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기자!” 학생들의 날카로운 시선
입력 2018.09.03 (19:28)
수정 2018.09.03 (19: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은 방송의 날입니다.
방송은 이제 누구나 만들어 내보낼 수 있을 정도로 친밀한 대상이 됐습니다.
특히 스마트 세대인 학생들도 예외는 아닌데요.
중고등학생들이 직접 만든 톡톡 튀는 뉴스를 성용희 기자가 소개해드립니다.
[리포트]
교복을 입은 학생들이 카메라 앞에 섰습니다.
뉴스 진행자가 되는가 하면, 취재 기자도 돼 봅니다.
중고등학교 100개 팀이 참가한 학교뉴스제작 경진대회.
생방송으로 진행된 경연에 실수도 이어지지만, 내용만큼은 전문가 못지않습니다.
학교 내 종교 활동 강요 문제를 다룬 대상 수상작을 비롯해,
["교육부의 지침에도 불구하고 A 고등학교는 (종교활동 시간에) 다른 과목이나 자습 등의 시간이 편성돼 있지 않습니다."]
대전시의 부적절한 대안학교 보조금 지급 문제를 조명한 작품은 당장 전파를 타도 손색이 없습니다.
[신윤호/지족고 3학년 : "대안학교에 관련해서 취재하고 있다가 대전시에서 보조금을 지원해줬는데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발견돼서 그것에 대해서 깊게 취재하게 됐습니다."]
최근 학생들끼리 자주 사용하는 은어, 이른바 '급식체' 문제도 뉴스 거리입니다.
교내 설문 조사는 자주 시행되지만 결과나 반영 여부는 불투명해 학생들의 취재 대상이 됐습니다.
[정아인/지족중 2학년 : "학생들이 느끼는 문제점을 뉴스에 담고 싶었고 그 과정에서 다른 학생들과도 이런 문제가 있다는 것을 함께 고민해보고 공유해보고 싶었습니다."]
학생들의 날카롭고 참신한 시각이 뉴스가 돼 학교 밖 어른들에게도 신선한 자극을 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오늘은 방송의 날입니다.
방송은 이제 누구나 만들어 내보낼 수 있을 정도로 친밀한 대상이 됐습니다.
특히 스마트 세대인 학생들도 예외는 아닌데요.
중고등학생들이 직접 만든 톡톡 튀는 뉴스를 성용희 기자가 소개해드립니다.
[리포트]
교복을 입은 학생들이 카메라 앞에 섰습니다.
뉴스 진행자가 되는가 하면, 취재 기자도 돼 봅니다.
중고등학교 100개 팀이 참가한 학교뉴스제작 경진대회.
생방송으로 진행된 경연에 실수도 이어지지만, 내용만큼은 전문가 못지않습니다.
학교 내 종교 활동 강요 문제를 다룬 대상 수상작을 비롯해,
["교육부의 지침에도 불구하고 A 고등학교는 (종교활동 시간에) 다른 과목이나 자습 등의 시간이 편성돼 있지 않습니다."]
대전시의 부적절한 대안학교 보조금 지급 문제를 조명한 작품은 당장 전파를 타도 손색이 없습니다.
[신윤호/지족고 3학년 : "대안학교에 관련해서 취재하고 있다가 대전시에서 보조금을 지원해줬는데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발견돼서 그것에 대해서 깊게 취재하게 됐습니다."]
최근 학생들끼리 자주 사용하는 은어, 이른바 '급식체' 문제도 뉴스 거리입니다.
교내 설문 조사는 자주 시행되지만 결과나 반영 여부는 불투명해 학생들의 취재 대상이 됐습니다.
[정아인/지족중 2학년 : "학생들이 느끼는 문제점을 뉴스에 담고 싶었고 그 과정에서 다른 학생들과도 이런 문제가 있다는 것을 함께 고민해보고 공유해보고 싶었습니다."]
학생들의 날카롭고 참신한 시각이 뉴스가 돼 학교 밖 어른들에게도 신선한 자극을 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리도 기자!” 학생들의 날카로운 시선
-
- 입력 2018-09-03 19:29:38
- 수정2018-09-03 19:33:49

[앵커]
오늘은 방송의 날입니다.
