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이도 조절 실패, 교육당국 왜 헤메나
입력 2002.11.07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사정이 이렇게 되자 할 말이 없게 된 쪽은 지금 교육당국입니다.
올해도 왜 이렇게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는지 임병걸 기자가 분석해 봤습니다.
⊙기자: 난이도 조절에 실패한 첫번째 이유로는 재학생들의 학력 저하현상을 교육부가 충분히 감안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즉 현재 수험생들의 1학년 시절은 한 가지만 잘 해도 대학에 갈 수 있다는 교육정책이 실험됐던 시기였고, 이런 영향으로 재학생들의 실력이 지난해보다 더욱 낮아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문평기(서울 여의도교 교사): 문제 자체를 작년보다는 쉽게 내려고 노력한 흔적은 있는데 그걸 지금 고3 학생들은 못 따라가고 있는 거죠.
⊙기자: 여기에다 주요 대학들이 입시에서 5개영역 전체가 아니라 일부 영역만을 입시에 반영하면서 사탐과 과탐 등을 아예 포기하는 학생들이 늘어난 점도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실제로 가채점 결과 자연계열의 사탐 평균은 30.1점으로 지난해보다 무려 8.8점이나 낮아졌고, 인문계열의 과탐평균도 지난해보다 1.7점 낮아져 전체 평균을 끌어내렸습니다.
⊙이재우(중앙 교육 이사): 일부 영역을 반영하는 대학이 늘어나면서 수험생들은 미반영 영역에 대해서는 준비를 소홀히 하는 경향이 보다 심화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기자: 난이도 조절을 위해 현직 고교 교사를 출제위원에 대거 포함시키고 지난 9월에 모의평가까지 하는 등 나름대로 애썼다고는 하지만 교육부는 또 한 번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KBS뉴스 임병걸입니다.
올해도 왜 이렇게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는지 임병걸 기자가 분석해 봤습니다.
⊙기자: 난이도 조절에 실패한 첫번째 이유로는 재학생들의 학력 저하현상을 교육부가 충분히 감안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즉 현재 수험생들의 1학년 시절은 한 가지만 잘 해도 대학에 갈 수 있다는 교육정책이 실험됐던 시기였고, 이런 영향으로 재학생들의 실력이 지난해보다 더욱 낮아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문평기(서울 여의도교 교사): 문제 자체를 작년보다는 쉽게 내려고 노력한 흔적은 있는데 그걸 지금 고3 학생들은 못 따라가고 있는 거죠.
⊙기자: 여기에다 주요 대학들이 입시에서 5개영역 전체가 아니라 일부 영역만을 입시에 반영하면서 사탐과 과탐 등을 아예 포기하는 학생들이 늘어난 점도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실제로 가채점 결과 자연계열의 사탐 평균은 30.1점으로 지난해보다 무려 8.8점이나 낮아졌고, 인문계열의 과탐평균도 지난해보다 1.7점 낮아져 전체 평균을 끌어내렸습니다.
⊙이재우(중앙 교육 이사): 일부 영역을 반영하는 대학이 늘어나면서 수험생들은 미반영 영역에 대해서는 준비를 소홀히 하는 경향이 보다 심화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기자: 난이도 조절을 위해 현직 고교 교사를 출제위원에 대거 포함시키고 지난 9월에 모의평가까지 하는 등 나름대로 애썼다고는 하지만 교육부는 또 한 번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KBS뉴스 임병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난이도 조절 실패, 교육당국 왜 헤메나
-
- 입력 2002-11-07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사정이 이렇게 되자 할 말이 없게 된 쪽은 지금 교육당국입니다.
올해도 왜 이렇게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는지 임병걸 기자가 분석해 봤습니다.
⊙기자: 난이도 조절에 실패한 첫번째 이유로는 재학생들의 학력 저하현상을 교육부가 충분히 감안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즉 현재 수험생들의 1학년 시절은 한 가지만 잘 해도 대학에 갈 수 있다는 교육정책이 실험됐던 시기였고, 이런 영향으로 재학생들의 실력이 지난해보다 더욱 낮아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문평기(서울 여의도교 교사): 문제 자체를 작년보다는 쉽게 내려고 노력한 흔적은 있는데 그걸 지금 고3 학생들은 못 따라가고 있는 거죠.
⊙기자: 여기에다 주요 대학들이 입시에서 5개영역 전체가 아니라 일부 영역만을 입시에 반영하면서 사탐과 과탐 등을 아예 포기하는 학생들이 늘어난 점도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실제로 가채점 결과 자연계열의 사탐 평균은 30.1점으로 지난해보다 무려 8.8점이나 낮아졌고, 인문계열의 과탐평균도 지난해보다 1.7점 낮아져 전체 평균을 끌어내렸습니다.
⊙이재우(중앙 교육 이사): 일부 영역을 반영하는 대학이 늘어나면서 수험생들은 미반영 영역에 대해서는 준비를 소홀히 하는 경향이 보다 심화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기자: 난이도 조절을 위해 현직 고교 교사를 출제위원에 대거 포함시키고 지난 9월에 모의평가까지 하는 등 나름대로 애썼다고는 하지만 교육부는 또 한 번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KBS뉴스 임병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