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힝야’에 언론탄압까지…아웅산 수치 고립무원
입력 2018.09.05 (23:33)
수정 2018.09.05 (23: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얀마 민주화와 인권의 상징으로 노벨 평화상까지 받었던 아웅산 수치의 이미지가 끝없이 추락하고 있습니다.
로힝야족 학살 방관에 이어 언론 탄압에 침묵으로 일관하면서 국제 사회의 비난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유석조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로힝야족 학살을 취재하다 체포돼 징역 7년의 중형이 선고된 미얀마 기자들의 부인이 기자회견장에 나왔습니다.
과거 아웅산 수치를 존경했지만 공직비밀법을 위반한 남편들이 더이상 기자가 아니라는 수치의 말에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칫수윈/초소에우 기자 부인 : "남편은 결백합니다. 7년 형을 받았다는 것은 전적으로 불공정하다고 생각합니다."]
언론 탄압 논란 속에 노벨 평화상 수상자였던 미얀마 실권자 아웅산 수치는 로힝야족 학살 문제에 이어 이번도 침묵을 지키고 있습니다.
투옥된 기자 가족들은 명백한 언론탄압을 수치가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뚜라 아웅/와론 기자 형 : "그는 단순히 자신의 일을 했을 뿐입니다. 그는 올바른 것을 대중들에게 알릴 권리가 있습니다."]
유엔을 비롯해 세계 각국 정부와 비정부단체 등 국제사회도 기자들의 석방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니키 헤일리/유엔주재 미국대사 : "우리는 이 문제를 더 강력히 이야기할 것입니다. 그들이 단지 진실을 얘기했다는 이유로 감옥에 가게 됐기 때문입니다."]
군부 독재에 항거하면서 한 때 미얀마 민주화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아웅산 수치가 국제사회에서 점차 고립되고 있습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유석조입니다.
미얀마 민주화와 인권의 상징으로 노벨 평화상까지 받었던 아웅산 수치의 이미지가 끝없이 추락하고 있습니다.
로힝야족 학살 방관에 이어 언론 탄압에 침묵으로 일관하면서 국제 사회의 비난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유석조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로힝야족 학살을 취재하다 체포돼 징역 7년의 중형이 선고된 미얀마 기자들의 부인이 기자회견장에 나왔습니다.
과거 아웅산 수치를 존경했지만 공직비밀법을 위반한 남편들이 더이상 기자가 아니라는 수치의 말에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칫수윈/초소에우 기자 부인 : "남편은 결백합니다. 7년 형을 받았다는 것은 전적으로 불공정하다고 생각합니다."]
언론 탄압 논란 속에 노벨 평화상 수상자였던 미얀마 실권자 아웅산 수치는 로힝야족 학살 문제에 이어 이번도 침묵을 지키고 있습니다.
투옥된 기자 가족들은 명백한 언론탄압을 수치가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뚜라 아웅/와론 기자 형 : "그는 단순히 자신의 일을 했을 뿐입니다. 그는 올바른 것을 대중들에게 알릴 권리가 있습니다."]
유엔을 비롯해 세계 각국 정부와 비정부단체 등 국제사회도 기자들의 석방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니키 헤일리/유엔주재 미국대사 : "우리는 이 문제를 더 강력히 이야기할 것입니다. 그들이 단지 진실을 얘기했다는 이유로 감옥에 가게 됐기 때문입니다."]
군부 독재에 항거하면서 한 때 미얀마 민주화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아웅산 수치가 국제사회에서 점차 고립되고 있습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유석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로힝야’에 언론탄압까지…아웅산 수치 고립무원
-
- 입력 2018-09-05 23:35:38
- 수정2018-09-05 23:48:56

[앵커]
미얀마 민주화와 인권의 상징으로 노벨 평화상까지 받었던 아웅산 수치의 이미지가 끝없이 추락하고 있습니다.
로힝야족 학살 방관에 이어 언론 탄압에 침묵으로 일관하면서 국제 사회의 비난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유석조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로힝야족 학살을 취재하다 체포돼 징역 7년의 중형이 선고된 미얀마 기자들의 부인이 기자회견장에 나왔습니다.
과거 아웅산 수치를 존경했지만 공직비밀법을 위반한 남편들이 더이상 기자가 아니라는 수치의 말에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칫수윈/초소에우 기자 부인 : "남편은 결백합니다. 7년 형을 받았다는 것은 전적으로 불공정하다고 생각합니다."]
언론 탄압 논란 속에 노벨 평화상 수상자였던 미얀마 실권자 아웅산 수치는 로힝야족 학살 문제에 이어 이번도 침묵을 지키고 있습니다.
투옥된 기자 가족들은 명백한 언론탄압을 수치가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뚜라 아웅/와론 기자 형 : "그는 단순히 자신의 일을 했을 뿐입니다. 그는 올바른 것을 대중들에게 알릴 권리가 있습니다."]
유엔을 비롯해 세계 각국 정부와 비정부단체 등 국제사회도 기자들의 석방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니키 헤일리/유엔주재 미국대사 : "우리는 이 문제를 더 강력히 이야기할 것입니다. 그들이 단지 진실을 얘기했다는 이유로 감옥에 가게 됐기 때문입니다."]
군부 독재에 항거하면서 한 때 미얀마 민주화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아웅산 수치가 국제사회에서 점차 고립되고 있습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유석조입니다.
미얀마 민주화와 인권의 상징으로 노벨 평화상까지 받었던 아웅산 수치의 이미지가 끝없이 추락하고 있습니다.
로힝야족 학살 방관에 이어 언론 탄압에 침묵으로 일관하면서 국제 사회의 비난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유석조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로힝야족 학살을 취재하다 체포돼 징역 7년의 중형이 선고된 미얀마 기자들의 부인이 기자회견장에 나왔습니다.
과거 아웅산 수치를 존경했지만 공직비밀법을 위반한 남편들이 더이상 기자가 아니라는 수치의 말에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칫수윈/초소에우 기자 부인 : "남편은 결백합니다. 7년 형을 받았다는 것은 전적으로 불공정하다고 생각합니다."]
언론 탄압 논란 속에 노벨 평화상 수상자였던 미얀마 실권자 아웅산 수치는 로힝야족 학살 문제에 이어 이번도 침묵을 지키고 있습니다.
투옥된 기자 가족들은 명백한 언론탄압을 수치가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뚜라 아웅/와론 기자 형 : "그는 단순히 자신의 일을 했을 뿐입니다. 그는 올바른 것을 대중들에게 알릴 권리가 있습니다."]
유엔을 비롯해 세계 각국 정부와 비정부단체 등 국제사회도 기자들의 석방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니키 헤일리/유엔주재 미국대사 : "우리는 이 문제를 더 강력히 이야기할 것입니다. 그들이 단지 진실을 얘기했다는 이유로 감옥에 가게 됐기 때문입니다."]
군부 독재에 항거하면서 한 때 미얀마 민주화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아웅산 수치가 국제사회에서 점차 고립되고 있습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유석조입니다.
-
-
유석조 기자 sjyoo@kbs.co.kr
유석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