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풍백화점 붕괴사고현장 구호장비와 물품 부족

입력 1995.07.01 (21: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류근찬 앵커 :

지휘체계 뿐 아니라 첫날부터 지적돼온 장비부족이라든지 물품부족 현상도 지금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나마 시민들이 보내온 구호물품으로 현재 지탱을 하고 있지만은 역부족이라는 그런 현장소식입니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이해가 안 되는 부분입니다. 서울시나 그 행정당국은 대체 지금 무얼 하고 있느냐 하는 그런 비난을 면키가 어렵게 돼 있습니다.

조재익 기자의 보도입니다.


조재익 기자 :

대형 참사현장 한 녘에 마련된 구호물품 접수처. 각종 구호물품둘이 남아돌듯 쌓여있지만 여전히 부족한 게 많습니다. 손전등이 면 마스크에서부터 발전기까지 부족하다는 방마저 불었습니다. 사고가 난지 벌써 사흘째지만 이런 현상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천승수 (자원봉사자) :

각 본부에 찾아가서 얼음 지원요청을 했습니다마는 방송국에 가서 인터뷰를 하는 것이 가장 빠르다고 해서 찾아 왔습니다.


조재익 기자 :

행정당국에서는 물품조달에 거의 손을 놓다시피 하고 민간도움만 호소하는 형편입니다. 실제로 이번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에서는 구조요원들이 쓸 이런 안전모가 부족해 멀리 강원도 탄광에서까지 빌려 오는 일마저 생겼습니다. 한마디로 재해에 대비한 비축물자를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구조작업의 선두에 서야할 구조대도 당장 쓸 것 외에는 별다른 비축장비가 없습니다. 절단기이며 유압자키 등, 기본적인 장비들마저 예비 분은 생각지도 못합니다.


최재흥 (내무부 소방국장) :

삼풍백화점처럼 그런 사고를 대비해서 유압절단기를 한개만 있는 게 아니라 10개도 미리 사놔야 되는 게 아니냐. 그것도 맞는 말이에요. 그러나 장비예산이 그렇게 10개씩 비축을 해놓을 만큼 예산이 있느냐.


조재익 기자 :

재해가 날 때마다 지적되는 장비부족, 물품부족, 언제까지 이런 일이 반복될지 아쉽기만 합니다.

KBS 뉴스, 조재익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삼풍백화점 붕괴사고현장 구호장비와 물품 부족
    • 입력 1995-07-01 21:00:00
    뉴스 9

류근찬 앵커 :

지휘체계 뿐 아니라 첫날부터 지적돼온 장비부족이라든지 물품부족 현상도 지금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나마 시민들이 보내온 구호물품으로 현재 지탱을 하고 있지만은 역부족이라는 그런 현장소식입니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이해가 안 되는 부분입니다. 서울시나 그 행정당국은 대체 지금 무얼 하고 있느냐 하는 그런 비난을 면키가 어렵게 돼 있습니다.

조재익 기자의 보도입니다.


조재익 기자 :

대형 참사현장 한 녘에 마련된 구호물품 접수처. 각종 구호물품둘이 남아돌듯 쌓여있지만 여전히 부족한 게 많습니다. 손전등이 면 마스크에서부터 발전기까지 부족하다는 방마저 불었습니다. 사고가 난지 벌써 사흘째지만 이런 현상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천승수 (자원봉사자) :

각 본부에 찾아가서 얼음 지원요청을 했습니다마는 방송국에 가서 인터뷰를 하는 것이 가장 빠르다고 해서 찾아 왔습니다.


조재익 기자 :

행정당국에서는 물품조달에 거의 손을 놓다시피 하고 민간도움만 호소하는 형편입니다. 실제로 이번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에서는 구조요원들이 쓸 이런 안전모가 부족해 멀리 강원도 탄광에서까지 빌려 오는 일마저 생겼습니다. 한마디로 재해에 대비한 비축물자를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구조작업의 선두에 서야할 구조대도 당장 쓸 것 외에는 별다른 비축장비가 없습니다. 절단기이며 유압자키 등, 기본적인 장비들마저 예비 분은 생각지도 못합니다.


최재흥 (내무부 소방국장) :

삼풍백화점처럼 그런 사고를 대비해서 유압절단기를 한개만 있는 게 아니라 10개도 미리 사놔야 되는 게 아니냐. 그것도 맞는 말이에요. 그러나 장비예산이 그렇게 10개씩 비축을 해놓을 만큼 예산이 있느냐.


조재익 기자 :

재해가 날 때마다 지적되는 장비부족, 물품부족, 언제까지 이런 일이 반복될지 아쉽기만 합니다.

KBS 뉴스, 조재익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