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성 앵커 :
최근의 미래형 주택이라는, 주상복합 아파트의 건설이 봄을 이루고 있습니다. 주상복합 아파트하면은, 말 그대로 주거용 아파트하고 상가업무시설이 함께 들어있는 아파트입니다. 그곳에서 24시간 모든 생활을 할 수 있다는 아파트 입니다.
그러나, 상가와 업무시설은 구색만 갖추어져 있을 뿐, 사실은 정부의 규제를 피해서 분양가를 올려 받고 , 대형아파트를 팔기위한 편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런 지적입니다.
김주영 기자가 취재를 했습니다.
김주영 기자 :
완벽한 주거공간에 상가와 사무실까지, 모든 편의시설을 갖추었다는 주상복합아파트 입니다. 미래형 주택인 고충빌딩에서 쇼핑과 레저, 회사업무를 모두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이정철 (한라건설 주택사업부 이사) :
주거시설과 의무시설 또 상업시설, 운동시설, 근린생활시설을 갖고 있지만은 대다수의 면적은 업무시설로 할애가 돼 있습니다.
김주영 기자 :
곳곳에 들어서고 있는 주상복합건물은, 사업승인이 필요 없고, 백 가구 미만일 때는 분양가에도 제한이 없습니다. 그러나, 도심공동화를 막고 교통 혼잡도 줄여보자는 정부의 주상건물 장려정책은, 처음부터 당초계회에 어긋나고 있습니다. 주상복합물은, 대부분이 주거기능을 회복시켜야 하는 도심보다는 보라매공원과 강남지역 등 주거 밀집지역의 나대지에 집중적으로 들어서고 있습니다. 은행과 병원 등 업무시설은, 건축기준 때문에 구색만 갖추었을 뿐이고, 대형아파트 분양에만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박민철 (건설회사 현장공사 과장) :
단지나 전체의 용도가 어떤 면에서 주거용인지, 혼선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업무시설로 과연 여기 자리 잡기는 힘들지 않을까...
김주영 기자 :
주상복합아파트는, 주거시설이 50%를 넘을 수 없지만, 건설회사에서는 아파트분양만으로 채산성을 맞춘다는 계산을 하고 있습니다. 구매력 있는 부유층을 겨냥해서 분양면적이 60평에서 89평에 이르는데다 평당 분양가는, 천만 원에 가깝습니다.
주상건물 신축 붐은 분양가를 올려 받고, 호화아파트를 팔기 위한 편법일 뿐, 정부의 도시 재정비 계획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김기홍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
외국의 경우에 보면은, 주상복합 건물이 하나의 커다란 콤플렉스 내에 있습니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경우에 보면, 하나의 건물에 주거용도, 사무업무 용도를 같이 집어넣는다는 거는, 상당히 무리가 되겠죠.
김주영 기자 :
텅비어가는 도심에 활력을 준다는 본래의 취지는, 이미 퇴색해졌고 첨단빌딩으로써 제 기능을 할 수 있는지의 여부도 의문으로 남습니다.
KBS 뉴스, 김주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상복합 아파트 분양가 편법인상
-
- 입력 1994-06-07 21:00:00
이윤성 앵커 :
최근의 미래형 주택이라는, 주상복합 아파트의 건설이 봄을 이루고 있습니다. 주상복합 아파트하면은, 말 그대로 주거용 아파트하고 상가업무시설이 함께 들어있는 아파트입니다. 그곳에서 24시간 모든 생활을 할 수 있다는 아파트 입니다.
그러나, 상가와 업무시설은 구색만 갖추어져 있을 뿐, 사실은 정부의 규제를 피해서 분양가를 올려 받고 , 대형아파트를 팔기위한 편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런 지적입니다.
김주영 기자가 취재를 했습니다.
김주영 기자 :
완벽한 주거공간에 상가와 사무실까지, 모든 편의시설을 갖추었다는 주상복합아파트 입니다. 미래형 주택인 고충빌딩에서 쇼핑과 레저, 회사업무를 모두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이정철 (한라건설 주택사업부 이사) :
주거시설과 의무시설 또 상업시설, 운동시설, 근린생활시설을 갖고 있지만은 대다수의 면적은 업무시설로 할애가 돼 있습니다.
김주영 기자 :
곳곳에 들어서고 있는 주상복합건물은, 사업승인이 필요 없고, 백 가구 미만일 때는 분양가에도 제한이 없습니다. 그러나, 도심공동화를 막고 교통 혼잡도 줄여보자는 정부의 주상건물 장려정책은, 처음부터 당초계회에 어긋나고 있습니다. 주상복합물은, 대부분이 주거기능을 회복시켜야 하는 도심보다는 보라매공원과 강남지역 등 주거 밀집지역의 나대지에 집중적으로 들어서고 있습니다. 은행과 병원 등 업무시설은, 건축기준 때문에 구색만 갖추었을 뿐이고, 대형아파트 분양에만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박민철 (건설회사 현장공사 과장) :
단지나 전체의 용도가 어떤 면에서 주거용인지, 혼선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업무시설로 과연 여기 자리 잡기는 힘들지 않을까...
김주영 기자 :
주상복합아파트는, 주거시설이 50%를 넘을 수 없지만, 건설회사에서는 아파트분양만으로 채산성을 맞춘다는 계산을 하고 있습니다. 구매력 있는 부유층을 겨냥해서 분양면적이 60평에서 89평에 이르는데다 평당 분양가는, 천만 원에 가깝습니다.
주상건물 신축 붐은 분양가를 올려 받고, 호화아파트를 팔기 위한 편법일 뿐, 정부의 도시 재정비 계획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김기홍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
외국의 경우에 보면은, 주상복합 건물이 하나의 커다란 콤플렉스 내에 있습니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경우에 보면, 하나의 건물에 주거용도, 사무업무 용도를 같이 집어넣는다는 거는, 상당히 무리가 되겠죠.
김주영 기자 :
텅비어가는 도심에 활력을 준다는 본래의 취지는, 이미 퇴색해졌고 첨단빌딩으로써 제 기능을 할 수 있는지의 여부도 의문으로 남습니다.
KBS 뉴스, 김주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