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의 눈] 미세먼지 주범 ‘석탄 발전’이 절반…재생에너지는 ‘제자리’
입력 2018.10.23 (21:15)
수정 2018.10.24 (09: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23일) 수도권 지역이 다시 짙은 미세먼지에 휩싸였습니다.
올가을 들어 두 번째로 공기질이 나빴습니다.
이 미세먼지는 어디서 온 걸까요?
오전까지는 주로 국내 오염물질이, 오후부터는 중국발 오염 물질이 먼지 농도를 높였습니다.
미세먼지를 만드는 건 우리나라와 중국 모두 '석탄' 비중이 가장 큽니다.
전 세계 10대 석탄 화력발전소를 보면 중국 5군데, 한국이 3군데입니다.
발전량으로 보면 중국이 단연 1위고 우리는 8 위지만 국토 면적으로 나눠보면 우리가 중국보다 3.8 배나 더 많습니다.
이렇게 많은 석탄 발전소들은 공기질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요?
석탄 의존도를 낮춘다고 했던 우리 정부는 과연 제대로 계획을 이행하고 있을까요?
이정훈,손서영 두 기자가 차례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세계 3위 규모인 당진 화력발전소입니다.
1999년 발전소가 들어서면서 인근 주민들의 고통은 시작됐습니다.
바닷바람이 불 때마다 석탄 가루가 날려오는 겁니다.
잿빛으로 변한 목련 나뭇잎,
손가락으로 훑었더니 검은 가루가 묻습니다.
비 온 다음 날, 처마 밑에 모인 빗물에도 시커먼 먼짓가루가 가득합니다.
석탄 가루 때문이라며 일일이 사진으로 피해 기록을 남긴 주민도 있습니다.
["사과나무를 심었는데 하나도 못 따먹어 봤어요."]
고추를 재배하는 비닐하우스 틈 사이에도, 애써 키운 배춧속에도 검은 가루가 앉아 있습니다.
[신완순/충남 당진시 : "김장하는 데도 상당히 어려움이 있고, 야채라든지 먹기에도 두렵습니다."]
석탄화력발전소의 영향은 이 지역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굴뚝에서 뿜어져 나오는 많은 양의 미세먼지 원인 물질이 바람을 타고 전국으로 퍼져나가기 때문입니다.
충남 지역의 화력발전소에서만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이 연간 9만 톤 이상 뿜어져 나옵니다.
바람이 서풍으로 바뀌는 10월부터는 배출된 오염 물질이 미세먼지로 바뀌어 전국을 뒤덮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미세먼지 원인 물질 가운데 석탄발전소에서 내뿜는 매연이 14%로 가장 많습니다.
[임영욱/연세대 환경공해연구소 부소장 : "중장거리 이동을 통해서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도 좀 더 면밀히..."]
온난화를 일으키는 이산화탄소도 문제입니다.
국내 석탄화력발전소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는 약 1억 8천만 톤,
전체 배출량의 26%를 차지합니다.
[정수종/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과정은 미세먼지가 만들어지는 과정하고 같이 있기 때문에 미세먼지를 줄이면 온실가스를 줄이고, 온실가스를 줄이면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다."]
온실가스가 초래한 지구 온난화는 대기 흐름을 정체시켜 다시 미세먼지 농도를 더 짙게 하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 말로만 ‘탈석탄’ 실제로는 역주행
우리나라의 석탄 화력 발전 비율은 약 45%,
전체 에너지원 가운데 1위입니다.
정부도 석탄이 대기 오염의 원인인 걸 잘 압니다.
그래서 석탄 사용을 줄이고 다른 에너지로 바꿔간다는 계획도 내놨습니다.
액화천연가스나 신재생 에너지가 그 대안이라는 겁니다.
그런데 현실은 어떨까요.
노후된 발전소가 없어지는 만큼, 새 발전소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지난해 발전량을 보면 1년 전보다 오히려 12% 가까이 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탈 석탄'이라는 전 세계적 흐름과는 정반대입니다.
석탄을 대체할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 역시 제자리걸음입니다.
2030년, 20%대까지 늘리겠다고 했지만, 아직 6% 수준에 불과합니다.
여기에다 국제 사회에선 '기후 악당'이라는 오명까지 듣고 있습니다.
