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연합훈련 중단 ‘지침’ 마련…“전작권 환수도 신속 추진”

입력 2018.06.29 (06:27) 수정 2018.06.29 (09: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한미연합훈련이 잠정 중단된 것과 관련해 한미 군 당국이 구체적인 지침 마련에 나섰습니다.

연합훈련의 규모와 시기, 내용 등은 북한의 비핵화 진전에 따라 한미가 동맹 차원에서 협의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김영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북미정상회담 이후 한미연합훈련이 잠정 중단된 뒤 처음으로 열린 한미 국방장관 회담,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은 연합훈련의 유예는 북한의 비핵화 조치를 위한 군 차원의 노력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매티스/美 국방장관 : "(훈련 유예는) 외교관들의 협상 기회를 늘리고,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에 대한 기대도 높이고 있습니다."]

연합훈련 중단과 재개 여부에 대한 큰 틀의 지침도 마련됐습니다.

한미 국방 장관은 북한의 비핵화 진전과 각 부대 전투대비태세를 고려해 연합훈련 시기와 규모, 내용을 협의한 뒤 공동발표하기로 합의했습니다.

한반도에서 실시되는 한미연합훈련의 축소, 나아가 중단 여부는 결국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 달려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송영무/국방부 장관 : "공동합의에 따라 상호 신뢰구축과 평화 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조치를 강구해 나갈 것입니다."]

다만, 군사대비태세를 유지하기 위해 지휘소 훈련, 시뮬레이션 형식을 동원해 연중 전투준비태세를 갖추는 방안도 논의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이번 회담에서 전작권 전환 논의도 "상당한 진전"을 이룬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전작권 전환의 전제 조건은 한국 군의 군사능력, 북 핵과 미사일 대응체계, 한반도 안보 환경이 충족될 경우입니다.

최근 한반도 안보 환경이 급속도로 바뀌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북한 비핵화의 진전 속도에 따라 2023년으로 예상된 전환 시기도 앞당겨질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영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미, 연합훈련 중단 ‘지침’ 마련…“전작권 환수도 신속 추진”
    • 입력 2018-06-29 06:28:33
    • 수정2018-06-29 09:44:12
    뉴스광장 1부
[앵커]

최근 한미연합훈련이 잠정 중단된 것과 관련해 한미 군 당국이 구체적인 지침 마련에 나섰습니다.

연합훈련의 규모와 시기, 내용 등은 북한의 비핵화 진전에 따라 한미가 동맹 차원에서 협의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김영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북미정상회담 이후 한미연합훈련이 잠정 중단된 뒤 처음으로 열린 한미 국방장관 회담,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은 연합훈련의 유예는 북한의 비핵화 조치를 위한 군 차원의 노력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매티스/美 국방장관 : "(훈련 유예는) 외교관들의 협상 기회를 늘리고,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에 대한 기대도 높이고 있습니다."]

연합훈련 중단과 재개 여부에 대한 큰 틀의 지침도 마련됐습니다.

한미 국방 장관은 북한의 비핵화 진전과 각 부대 전투대비태세를 고려해 연합훈련 시기와 규모, 내용을 협의한 뒤 공동발표하기로 합의했습니다.

한반도에서 실시되는 한미연합훈련의 축소, 나아가 중단 여부는 결국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 달려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송영무/국방부 장관 : "공동합의에 따라 상호 신뢰구축과 평화 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조치를 강구해 나갈 것입니다."]

다만, 군사대비태세를 유지하기 위해 지휘소 훈련, 시뮬레이션 형식을 동원해 연중 전투준비태세를 갖추는 방안도 논의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이번 회담에서 전작권 전환 논의도 "상당한 진전"을 이룬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전작권 전환의 전제 조건은 한국 군의 군사능력, 북 핵과 미사일 대응체계, 한반도 안보 환경이 충족될 경우입니다.

최근 한반도 안보 환경이 급속도로 바뀌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북한 비핵화의 진전 속도에 따라 2023년으로 예상된 전환 시기도 앞당겨질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영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