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24 현장] ‘패스트푸드 매장’에서 사는 홍콩 사람들
입력 2018.08.10 (20:34)
수정 2018.08.10 (20: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맥난민이라는 말, 들어보셨습니까?
세계적인 패스트푸드 업체인 맥도날드와 난민을 더한 단어로 맥도날드에서 밤을 보내는 사람들을 의미하는데요.
홍콩에선 이런 맥난민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지 특파원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김도엽 특파원, 홍콩 시민들 중 일부가 패스트푸드점에서 밤을 보낸다죠?
[기자]
네, 홍콩 현지에서는 맥 레퓨지, 그러니까 맥도널즈와 난민을 뜻하는 레퓨지를 합성해서 이들을 이렇게 부르고 있습니다.
홍콩의 한 패스트푸드 매장입니다.
매장 여기저기에 엎드려 잠을 청하는 사람들이 눈에 띕니다.
일부는 의자에 누워있기도 합니다.
이들 모두 이른바 맥난민들입니다.
한 단체가 지난 6월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4시간 영업하는 홍콩 내 110개 패스트푸드 매장에서 최소 3개월 동안 밤을 보낸 홍콩사람들이 300명이 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5년 전에 비해 무려 6배 가량 증가한 겁니다.
특히 한 매장에선 무려 30명이 넘는 사람들이 밤을 보내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앵커]
집이나 직장이 없기 때문에 이곳에서 생활하고 있는 건가요?
[기자]
네, 아마 대부분 노숙자일 것이라 예상하실텐데요.
물론 노숙자가 대부분입니다만 일부는 거주지나 직장이 있음에도 패스트 푸드 매장에서 밤을 보내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남성은 청소 업체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매일 저녁 퇴근 후 패스트 푸드매장으로 향합니다.
직장 생활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벌써 수년 째 맥난민 생활을 이어가고 있는 겁니다.
[맥난민 : "저는 맥도날드에서 잠을 잡니다. 양치질을 할 수도 있고 세수를 할 수도 있죠."]
실제로 50여 명의 맥난민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57%는 취업인이었고, 71%는 주택을 가지고 있거나 세입자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앵커]
돈을 벌거나 집이 있는데도 이렇게 패스트푸드 매장에서 생활하는 이유는 뭡니까?
[기자]
네, 미국 CNN 등은 홍콩에서 주거비용과 관련한 부담이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전했습니다.
중산층 아파트 가격이 평당 1억원을 넘어설 정도로 홍콩의 주택 가격은 임계점을 사실상 넘어서고 있습니다.
[폴 찬/홍콩 재정사 사장 : "지난 몇년 간 주택 공급 부족과 초저금리 등으로 시민들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땅값이 치솟았습니다."]
비싼 임차료를 내고 방 한칸을 얻어 생활하는 사람들의 사정도 여의치 않습니다.
주거 환경이 패스트 푸드 점보다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맥난민 : "(여기서는) 여름에 에어컨을 쐴 수 있어 좋죠. 비나 바람을 걱정할 필요도 없고요."]
임차료가 저렴한 공공임대 주택의 입주를 기다리며 맥난민 생활을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입주 지원자 수가 27만 명에 달해 입주하기까지 평균 대기 기간도 5년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결국 악명 높은 홍콩의 집값 때문인 건데요.
이와 관련한 대책을 마련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기자]
네, 홍콩 정부는 지난 6월 주택 시장 안정을 위해 빈집세를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힌바 있습니다.
주택 개발업자가 분양한 아파트가 1년 이상 팔리지 않고 빈집으로 남아 있으면 임대료의 두 배에 해당하는 금액을 세금으로 부과하겠다는 겁니다.
집세를 내리게 하겠다는 거죠.
또 최근 홍콩 은행들이 주택담보 대출의 금리를 0.1%~ 0.2% 가량 인상하기도 했는데요.
이같은 정책들로 천정부지로 치솟는 홍콩의 주택 가격의 상승세가 꺾일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상하이었습니다.
