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학 교육여건 악화

입력 1997.05.28 (21: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류근찬 앵커 :

다음 소식입니다. 최근 대학설립이 늘어나고 또 입학정원도 대폭 증가하고 있지만 우리 대학의 교육여건은 점점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사립대학의 경우가 그렇습니다. 한국 대학교육협의회가 오늘 발표한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현주소를 살펴보면 우리 대학발전의 걸림돌이 여기저기에 도사리고 있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안형환 기자의 보도입니다.


⊙안형환 기자 :

국내 대학 가운데 가장 많은 책을 보유하고 있는 서울대학교 도서관입니다. 이 도서관의 책은 약 190만권 학생 1인당 65권 정도입니다. 미국 하버드대의 학생 1인당 약 천6백권과는 비교조차 어렵습니다. 그래도 서울대의 사정은 나은 편입니다. 전국 대부분 대학의 학생 1인당 장서수는 서울대의 절반 정도에 불구하고 이마저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 형편입니다. 지난 91년 전국 대학의 학생 1인당 장서수는 평균 48권이었지만 지난해에는 38권으로 낮아졌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학생 1인당 강의실 면적도 같은 기간에 절반정도 줄어드는 등 교육여건은 점점 나빠지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우리나라 대학의 75% 이상을 차지하는 사립대학 법인의 재정 문제가 큰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지난 90년 157만원이었던 사립대 학생 등록금은 5년 동안 2배 이상 올랐지만 학교법인이 학교에 내놓는 돈은 오히려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이현청 (대학교육협의회 연구소장) :

사립대학의 경우에는 세입 가운데서 등록금이 차지하는 비율이 70% 가까이에 달해서 세입구조의 변화 없이는 대학 발전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형환 기자 :

한편 성적 불량 등으로 학사경고를 받은 학생은 지난 90년 3.7%에서 95년에 5.9%로 높아지는 등 전체적으로 대학 학사관리는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S 뉴스, 안형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 대학 교육여건 악화
    • 입력 1997-05-28 21:00:00
    뉴스 9

⊙류근찬 앵커 :

다음 소식입니다. 최근 대학설립이 늘어나고 또 입학정원도 대폭 증가하고 있지만 우리 대학의 교육여건은 점점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사립대학의 경우가 그렇습니다. 한국 대학교육협의회가 오늘 발표한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현주소를 살펴보면 우리 대학발전의 걸림돌이 여기저기에 도사리고 있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안형환 기자의 보도입니다.


⊙안형환 기자 :

국내 대학 가운데 가장 많은 책을 보유하고 있는 서울대학교 도서관입니다. 이 도서관의 책은 약 190만권 학생 1인당 65권 정도입니다. 미국 하버드대의 학생 1인당 약 천6백권과는 비교조차 어렵습니다. 그래도 서울대의 사정은 나은 편입니다. 전국 대부분 대학의 학생 1인당 장서수는 서울대의 절반 정도에 불구하고 이마저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 형편입니다. 지난 91년 전국 대학의 학생 1인당 장서수는 평균 48권이었지만 지난해에는 38권으로 낮아졌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학생 1인당 강의실 면적도 같은 기간에 절반정도 줄어드는 등 교육여건은 점점 나빠지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우리나라 대학의 75% 이상을 차지하는 사립대학 법인의 재정 문제가 큰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지난 90년 157만원이었던 사립대 학생 등록금은 5년 동안 2배 이상 올랐지만 학교법인이 학교에 내놓는 돈은 오히려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이현청 (대학교육협의회 연구소장) :

사립대학의 경우에는 세입 가운데서 등록금이 차지하는 비율이 70% 가까이에 달해서 세입구조의 변화 없이는 대학 발전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형환 기자 :

한편 성적 불량 등으로 학사경고를 받은 학생은 지난 90년 3.7%에서 95년에 5.9%로 높아지는 등 전체적으로 대학 학사관리는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S 뉴스, 안형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