의 연속입니다.


경찰관 :

당번 때 수당도 못 받는데, 비번 수당은 꿈도 못 꿔요. 불만 터뜨리면 나가라…….


장한식 기자 :

날로 늘어만 가는 범죄. 그러나 충분한 인력과 장비를 지급받지 못하는 우리경찰은, 이미 범죄와의 전쟁에서 패배해 가고 있는지 모릅니다.

KBS 뉴스, 장한식 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3인조 강도 수사 장비.인력 태부족
    • 입력 1994-02-02 21:00:00
    뉴스 9

이윤성 앵커 :

3인조 강도 속보입니다. 이번 떼강도에 며칠 동안 전 경찰력이 매달리다 시피 했습니다. 경찰을 질책하는 소리도 높았습니다. 그러나 이런 실정에서는 일선경찰도 할 말은 많습니다. 경찰의 현 인력이나 장비가, 뛰는 범죄를 따라 잡기는 힘들게 돼 있습니다. 특히, 맨몸으로 현장을 뛰고 있는 수사경찰의 할 말은 더욱 많다고 합니다.

그 실태를 장한식 기자가 취재를 했습니다.


장한식 기자 :

강도가 들었다는 신고를 받고, 순찰차가 현장으로 급히 달려갑니다.

분초를 다투는 긴박한 순간 입니다. 그러나 정작 사건현장에서 제 역할을 다하는 순찰차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출고된 지 5년이 지난 순찰차 입니다. 하루도 쉬지 않고 운행하다보니 고장이 잦아, 운행하는 날 만큼이나 이처럼 수리하는 날이 많습니다.


자동차 정비공 :

너무 노후 돼 가지고, 수리를 해도 소용이 없어요. 범인을 잡기는커녕 놓친다니까. 겨우 시동만 걸려 가는 거지 뭐.


장한식 기자 :

그나마, 이런 차량마저 아쉬운 곳이 많습니다. 서울과 성남을 잇는 대로변의 이 검문소에는, 차량이라고는 낡은 오토바이 한대뿐입니다. 기동력을 갖춘 강력범을 따라 잡기는 처음부터 불가능 합니다.


의무경찰 :

내리막길에서는, 시속90km까지 정도 나오고, 평지 길은 시속80km정도 달립니다.


장한식 기자 :

이거가지고 빠른 차는 어떻게 쫓아요?


의무경찰 :

그러니까, 이걸로는 추적이 불가능 하죠!


장한식 기자 :

파출소도 마찬가지 입니다. 다른 곳에서는 구경하기조차 힘든, 낡은 8bit 컴퓨터가 재산목록 1호 입니다. 무전기와 가스총 등’ 기본 장비마저 고장 난 것이 많습니다.


경찰관 :

사용 안하니까, 고체식이라 굳어져 분사해도 나올지 몰라요.


장한식 기자 :

설령, 훌륭한 장비가 있다 해도 운영할 인력이 없는 것이 더 큰 문제입니다. 직원이 16명인 이 파출소의 관할 인구는, 자그마치 3만8천명. 한 사람당 2천명이 넘습니다.


경찰관 :

실상, 이 전 구역을 커버하는 것은,2명이 이 넓은 구역을 담당해요.


장한식 기자 :

24시간 교대근무는 말할 것도 없고, 요즘처럼 방범비상령이 내리면, 비번까지 근무에 투입되는 격무의 연속입니다.


경찰관 :

당번 때 수당도 못 받는데, 비번 수당은 꿈도 못 꿔요. 불만 터뜨리면 나가라…….


장한식 기자 :

날로 늘어만 가는 범죄. 그러나 충분한 인력과 장비를 지급받지 못하는 우리경찰은, 이미 범죄와의 전쟁에서 패배해 가고 있는지 모릅니다.

KBS 뉴스, 장한식 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