맥난민이라는 말, 들어보셨습니까?
세계적인 패스트푸드 업체인 맥도날드와 난민을 더한 단어로 맥도날드에서 밤을 보내는 사람들을 의미하는데요.
홍콩에선 이런 맥난민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지 특파원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김도엽 특파원, 홍콩 시민들 중 일부가 패스트푸드점에서 밤을 보낸다죠?
[기자]
네, 홍콩 현지에서는 맥 레퓨지, 그러니까 맥도널즈와 난민을 뜻하는 레퓨지를 합성해서 이들을 이렇게 부르고 있습니다.
홍콩의 한 패스트푸드 매장입니다.
매장 여기저기에 엎드려 잠을 청하는 사람들이 눈에 띕니다.
일부는 의자에 누워있기도 합니다.
이들 모두 이른바 맥난민들입니다.
한 단체가 지난 6월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4시간 영업하는 홍콩 내 110개 패스트푸드 매장에서 최소 3개월 동안 밤을 보낸 홍콩사람들이 300명이 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5년 전에 비해 무려 6배 가량 증가한 겁니다.
특히 한 매장에선 무려 30명이 넘는 사람들이 밤을 보내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앵커]
집이나 직장이 없기 때문에 이곳에서 생활하고 있는 건가요?
[기자]
네, 아마 대부분 노숙자일 것이라 예상하실텐데요.
물론 노숙자가 대부분입니다만 일부는 거주지나 직장이 있음에도 패스트 푸드 매장에서 밤을 보내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남성은 청소 업체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매일 저녁 퇴근 후 패스트 푸드매장으로 향합니다.
직장 생활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벌써 수년 째 맥난민 생활을 이어가고 있는 겁니다.
[맥난민 : "저는 맥도날드에서 잠을 잡니다. 양치질을 할 수도 있고 세수를 할 수도 있죠."]
실제로 50여 명의 맥난민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57%는 취업인이었고, 71%는 주택을 가지고 있거나 세입자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앵커]
돈을 벌거나 집이 있는데도 이렇게 패스트푸드 매장에서 생활하는 이유는 뭡니까?
[기자]
네, 미국 CNN 등은 홍콩에서 주거비용과 관련한 부담이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전했습니다.
중산층 아파트 가격이 평당 1억원을 넘어설 정도로 홍콩의 주택 가격은 임계점을 사실상 넘어서고 있습니다.
[폴 찬/홍콩 재정사 사장 : "지난 몇년 간 주택 공급 부족과 초저금리 등으로 시민들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땅값이 치솟았습니다."]
비싼 임차료를 내고 방 한칸을 얻어 생활하는 사람들의 사정도 여의치 않습니다.
주거 환경이 패스트 푸드 점보다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맥난민 : "(여기서는) 여름에 에어컨을 쐴 수 있어 좋죠. 비나 바람을 걱정할 필요도 없고요."]
임차료가 저렴한 공공임대 주택의 입주를 기다리며 맥난민 생활을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입주 지원자 수가 27만 명에 달해 입주하기까지 평균 대기 기간도 5년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결국 악명 높은 홍콩의 집값 때문인 건데요.
이와 관련한 대책을 마련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기자]
네, 홍콩 정부는 지난 6월 주택 시장 안정을 위해 빈집세를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힌바 있습니다.
주택 개발업자가 분양한 아파트가 1년 이상 팔리지 않고 빈집으로 남아 있으면 임대료의 두 배에 해당하는 금액을 세금으로 부과하겠다는 겁니다.
집세를 내리게 하겠다는 거죠.
또 최근 홍콩 은행들이 주택담보 대출의 금리를 0.1%~ 0.2% 가량 인상하기도 했는데요.
