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새로운 선택지로 주목받는 ‘태아 치료’

입력 2018.07.09 (12:51) 수정 2018.07.09 (12: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생후 얼마 안 돼 숨지거나 심각한 장애가 남을 수 있는 아기를 뱃속에 있는 동안 치료하는 '태아 치료'가 아기와 가족에게 새로운 희망이 되고 있습니다.

[리포트]

다카코 씨는 임신 6개월 때 초음파 검사에서 태아가 '선천성 횡격막 탈장'이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횡격막에 구멍이 나 있어 위와 장이 가슴으로 들어가 폐를 압박하고 그 결과 폐가 제대로 자라지 못해 스스로 호흡을 할 수 없는 난치병입니다.

[다카코/어머니 : "아기만 건강하게 태어난다면 저는 어떻게 되든 상관없으니까 뭐든 해 보고 싶었어요.하지만 방법이 없어서 괴로웠습니다."]

그때 병원에서 제안받은 게 '태아 치료'였습니다.

어머니의 배를 통해 내시경 카메라가 달린 가는 관을 태아의 입으로 넣습니다.

관 끝에 달린 풍선을 부풀려 기도를 막습니다.

분비되는 액체를 폐에 고이게 해 폐를 부풀리는 것입니다.

수술이 성공해 아기는 무사히 태어나 스스로 호흡을 하고 장애도 남지 않았습니다.

임신 중 태아의 이상 여부를 검사하는 출생전 진단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태아 치료가 새로운 선택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日, 새로운 선택지로 주목받는 ‘태아 치료’
    • 입력 2018-07-09 12:53:25
    • 수정2018-07-09 12:58:32
    뉴스 12
[앵커]

생후 얼마 안 돼 숨지거나 심각한 장애가 남을 수 있는 아기를 뱃속에 있는 동안 치료하는 '태아 치료'가 아기와 가족에게 새로운 희망이 되고 있습니다.

[리포트]

다카코 씨는 임신 6개월 때 초음파 검사에서 태아가 '선천성 횡격막 탈장'이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횡격막에 구멍이 나 있어 위와 장이 가슴으로 들어가 폐를 압박하고 그 결과 폐가 제대로 자라지 못해 스스로 호흡을 할 수 없는 난치병입니다.

[다카코/어머니 : "아기만 건강하게 태어난다면 저는 어떻게 되든 상관없으니까 뭐든 해 보고 싶었어요.하지만 방법이 없어서 괴로웠습니다."]

그때 병원에서 제안받은 게 '태아 치료'였습니다.

어머니의 배를 통해 내시경 카메라가 달린 가는 관을 태아의 입으로 넣습니다.

관 끝에 달린 풍선을 부풀려 기도를 막습니다.

분비되는 액체를 폐에 고이게 해 폐를 부풀리는 것입니다.

수술이 성공해 아기는 무사히 태어나 스스로 호흡을 하고 장애도 남지 않았습니다.

임신 중 태아의 이상 여부를 검사하는 출생전 진단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태아 치료가 새로운 선택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