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공립 어린이집 고작 9%…대기 기간 평균 8개월

입력 2018.12.01 (06:51) 수정 2018.12.01 (07: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사립유치원 사태로 어린이집도 민간보다는 국공립을 더 믿고 선호하는 부모들이 많지만, 국공립 어린이집은 전체의 10%도 채 안 됩니다.

그나마 있는 국공립 어린이집도 민간에 위탁한 무늬만 국공립 형태가 많아서 불쑥 폐원해도 손쓸 수가 없다고 합니다.

조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세 살짜리 쌍둥이를 키우며 직장에 다니는 여성입니다.

이왕이면 아이들을 국공립 어린이집에 맡기고 싶었지만 포기했습니다.

집 근처의 국공립은 단 한 곳, 정원은 46명에 불과합니다.

[최나리/민간어린이집 원생 부모 : "번호로, 순번으로 다가오니까 130번대였나 120번대였나 이건 현실적으로 들어갈 수가 없겠구나 싶어서 그냥 접은 것 같아요. 아예."]

전국의 어린이집 4만 개 가운데 국공립은 3천5백 개, 9%에 불과합니다.

평균 여덟 달을 기다려야 겨우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마저도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운영하는 국공립 어린이집은 2.4%에 불과합니다.

대부분은 민간단체나 개인에 맡겨 운영합니다.

위탁 기관을 관리 감독하고 지원하는 체계도 미비합니다.

[서진숙/공공운수노조 부위원장 : "개인이 운영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는 거죠.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는 게 아니라 어떤 일정한 틀을 가지고 공적 시스템이 들어와서 운영하는 것들을 기대하는 거죠."]

이 국공립 어린이집은 석 달 뒤 문을 닫을 예정입니다.

위탁 운영하던 교회가 어린이집 터를 팔아버린 겁니다.

[진화영/폐원 예정 국공립어린이집 원생 부모 : "나라가 책임져 주는 곳이라고 생각했으니까. 적어도 문을 닫는다고 하지는 않을 테니깐요. 그래서 국공립을 보낸 건데..."]

폐원하면 지자체가 대체 시설 등을 마련해야 하지만 비용 등의 이유로 소극적입니다.

[폐원 예정 국공립어린이집 원생 부모/음성변조 : "(구청에서) 여기 여유 인원이 몇 명, 몇 명, 몇 명 이렇게 쓴 용지를 주면서 '알아봐라'..."]

[폐원 예정 국공립어린이집 원생 부모/음성변조 : "다 더해 봐도 우리 아이들이 다 갈 수가 없어요."]

더 늘려도 모자랄 판에 한쪽에선 있는 국공립도 못 지키는 형편입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공립 어린이집 고작 9%…대기 기간 평균 8개월
    • 입력 2018-12-01 06:54:14
    • 수정2018-12-01 07:48:09
    뉴스광장 1부
[앵커]

사립유치원 사태로 어린이집도 민간보다는 국공립을 더 믿고 선호하는 부모들이 많지만, 국공립 어린이집은 전체의 10%도 채 안 됩니다.

그나마 있는 국공립 어린이집도 민간에 위탁한 무늬만 국공립 형태가 많아서 불쑥 폐원해도 손쓸 수가 없다고 합니다.

조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세 살짜리 쌍둥이를 키우며 직장에 다니는 여성입니다.

이왕이면 아이들을 국공립 어린이집에 맡기고 싶었지만 포기했습니다.

집 근처의 국공립은 단 한 곳, 정원은 46명에 불과합니다.

[최나리/민간어린이집 원생 부모 : "번호로, 순번으로 다가오니까 130번대였나 120번대였나 이건 현실적으로 들어갈 수가 없겠구나 싶어서 그냥 접은 것 같아요. 아예."]

전국의 어린이집 4만 개 가운데 국공립은 3천5백 개, 9%에 불과합니다.

평균 여덟 달을 기다려야 겨우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마저도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운영하는 국공립 어린이집은 2.4%에 불과합니다.

대부분은 민간단체나 개인에 맡겨 운영합니다.

위탁 기관을 관리 감독하고 지원하는 체계도 미비합니다.

[서진숙/공공운수노조 부위원장 : "개인이 운영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는 거죠.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는 게 아니라 어떤 일정한 틀을 가지고 공적 시스템이 들어와서 운영하는 것들을 기대하는 거죠."]

이 국공립 어린이집은 석 달 뒤 문을 닫을 예정입니다.

위탁 운영하던 교회가 어린이집 터를 팔아버린 겁니다.

[진화영/폐원 예정 국공립어린이집 원생 부모 : "나라가 책임져 주는 곳이라고 생각했으니까. 적어도 문을 닫는다고 하지는 않을 테니깐요. 그래서 국공립을 보낸 건데..."]

폐원하면 지자체가 대체 시설 등을 마련해야 하지만 비용 등의 이유로 소극적입니다.

[폐원 예정 국공립어린이집 원생 부모/음성변조 : "(구청에서) 여기 여유 인원이 몇 명, 몇 명, 몇 명 이렇게 쓴 용지를 주면서 '알아봐라'..."]

[폐원 예정 국공립어린이집 원생 부모/음성변조 : "다 더해 봐도 우리 아이들이 다 갈 수가 없어요."]

더 늘려도 모자랄 판에 한쪽에선 있는 국공립도 못 지키는 형편입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