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일본.중국.러시아 등 '4강'을 남북한 통일 동조자로

입력 1998.08.15 (21: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4강'을 동조자로


⊙ 김종진 앵커 :

한반도를 에워싸고 있는 외적요인도 통일의 또다른 걸림돌입니다.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주변 4강이 남북한 통일에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보도에 이강덕 기자입니다.


⊙ 이강덕 기자 :

한반도 통일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나라 미국, 공식적으로 우리정부의 평화통일 정책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대북 정책은 북한의 붕괴를 막기위한 연착륙 정책이어서 미국이 한반도의 현상유지 쪽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독일 통일이 미국의 확고한 지지속에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미국이 한반도 통일에 적극적인 기여자로 나설 수 있도록 실리와 명분을 제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 훙순영 장관 (외교통상부) :

그때에 서독은 자유민주주의가 통일보다 우선하는 가치다 이러한 아주 확고한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죠. 그래서 통일은 자유를 동독지역에 확산시키는 그런 수단이다, 이렇게 봤다 하는 것이 아주 특징적인 교훈이구요...


⊙ 이강덕 기자 :

일본도 막상 통일 문제에 대해서는 소극적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반도 통일로 주변 역학관계가 변화될 것이라는 일본의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미래상에 대한 韓日 양국의 지속적인 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남북한의 통일보다는 평화공존을 원하고 있는 중국, 그리고 남북한 등거리 외교를 꿈꾸며 한반도 문제에 개입할 의욕을 보이고 있는 러시아도 한반도 통일 과정의 주요 변수입니다. 남북한의 통일이 주변 4대국의 이익에도 부합할 것이라는 외교적 노력이 가속화될 통일의 외적 걸림돌들은 하나 둘씩 제거될 수 있을 것입니다.

KBS 뉴스 이강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일본.중국.러시아 등 '4강'을 남북한 통일 동조자로
    • 입력 1998-08-15 21:00:00
    뉴스 9

@'4강'을 동조자로


⊙ 김종진 앵커 :

한반도를 에워싸고 있는 외적요인도 통일의 또다른 걸림돌입니다.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주변 4강이 남북한 통일에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보도에 이강덕 기자입니다.


⊙ 이강덕 기자 :

한반도 통일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나라 미국, 공식적으로 우리정부의 평화통일 정책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대북 정책은 북한의 붕괴를 막기위한 연착륙 정책이어서 미국이 한반도의 현상유지 쪽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독일 통일이 미국의 확고한 지지속에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미국이 한반도 통일에 적극적인 기여자로 나설 수 있도록 실리와 명분을 제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 훙순영 장관 (외교통상부) :

그때에 서독은 자유민주주의가 통일보다 우선하는 가치다 이러한 아주 확고한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죠. 그래서 통일은 자유를 동독지역에 확산시키는 그런 수단이다, 이렇게 봤다 하는 것이 아주 특징적인 교훈이구요...


⊙ 이강덕 기자 :

일본도 막상 통일 문제에 대해서는 소극적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반도 통일로 주변 역학관계가 변화될 것이라는 일본의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미래상에 대한 韓日 양국의 지속적인 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남북한의 통일보다는 평화공존을 원하고 있는 중국, 그리고 남북한 등거리 외교를 꿈꾸며 한반도 문제에 개입할 의욕을 보이고 있는 러시아도 한반도 통일 과정의 주요 변수입니다. 남북한의 통일이 주변 4대국의 이익에도 부합할 것이라는 외교적 노력이 가속화될 통일의 외적 걸림돌들은 하나 둘씩 제거될 수 있을 것입니다.

KBS 뉴스 이강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