동남아 등 해외 석탄발전소 건설에 앞다퉈 투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지 환경 단체가 "더러운 에너지"를 수출한다며 한글 피켓까지 들고 시위를 벌입니다.
지난 10년 동안 수출입은행 등 공적 금융기관이 동남아 석탄 화력발전에 투자한 돈은 11조 원이나 됩니다.
반면 글로벌 금융 기관들은 잇따라 탈 석탄 행렬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대기 오염에 따른 건강 피해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등을 비용으로 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겁니다.
[김주진/기후솔루션 대표 : "백 원을 발전소에 넣었을 때 돌아오는 수익은 점점 외부효과를 보상하는 데 소요가 되기 때문에 수익률이 점점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신재생에너지 가격이 빠르게 떨어지면서 석탄의 경쟁력은 더욱 낮아지고 있습니다.
정부에도 고충은 있습니다.
아직 석탄의 발전 단가가 싼 점을 무시할 수 없다는 겁니다.
하지만 앞서 보듯 '발전 단가'로만 에너지 가격을 따지던 기존 시각은 이제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합니다.
[홍종호/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 "전력 생산 배경에 숨어 있는 사회적 비용이 가격에 제대로 반영이 안 돼 있다 보니까 누군가에게, 우리 후손에게 계속 비용을 떠넘기고 있는 거죠."]
전문가들은 지금부터라도 석탄 발전에 대한 각종 지원을 중단하고, 친환경 에너지의 세제 혜택을 통해 에너지 시장 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오늘(23일) 수도권 지역이 다시 짙은 미세먼지에 휩싸였습니다.
올가을 들어 두 번째로 공기질이 나빴습니다.
이 미세먼지는 어디서 온 걸까요?
오전까지는 주로 국내 오염물질이, 오후부터는 중국발 오염 물질이 먼지 농도를 높였습니다.
미세먼지를 만드는 건 우리나라와 중국 모두 '석탄' 비중이 가장 큽니다.
전 세계 10대 석탄 화력발전소를 보면 중국 5군데, 한국이 3군데입니다.
발전량으로 보면 중국이 단연 1위고 우리는 8 위지만 국토 면적으로 나눠보면 우리가 중국보다 3.8 배나 더 많습니다.
이렇게 많은 석탄 발전소들은 공기질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요?
석탄 의존도를 낮춘다고 했던 우리 정부는 과연 제대로 계획을 이행하고 있을까요?
이정훈,손서영 두 기자가 차례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세계 3위 규모인 당진 화력발전소입니다.
1999년 발전소가 들어서면서 인근 주민들의 고통은 시작됐습니다.
바닷바람이 불 때마다 석탄 가루가 날려오는 겁니다.
잿빛으로 변한 목련 나뭇잎,
손가락으로 훑었더니 검은 가루가 묻습니다.
비 온 다음 날, 처마 밑에 모인 빗물에도 시커먼 먼짓가루가 가득합니다.
석탄 가루 때문이라며 일일이 사진으로 피해 기록을 남긴 주민도 있습니다.
["사과나무를 심었는데 하나도 못 따먹어 봤어요."]
고추를 재배하는 비닐하우스 틈 사이에도, 애써 키운 배춧속에도 검은 가루가 앉아 있습니다.
[신완순/충남 당진시 : "김장하는 데도 상당히 어려움이 있고, 야채라든지 먹기에도 두렵습니다."]
석탄화력발전소의 영향은 이 지역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굴뚝에서 뿜어져 나오는 많은 양의 미세먼지 원인 물질이 바람을 타고 전국으로 퍼져나가기 때문입니다.
충남 지역의 화력발전소에서만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이 연간 9만 톤 이상 뿜어져 나옵니다.
바람이 서풍으로 바뀌는 10월부터는 배출된 오염 물질이 미세먼지로 바뀌어 전국을 뒤덮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미세먼지 원인 물질 가운데 석탄발전소에서 내뿜는 매연이 14%로 가장 많습니다.
[임영욱/연세대 환경공해연구소 부소장 : "중장거리 이동을 통해서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도 좀 더 면밀히..."]
온난화를 일으키는 이산화탄소도 문제입니다.
국내 석탄화력발전소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는 약 1억 8천만 톤,
전체 배출량의 26%를 차지합니다.
