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CNN·오바마·클린턴 자택에 ‘폭발물 소포’ 배달

입력 2018.10.25 (17:14) 수정 2018.10.25 (17: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에 폭발물 소포 비상이 걸렸습니다.

오바마 전 대통령과 클린턴 전 장관을 비롯해 민주당 소속 유력 정치인들과 미 CNN 방송을 겨냥한 파이프 폭탄이 잇따라 발견됐는데요

대상이 된 인물들이 그동안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치적으로 반대 입장을 표명해 온 만큼 사건의 의도와 배후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주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폭발물 관련 속보를 전하던 미 CNN 방송국에서 갑자기 잇따라 비상벨이 울립니다.

["잠시만요. 화재경보인 것 같군요."]

미국 현지시각으로 24일 미 CNN 뉴욕지국이 있는 타임 워너 빌딩에 파이프 폭탄이 담긴 소포가 배달되면서 직원들이 긴급 대피했습니다.

CNN에는 폭탄과 별개로 백색 가루도 배달됐습니다.

[오닐/뉴욕시 경찰국장 : "경찰 대응팀은 소포로 배달된 이 장치가 폭발이 가능한 장치라고 확인했습니다."]

폭발물 소포는 유력 정치인들도 겨냥했습니다.

비밀 경호국은 워싱턴 DC에 있는 오바마 전 대통령 자택과 뉴욕시 교외의 힐러리 클린턴 전 대선후보 자택 주소로 된 폭발물을 사전에 발견해 처리했다고 밝혔습니다.

차기 대선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조 바이든 전 부통령 앞으로도 수상한 소포가 보내져 추적중이라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폭발물은 또 에릭 홀더 전 법무장관과 슐츠 민주당 하원의원, 월터 민주당 하원의원도 겨냥했습니다.

앞서 22일에는 민주당 주요 기부자인 억만장자 소로스의 뉴욕 자택에도 비슷한 형태의 폭발물 소포가 배달되기도 했습니다.

폭발물 대상이 됐던 정치인들과 미 CNN은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에 비판적 목소리를 높여왔던 만큼 경찰은 이번 사건의 의도와 배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중간선거를 2주 앞두고 이번 사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철저한 수사의지를 밝히면서도 그동안 가짜뉴스로 자신을 공격해 온 언론에도 책임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이주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 CNN·오바마·클린턴 자택에 ‘폭발물 소포’ 배달
    • 입력 2018-10-25 17:17:40
    • 수정2018-10-25 17:28:49
    뉴스 5
[앵커]

미국에 폭발물 소포 비상이 걸렸습니다.

오바마 전 대통령과 클린턴 전 장관을 비롯해 민주당 소속 유력 정치인들과 미 CNN 방송을 겨냥한 파이프 폭탄이 잇따라 발견됐는데요

대상이 된 인물들이 그동안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치적으로 반대 입장을 표명해 온 만큼 사건의 의도와 배후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주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폭발물 관련 속보를 전하던 미 CNN 방송국에서 갑자기 잇따라 비상벨이 울립니다.

["잠시만요. 화재경보인 것 같군요."]

미국 현지시각으로 24일 미 CNN 뉴욕지국이 있는 타임 워너 빌딩에 파이프 폭탄이 담긴 소포가 배달되면서 직원들이 긴급 대피했습니다.

CNN에는 폭탄과 별개로 백색 가루도 배달됐습니다.

[오닐/뉴욕시 경찰국장 : "경찰 대응팀은 소포로 배달된 이 장치가 폭발이 가능한 장치라고 확인했습니다."]

폭발물 소포는 유력 정치인들도 겨냥했습니다.

비밀 경호국은 워싱턴 DC에 있는 오바마 전 대통령 자택과 뉴욕시 교외의 힐러리 클린턴 전 대선후보 자택 주소로 된 폭발물을 사전에 발견해 처리했다고 밝혔습니다.

차기 대선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조 바이든 전 부통령 앞으로도 수상한 소포가 보내져 추적중이라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폭발물은 또 에릭 홀더 전 법무장관과 슐츠 민주당 하원의원, 월터 민주당 하원의원도 겨냥했습니다.

앞서 22일에는 민주당 주요 기부자인 억만장자 소로스의 뉴욕 자택에도 비슷한 형태의 폭발물 소포가 배달되기도 했습니다.

폭발물 대상이 됐던 정치인들과 미 CNN은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에 비판적 목소리를 높여왔던 만큼 경찰은 이번 사건의 의도와 배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중간선거를 2주 앞두고 이번 사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철저한 수사의지를 밝히면서도 그동안 가짜뉴스로 자신을 공격해 온 언론에도 책임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이주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