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양국 북핵 견해차 조율
입력 2003.02.10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 핵 협의기구가 설치되면 이견을 보이고 있는 새 정부와 미국이 견해차를 크게 좁혀나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의미와 기대효과를 정지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미 양국은 북한 핵문제를 대화를 통해 해결한다는 기본원칙에는 합의했지만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의견접근을 보지 못해 왔습니다.
우선 북한 핵문제의 UN안보리 회부에 대해 미국측은 한국측이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불만입니다.
반면 노무현 당선자를 비롯한 한국측은 미국과 북한이 핵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협상에 나서지 않고 있는 데 대해 아쉬움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기본적인 인식 차에 따라 이번에 정대철 의원 등 노 당선자의 대표단이 미국을 방문했을 때도 양측은 실질적인 논의를 진전시키지 못했습니다.
⊙정대철(방미 대표단장): 미북 대화가 유연성 있게 되기를 바란다는 것을 당부드렸고 설득했습니다.
많은 논쟁들도 있었습니다.
⊙기자: 이 같은 상황에서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북핵 해법을 위해서는 한미 정부 간의 실질적인 협의체가 필요하다는 데 양국이 공감했기 때문입니다.
북핵 고위협의기구가 설치되면 당장 북핵 문제를 둘러싼 양국의 견해차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발족될 북핵 고위협의기구는 사실상 양국 정상의 의사를 대변하는 기구로 할 것으로 알려져 양국이 강력한 의지를 갖고 북핵 문제에 공동 대처하기로 했다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KBS뉴스 정지환입니다.
의미와 기대효과를 정지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미 양국은 북한 핵문제를 대화를 통해 해결한다는 기본원칙에는 합의했지만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의견접근을 보지 못해 왔습니다.
우선 북한 핵문제의 UN안보리 회부에 대해 미국측은 한국측이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불만입니다.
반면 노무현 당선자를 비롯한 한국측은 미국과 북한이 핵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협상에 나서지 않고 있는 데 대해 아쉬움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기본적인 인식 차에 따라 이번에 정대철 의원 등 노 당선자의 대표단이 미국을 방문했을 때도 양측은 실질적인 논의를 진전시키지 못했습니다.
⊙정대철(방미 대표단장): 미북 대화가 유연성 있게 되기를 바란다는 것을 당부드렸고 설득했습니다.
많은 논쟁들도 있었습니다.
⊙기자: 이 같은 상황에서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북핵 해법을 위해서는 한미 정부 간의 실질적인 협의체가 필요하다는 데 양국이 공감했기 때문입니다.
북핵 고위협의기구가 설치되면 당장 북핵 문제를 둘러싼 양국의 견해차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발족될 북핵 고위협의기구는 사실상 양국 정상의 의사를 대변하는 기구로 할 것으로 알려져 양국이 강력한 의지를 갖고 북핵 문제에 공동 대처하기로 했다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KBS뉴스 정지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미 양국 북핵 견해차 조율
-
- 입력 2003-02-10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북한 핵 협의기구가 설치되면 이견을 보이고 있는 새 정부와 미국이 견해차를 크게 좁혀나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의미와 기대효과를 정지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미 양국은 북한 핵문제를 대화를 통해 해결한다는 기본원칙에는 합의했지만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의견접근을 보지 못해 왔습니다.
우선 북한 핵문제의 UN안보리 회부에 대해 미국측은 한국측이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불만입니다.
반면 노무현 당선자를 비롯한 한국측은 미국과 북한이 핵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협상에 나서지 않고 있는 데 대해 아쉬움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기본적인 인식 차에 따라 이번에 정대철 의원 등 노 당선자의 대표단이 미국을 방문했을 때도 양측은 실질적인 논의를 진전시키지 못했습니다.
⊙정대철(방미 대표단장): 미북 대화가 유연성 있게 되기를 바란다는 것을 당부드렸고 설득했습니다.
많은 논쟁들도 있었습니다.
⊙기자: 이 같은 상황에서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북핵 해법을 위해서는 한미 정부 간의 실질적인 협의체가 필요하다는 데 양국이 공감했기 때문입니다.
북핵 고위협의기구가 설치되면 당장 북핵 문제를 둘러싼 양국의 견해차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발족될 북핵 고위협의기구는 사실상 양국 정상의 의사를 대변하는 기구로 할 것으로 알려져 양국이 강력한 의지를 갖고 북핵 문제에 공동 대처하기로 했다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KBS뉴스 정지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