이같은 정책들로 천정부지로 치솟는 홍콩의 주택 가격의 상승세가 꺾일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상하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글로벌24 현장] ‘패스트푸드 매장’에서 사는 홍콩 사람들
-
- 입력 2018-08-10 20:42:08
- 수정2018-08-10 20:47:53

[앵커]
맥난민이라는 말, 들어보셨습니까?
세계적인 패스트푸드 업체인 맥도날드와 난민을 더한 단어로 맥도날드에서 밤을 보내는 사람들을 의미하는데요.
홍콩에선 이런 맥난민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지 특파원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김도엽 특파원, 홍콩 시민들 중 일부가 패스트푸드점에서 밤을 보낸다죠?
[기자]
네, 홍콩 현지에서는 맥 레퓨지, 그러니까 맥도널즈와 난민을 뜻하는 레퓨지를 합성해서 이들을 이렇게 부르고 있습니다.
홍콩의 한 패스트푸드 매장입니다.
매장 여기저기에 엎드려 잠을 청하는 사람들이 눈에 띕니다.
일부는 의자에 누워있기도 합니다.
이들 모두 이른바 맥난민들입니다.
한 단체가 지난 6월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4시간 영업하는 홍콩 내 110개 패스트푸드 매장에서 최소 3개월 동안 밤을 보낸 홍콩사람들이 300명이 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5년 전에 비해 무려 6배 가량 증가한 겁니다.
특히 한 매장에선 무려 30명이 넘는 사람들이 밤을 보내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앵커]
집이나 직장이 없기 때문에 이곳에서 생활하고 있는 건가요?
[기자]
네, 아마 대부분 노숙자일 것이라 예상하실텐데요.
물론 노숙자가 대부분입니다만 일부는 거주지나 직장이 있음에도 패스트 푸드 매장에서 밤을 보내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남성은 청소 업체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매일 저녁 퇴근 후 패스트 푸드매장으로 향합니다.
직장 생활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벌써 수년 째 맥난민 생활을 이어가고 있는 겁니다.
[맥난민 : "저는 맥도날드에서 잠을 잡니다. 양치질을 할 수도 있고 세수를 할 수도 있죠."]
실제로 50여 명의 맥난민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57%는 취업인이었고, 71%는 주택을 가지고 있거나 세입자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앵커]
돈을 벌거나 집이 있는데도 이렇게 패스트푸드 매장에서 생활하는 이유는 뭡니까?
[기자]
네, 미국 CNN 등은 홍콩에서 주거비용과 관련한 부담이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전했습니다.
중산층 아파트 가격이 평당 1억원을 넘어설 정도로 홍콩의 주택 가격은 임계점을 사실상 넘어서고 있습니다.
[폴 찬/홍콩 재정사 사장 : "지난 몇년 간 주택 공급 부족과 초저금리 등으로 시민들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땅값이 치솟았습니다."]
비싼 임차료를 내고 방 한칸을 얻어 생활하는 사람들의 사정도 여의치 않습니다.
주거 환경이 패스트 푸드 점보다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맥난민 : "(여기서는) 여름에 에어컨을 쐴 수 있어 좋죠. 비나 바람을 걱정할 필요도 없고요."]
임차료가 저렴한 공공임대 주택의 입주를 기다리며 맥난민 생활을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입주 지원자 수가 27만 명에 달해 입주하기까지 평균 대기 기간도 5년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결국 악명 높은 홍콩의 집값 때문인 건데요.
이와 관련한 대책을 마련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기자]
네, 홍콩 정부는 지난 6월 주택 시장 안정을 위해 빈집세를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힌바 있습니다.
주택 개발업자가 분양한 아파트가 1년 이상 팔리지 않고 빈집으로 남아 있으면 임대료의 두 배에 해당하는 금액을 세금으로 부과하겠다는 겁니다.
집세를 내리게 하겠다는 거죠.
또 최근 홍콩 은행들이 주택담보 대출의 금리를 0.1%~ 0.2% 가량 인상하기도 했는데요.
이같은 정책들로 천정부지로 치솟는 홍콩의 주택 가격의 상승세가 꺾일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상하이었습니다.
