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 김현수 기자 :
주로 농민들을 상대로 연 이율 20%의 높은 이자를 주겠다며 투자금을 유치해온 도시 외곽의 한 파이낸스사 지점입니다. 그러나 최근 사무실이 잠겨있고 직원들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습니다. 업주가 고객의 투자금을 가로채 달아난 것입니다. 이 때문에 김해평야에서 20년간 배추 농사로 모은 돈을 투자해온 한 농부는 1억 4,000만 원을 날렸습니다.
⊙ 투자 피해자 :
시집 온 뒤 10년 세월로 농사를 져 가지고 그것을 한꺼번에 돈을 다 날리면.
⊙ 김현수 기자 :
추곡수매한 돈 600만 원과 적금까지 해약해 투자한 농부는 헛 농사를 지은 셈입니다.
⊙ 투자 피해자 :
농사 짓고 모은거 하고 벌어 모아 놓은 돈, 한몫에 탁 털어 넣었죠.
⊙ 김현수 기자 :
정보에 어두운 농민들이 쉽게 돈벌 수 있다는 말에 넘어간 것입니다.
⊙ 파이낸스사 전 직원 :
천만원 투자해 한달에 2백만 원 준다면 농촌 근로의욕이 상실될 것이고..
⊙ 김현수 기자 :
파이낸스 등 유사 금융업체가 새로운 활동무대로 삼은 농촌지역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입니다. 겨울철 영농자금을 노리는 파이낸스사들은 인구 5만 이하의 중소형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지점을 설립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간판을 바꿔 달거나 계모임을 통해 은밀하게 농촌지역을 파고들어 잘 드러나지도 않고 있습니다.
⊙ 투자 피해자 :
계모임 할 때 여자들이 많이 온다 아닙니까, 돈 벌을 궁리 그런게 나오니까..
⊙ 김현수 기자 :
이처럼 파이낸스 등이 간판을 바꿔 달거나 계모임 등을 통해 투자자금을 모은 뒤에는 철새처럼 자리를 뜨고 있어 농촌지역의 피해는 계속될 것으로 우려됩니다.
KBS 뉴스, 김현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농촌지역, 유사금융업체 피해 사례
-
- 입력 2000-01-04 21:00:00

농촌
⊙ 김현수 기자 :
주로 농민들을 상대로 연 이율 20%의 높은 이자를 주겠다며 투자금을 유치해온 도시 외곽의 한 파이낸스사 지점입니다. 그러나 최근 사무실이 잠겨있고 직원들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습니다. 업주가 고객의 투자금을 가로채 달아난 것입니다. 이 때문에 김해평야에서 20년간 배추 농사로 모은 돈을 투자해온 한 농부는 1억 4,000만 원을 날렸습니다.
⊙ 투자 피해자 :
시집 온 뒤 10년 세월로 농사를 져 가지고 그것을 한꺼번에 돈을 다 날리면.
⊙ 김현수 기자 :
추곡수매한 돈 600만 원과 적금까지 해약해 투자한 농부는 헛 농사를 지은 셈입니다.
⊙ 투자 피해자 :
농사 짓고 모은거 하고 벌어 모아 놓은 돈, 한몫에 탁 털어 넣었죠.
⊙ 김현수 기자 :
정보에 어두운 농민들이 쉽게 돈벌 수 있다는 말에 넘어간 것입니다.
⊙ 파이낸스사 전 직원 :
천만원 투자해 한달에 2백만 원 준다면 농촌 근로의욕이 상실될 것이고..
⊙ 김현수 기자 :
파이낸스 등 유사 금융업체가 새로운 활동무대로 삼은 농촌지역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입니다. 겨울철 영농자금을 노리는 파이낸스사들은 인구 5만 이하의 중소형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지점을 설립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간판을 바꿔 달거나 계모임을 통해 은밀하게 농촌지역을 파고들어 잘 드러나지도 않고 있습니다.
⊙ 투자 피해자 :
계모임 할 때 여자들이 많이 온다 아닙니까, 돈 벌을 궁리 그런게 나오니까..
⊙ 김현수 기자 :
이처럼 파이낸스 등이 간판을 바꿔 달거나 계모임 등을 통해 투자자금을 모은 뒤에는 철새처럼 자리를 뜨고 있어 농촌지역의 피해는 계속될 것으로 우려됩니다.
KBS 뉴스, 김현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