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생활기록부 새로운 대학입학 평가기준

입력 1995.05.31 (21: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류근찬 앵커 :

앞서 보도해 드린 대입제도 또 중등학교 교육개혁 안에는 몇 가지 파격적인항목이 들어있습니다. 첫째 항목은 대학입시의 골격을 바꾸는 종합생활기록부의 도입을 들 수 있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자세히 알아봅니다.

안형환 기자입니다.


안형환 기자 :

지금 고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활기록부입니다. 3년 동안의 학교생활이 모두 기록돼 있다지만 이는 단순한 보관용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새로 등장하게 될 종합생활기록부는 사청이 전혀 다릅니다. 입시에서 15등급으로 된 현재의 내신 성적 대신 그 자체가 가장 중요한 전형자료가 됩니다. 그런 만큼 기록체제도 크게 바뀝니다.

먼저 지금의 형식뿐인 생활 평가란이 구체적인 내용으로 바뀝니다. 각종 수상실적이나 성격 . 품성 그리고 특별활동 . 봉사활동 등이 서술형으로 자세히 기록됩니다. 상급학교에서는 이 가운데 필요로 하는 요소를 입학전형에 활용합니다. 또 현재 생활기록부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인 전체 등수가 사라집니다. 대신 과목별 성취수준이나 과목별 석차가 기록됩니다. 결국 이제는 학교에서 전체 몇 등이란 서열개념이 완전히 사라지고 수학에서는 몇 등식으로 과목별 능력 개념만 남게 됩니다.


곽병선 (교육개혁위원회 위원) :

지금 우리 학교 교육은 서열주의로 비인간적인 경쟁심을 조장하고 있습니다.

이를 근본적으로 깨뜨려 가지고 학생들이 교과의 본질에 충실한 교육을 함으로써…….


안형환 기자 :

종합생활기록부는 내년부터 모든 초등학교와 중고등 학교에서 사용되며 고등학교와 대학입시에서 즉각 활용됩니다. 그러나 종합생활기록부가 학교교육의 정상화란 본래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평가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교사와 학부모들의 노력이 뒤따라야할 것입니다.

KBS 뉴스, 안형환 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종합생활기록부 새로운 대학입학 평가기준
    • 입력 1995-05-31 21:00:00
    뉴스 9

류근찬 앵커 :

앞서 보도해 드린 대입제도 또 중등학교 교육개혁 안에는 몇 가지 파격적인항목이 들어있습니다. 첫째 항목은 대학입시의 골격을 바꾸는 종합생활기록부의 도입을 들 수 있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자세히 알아봅니다.

안형환 기자입니다.


안형환 기자 :

지금 고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활기록부입니다. 3년 동안의 학교생활이 모두 기록돼 있다지만 이는 단순한 보관용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새로 등장하게 될 종합생활기록부는 사청이 전혀 다릅니다. 입시에서 15등급으로 된 현재의 내신 성적 대신 그 자체가 가장 중요한 전형자료가 됩니다. 그런 만큼 기록체제도 크게 바뀝니다.

먼저 지금의 형식뿐인 생활 평가란이 구체적인 내용으로 바뀝니다. 각종 수상실적이나 성격 . 품성 그리고 특별활동 . 봉사활동 등이 서술형으로 자세히 기록됩니다. 상급학교에서는 이 가운데 필요로 하는 요소를 입학전형에 활용합니다. 또 현재 생활기록부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인 전체 등수가 사라집니다. 대신 과목별 성취수준이나 과목별 석차가 기록됩니다. 결국 이제는 학교에서 전체 몇 등이란 서열개념이 완전히 사라지고 수학에서는 몇 등식으로 과목별 능력 개념만 남게 됩니다.


곽병선 (교육개혁위원회 위원) :

지금 우리 학교 교육은 서열주의로 비인간적인 경쟁심을 조장하고 있습니다.

이를 근본적으로 깨뜨려 가지고 학생들이 교과의 본질에 충실한 교육을 함으로써…….


안형환 기자 :

종합생활기록부는 내년부터 모든 초등학교와 중고등 학교에서 사용되며 고등학교와 대학입시에서 즉각 활용됩니다. 그러나 종합생활기록부가 학교교육의 정상화란 본래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평가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교사와 학부모들의 노력이 뒤따라야할 것입니다.

KBS 뉴스, 안형환 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