방송은 이제 누구나 만들어 내보낼 수 있을 정도로 친밀한 대상이 됐습니다.
특히 스마트 세대인 학생들도 예외는 아닌데요.
중고등학생들이 직접 만든 톡톡 튀는 뉴스를 성용희 기자가 소개해드립니다.
[리포트]
교복을 입은 학생들이 카메라 앞에 섰습니다.
뉴스 진행자가 되는가 하면, 취재 기자도 돼 봅니다.
중고등학교 100개 팀이 참가한 학교뉴스제작 경진대회.
생방송으로 진행된 경연에 실수도 이어지지만, 내용만큼은 전문가 못지않습니다.
학교 내 종교 활동 강요 문제를 다룬 대상 수상작을 비롯해,
["교육부의 지침에도 불구하고 A 고등학교는 (종교활동 시간에) 다른 과목이나 자습 등의 시간이 편성돼 있지 않습니다."]
대전시의 부적절한 대안학교 보조금 지급 문제를 조명한 작품은 당장 전파를 타도 손색이 없습니다.
[신윤호/지족고 3학년 : "대안학교에 관련해서 취재하고 있다가 대전시에서 보조금을 지원해줬는데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발견돼서 그것에 대해서 깊게 취재하게 됐습니다."]
최근 학생들끼리 자주 사용하는 은어, 이른바 '급식체' 문제도 뉴스 거리입니다.
교내 설문 조사는 자주 시행되지만 결과나 반영 여부는 불투명해 학생들의 취재 대상이 됐습니다.
[정아인/지족중 2학년 : "학생들이 느끼는 문제점을 뉴스에 담고 싶었고 그 과정에서 다른 학생들과도 이런 문제가 있다는 것을 함께 고민해보고 공유해보고 싶었습니다."]
학생들의 날카롭고 참신한 시각이 뉴스가 돼 학교 밖 어른들에게도 신선한 자극을 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오늘은 방송의 날입니다.
방송은 이제 누구나 만들어 내보낼 수 있을 정도로 친밀한 대상이 됐습니다.
특히 스마트 세대인 학생들도 예외는 아닌데요.
중고등학생들이 직접 만든 톡톡 튀는 뉴스를 성용희 기자가 소개해드립니다.
[리포트]
교복을 입은 학생들이 카메라 앞에 섰습니다.
뉴스 진행자가 되는가 하면, 취재 기자도 돼 봅니다.
중고등학교 100개 팀이 참가한 학교뉴스제작 경진대회.
생방송으로 진행된 경연에 실수도 이어지지만, 내용만큼은 전문가 못지않습니다.
학교 내 종교 활동 강요 문제를 다룬 대상 수상작을 비롯해,
["교육부의 지침에도 불구하고 A 고등학교는 (종교활동 시간에) 다른 과목이나 자습 등의 시간이 편성돼 있지 않습니다."]
대전시의 부적절한 대안학교 보조금 지급 문제를 조명한 작품은 당장 전파를 타도 손색이 없습니다.
[신윤호/지족고 3학년 : "대안학교에 관련해서 취재하고 있다가 대전시에서 보조금을 지원해줬는데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발견돼서 그것에 대해서 깊게 취재하게 됐습니다."]
최근 학생들끼리 자주 사용하는 은어, 이른바 '급식체' 문제도 뉴스 거리입니다.
교내 설문 조사는 자주 시행되지만 결과나 반영 여부는 불투명해 학생들의 취재 대상이 됐습니다.
[정아인/지족중 2학년 : "학생들이 느끼는 문제점을 뉴스에 담고 싶었고 그 과정에서 다른 학생들과도 이런 문제가 있다는 것을 함께 고민해보고 공유해보고 싶었습니다."]
학생들의 날카롭고 참신한 시각이 뉴스가 돼 학교 밖 어른들에게도 신선한 자극을 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
-
성용희 기자 heestory@kbs.co.kr
성용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