[정수종/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과정은 미세먼지가 만들어지는 과정하고 같이 있기 때문에 미세먼지를 줄이면 온실가스를 줄이고, 온실가스를 줄이면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다."]
온실가스가 초래한 지구 온난화는 대기 흐름을 정체시켜 다시 미세먼지 농도를 더 짙게 하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 말로만 ‘탈석탄’ 실제로는 역주행
우리나라의 석탄 화력 발전 비율은 약 45%,
전체 에너지원 가운데 1위입니다.
정부도 석탄이 대기 오염의 원인인 걸 잘 압니다.
그래서 석탄 사용을 줄이고 다른 에너지로 바꿔간다는 계획도 내놨습니다.
액화천연가스나 신재생 에너지가 그 대안이라는 겁니다.
그런데 현실은 어떨까요.
노후된 발전소가 없어지는 만큼, 새 발전소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지난해 발전량을 보면 1년 전보다 오히려 12% 가까이 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탈 석탄'이라는 전 세계적 흐름과는 정반대입니다.
석탄을 대체할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 역시 제자리걸음입니다.
2030년, 20%대까지 늘리겠다고 했지만, 아직 6% 수준에 불과합니다.
여기에다 국제 사회에선 '기후 악당'이라는 오명까지 듣고 있습니다.
동남아 등 해외 석탄발전소 건설에 앞다퉈 투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지 환경 단체가 "더러운 에너지"를 수출한다며 한글 피켓까지 들고 시위를 벌입니다.
지난 10년 동안 수출입은행 등 공적 금융기관이 동남아 석탄 화력발전에 투자한 돈은 11조 원이나 됩니다.
반면 글로벌 금융 기관들은 잇따라 탈 석탄 행렬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대기 오염에 따른 건강 피해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등을 비용으로 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겁니다.
[김주진/기후솔루션 대표 : "백 원을 발전소에 넣었을 때 돌아오는 수익은 점점 외부효과를 보상하는 데 소요가 되기 때문에 수익률이 점점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신재생에너지 가격이 빠르게 떨어지면서 석탄의 경쟁력은 더욱 낮아지고 있습니다.
정부에도 고충은 있습니다.
아직 석탄의 발전 단가가 싼 점을 무시할 수 없다는 겁니다.
하지만 앞서 보듯 '발전 단가'로만 에너지 가격을 따지던 기존 시각은 이제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합니다.
[홍종호/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 "전력 생산 배경에 숨어 있는 사회적 비용이 가격에 제대로 반영이 안 돼 있다 보니까 누군가에게, 우리 후손에게 계속 비용을 떠넘기고 있는 거죠."]
전문가들은 지금부터라도 석탄 발전에 대한 각종 지원을 중단하고, 친환경 에너지의 세제 혜택을 통해 에너지 시장 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의 눈] 미세먼지 주범 ‘석탄 발전’이 절반…재생에너지는 ‘제자리’
-
- 입력 2018-10-23 21:22:07
- 수정2018-10-24 09:06:06
[앵커]
오늘(23일) 수도권 지역이 다시 짙은 미세먼지에 휩싸였습니다.
올가을 들어 두 번째로 공기질이 나빴습니다.
이 미세먼지는 어디서 온 걸까요?
오전까지는 주로 국내 오염물질이, 오후부터는 중국발 오염 물질이 먼지 농도를 높였습니다.
미세먼지를 만드는 건 우리나라와 중국 모두 '석탄' 비중이 가장 큽니다.
전 세계 10대 석탄 화력발전소를 보면 중국 5군데, 한국이 3군데입니다.
발전량으로 보면 중국이 단연 1위고 우리는 8 위지만 국토 면적으로 나눠보면 우리가 중국보다 3.8 배나 더 많습니다.
이렇게 많은 석탄 발전소들은 공기질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요?
석탄 의존도를 낮춘다고 했던 우리 정부는 과연 제대로 계획을 이행하고 있을까요?
이정훈,손서영 두 기자가 차례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세계 3위 규모인 당진 화력발전소입니다.
1999년 발전소가 들어서면서 인근 주민들의 고통은 시작됐습니다.
바닷바람이 불 때마다 석탄 가루가 날려오는 겁니다.
잿빛으로 변한 목련 나뭇잎,
손가락으로 훑었더니 검은 가루가 묻습니다.
비 온 다음 날, 처마 밑에 모인 빗물에도 시커먼 먼짓가루가 가득합니다.