맥난민이라는 말, 들어보셨습니까?
세계적인 패스트푸드 업체인 맥도날드와 난민을 더한 단어로 맥도날드에서 밤을 보내는 사람들을 의미하는데요.
홍콩에선 이런 맥난민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지 특파원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김도엽 특파원, 홍콩 시민들 중 일부가 패스트푸드점에서 밤을 보낸다죠?
[기자]
네, 홍콩 현지에서는 맥 레퓨지, 그러니까 맥도널즈와 난민을 뜻하는 레퓨지를 합성해서 이들을 이렇게 부르고 있습니다.
홍콩의 한 패스트푸드 매장입니다.
매장 여기저기에 엎드려 잠을 청하는 사람들이 눈에 띕니다.
일부는 의자에 누워있기도 합니다.
이들 모두 이른바 맥난민들입니다.
한 단체가 지난 6월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4시간 영업하는 홍콩 내 110개 패스트푸드 매장에서 최소 3개월 동안 밤을 보낸 홍콩사람들이 300명이 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5년 전에 비해 무려 6배 가량 증가한 겁니다.
특히 한 매장에선 무려 30명이 넘는 사람들이 밤을 보내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앵커]
집이나 직장이 없기 때문에 이곳에서 생활하고 있는 건가요?
[기자]
네, 아마 대부분 노숙자일 것이라 예상하실텐데요.
물론 노숙자가 대부분입니다만 일부는 거주지나 직장이 있음에도 패스트 푸드 매장에서 밤을 보내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남성은 청소 업체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매일 저녁 퇴근 후 패스트 푸드매장으로 향합니다.
직장 생활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벌써 수년 째 맥난민 생활을 이어가고 있는 겁니다.
[맥난민 : "저는 맥도날드에서 잠을 잡니다. 양치질을 할 수도 있고 세수를 할 수도 있죠."]
실제로 50여 명의 맥난민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57%는 취업인이었고, 71%는 주택을 가지고 있거나 세입자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앵커]
돈을 벌거나 집이 있는데도 이렇게 패스트푸드 매장에서 생활하는 이유는 뭡니까?
[기자]
네, 미국 CNN 등은 홍콩에서 주거비용과 관련한 부담이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전했습니다.
중산층 아파트 가격이 평당 1억원을 넘어설 정도로 홍콩의 주택 가격은 임계점을 사실상 넘어서고 있습니다.
[폴 찬/홍콩 재정사 사장 : "지난 몇년 간 주택 공급 부족과 초저금리 등으로 시민들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땅값이 치솟았습니다."]
비싼 임차료를 내고 방 한칸을 얻어 생활하는 사람들의 사정도 여의치 않습니다.
주거 환경이 패스트 푸드 점보다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맥난민 : "(여기서는) 여름에 에어컨을 쐴 수 있어 좋죠. 비나 바람을 걱정할 필요도 없고요."]
임차료가 저렴한 공공임대 주택의 입주를 기다리며 맥난민 생활을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입주 지원자 수가 27만 명에 달해 입주하기까지 평균 대기 기간도 5년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결국 악명 높은 홍콩의 집값 때문인 건데요.
이와 관련한 대책을 마련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기자]
네, 홍콩 정부는 지난 6월 주택 시장 안정을 위해 빈집세를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힌바 있습니다.
주택 개발업자가 분양한 아파트가 1년 이상 팔리지 않고 빈집으로 남아 있으면 임대료의 두 배에 해당하는 금액을 세금으로 부과하겠다는 겁니다.
집세를 내리게 하겠다는 거죠.
또 최근 홍콩 은행들이 주택담보 대출의 금리를 0.1%~ 0.2% 가량 인상하기도 했는데요.
이같은 정책들로 천정부지로 치솟는 홍콩의 주택 가격의 상승세가 꺾일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상하이었습니다.
-
-
김도엽 기자 yop21@kbs.co.kr
김도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