석탄 가루 때문이라며 일일이 사진으로 피해 기록을 남긴 주민도 있습니다.
["사과나무를 심었는데 하나도 못 따먹어 봤어요."]
고추를 재배하는 비닐하우스 틈 사이에도, 애써 키운 배춧속에도 검은 가루가 앉아 있습니다.
[신완순/충남 당진시 : "김장하는 데도 상당히 어려움이 있고, 야채라든지 먹기에도 두렵습니다."]
석탄화력발전소의 영향은 이 지역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굴뚝에서 뿜어져 나오는 많은 양의 미세먼지 원인 물질이 바람을 타고 전국으로 퍼져나가기 때문입니다.
충남 지역의 화력발전소에서만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이 연간 9만 톤 이상 뿜어져 나옵니다.
바람이 서풍으로 바뀌는 10월부터는 배출된 오염 물질이 미세먼지로 바뀌어 전국을 뒤덮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미세먼지 원인 물질 가운데 석탄발전소에서 내뿜는 매연이 14%로 가장 많습니다.
[임영욱/연세대 환경공해연구소 부소장 : "중장거리 이동을 통해서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도 좀 더 면밀히..."]
온난화를 일으키는 이산화탄소도 문제입니다.
국내 석탄화력발전소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는 약 1억 8천만 톤,
전체 배출량의 26%를 차지합니다.
[정수종/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과정은 미세먼지가 만들어지는 과정하고 같이 있기 때문에 미세먼지를 줄이면 온실가스를 줄이고, 온실가스를 줄이면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다."]
온실가스가 초래한 지구 온난화는 대기 흐름을 정체시켜 다시 미세먼지 농도를 더 짙게 하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 말로만 ‘탈석탄’ 실제로는 역주행
우리나라의 석탄 화력 발전 비율은 약 45%,
전체 에너지원 가운데 1위입니다.
정부도 석탄이 대기 오염의 원인인 걸 잘 압니다.
그래서 석탄 사용을 줄이고 다른 에너지로 바꿔간다는 계획도 내놨습니다.
액화천연가스나 신재생 에너지가 그 대안이라는 겁니다.
그런데 현실은 어떨까요.
노후된 발전소가 없어지는 만큼, 새 발전소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지난해 발전량을 보면 1년 전보다 오히려 12% 가까이 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탈 석탄'이라는 전 세계적 흐름과는 정반대입니다.
석탄을 대체할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 역시 제자리걸음입니다.
2030년, 20%대까지 늘리겠다고 했지만, 아직 6% 수준에 불과합니다.
여기에다 국제 사회에선 '기후 악당'이라는 오명까지 듣고 있습니다.
동남아 등 해외 석탄발전소 건설에 앞다퉈 투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지 환경 단체가 "더러운 에너지"를 수출한다며 한글 피켓까지 들고 시위를 벌입니다.
지난 10년 동안 수출입은행 등 공적 금융기관이 동남아 석탄 화력발전에 투자한 돈은 11조 원이나 됩니다.
반면 글로벌 금융 기관들은 잇따라 탈 석탄 행렬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대기 오염에 따른 건강 피해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등을 비용으로 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겁니다.
[김주진/기후솔루션 대표 : "백 원을 발전소에 넣었을 때 돌아오는 수익은 점점 외부효과를 보상하는 데 소요가 되기 때문에 수익률이 점점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신재생에너지 가격이 빠르게 떨어지면서 석탄의 경쟁력은 더욱 낮아지고 있습니다.
정부에도 고충은 있습니다.
아직 석탄의 발전 단가가 싼 점을 무시할 수 없다는 겁니다.
하지만 앞서 보듯 '발전 단가'로만 에너지 가격을 따지던 기존 시각은 이제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합니다.
[홍종호/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 "전력 생산 배경에 숨어 있는 사회적 비용이 가격에 제대로 반영이 안 돼 있다 보니까 누군가에게, 우리 후손에게 계속 비용을 떠넘기고 있는 거죠."]
전문가들은 지금부터라도 석탄 발전에 대한 각종 지원을 중단하고, 친환경 에너지의 세제 혜택을 통해 에너지 시장 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
-
이정훈 기자 skyclear@kbs.co.kr
이정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손서영 기자 bellesy@kbs.co.kr
손서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