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화·자동화…유통 혁신에 ‘노인들은 소외’

입력 2018.12.22 (06:44) 수정 2018.12.24 (14: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점원 없는 매장이나 무인 계산대, 마트나 음식점에 가면 요즘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인데요.

스마트폰 등에 익숙지 않은 노년층들은 이런 곳이 매우 불편할 수도 있겠죠.

디지털 격차가 만들어낸 '소비 세대차'의 현실을 홍진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서울역 매표소 앞.

이 70대 어르신은 꼭 매표소에서 표를 삽니다.

[차명철/73세 : "기계로 하기가 더 불편해서 번거롭고 그래서... (앱이나 자동판매기는 이용해보셨어요?) 안 해봤습니다. 한 번도."]

2주마다 한 번씩 열차를 이용하는 20대 이진아씨는 매표소에는 들려본 적이 없습니다.

[이진아/23세 : "바로 기차 탈 수 있어서 편리해서 애플리케이션 많이 씁니다."]

온라인 시장이 발달하고 무인화, 자동화 기술이 곳곳에 도입되면서 소비 방식에 있어서도 세대 차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27살과 70살 두 여성에게 식료품 3가지씩을 사게 하고, 계산 방식을 관찰해봤습니다.

70대는 유인 계산대 앞에 줄을 서고,

20대는 한산한 무인 계산대로 향합니다.

계산하는 데 걸리는 시간만 두 배 넘게 차이 납니다.

[이형자/70세 : "계산원이 있을 때는 제가 신경을 안 써도 되고 그냥 계산원이 계산하면 카드만 주면 끝나니까…."]

[최명지/27세 : "보통 무인으로 많이 빨리 계산하고 나가는 편이에요. 요즘에는 휴대전화로 장 보는 게 워낙 잘되어있어서 실제로 마트에는 자주 안 오고요."]

이번엔 패스트푸드 점포 무인 계산대, 몇 번의 손가락 동작으로 수십 초 만에 주문을 마치는 20대와 달리, 70대는 한참을 헤매다 결국 직원에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이형자/70세 : "만약에 뒤에 사람이 줄을 섰으면 약간 좀 눈치가 보였을 것 같아요. '저 앞에 있는 노인네 왜 얼른 못하고 저러나?'..."]

우리나라 장, 노년층의 IT 기기 사용 능력은 국민 평균의 절반 수준.

디지털 정보 격차가 노년층의 소비 소외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홍진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무인화·자동화…유통 혁신에 ‘노인들은 소외’
    • 입력 2018-12-22 06:45:43
    • 수정2018-12-24 14:54:30
    뉴스광장 1부
[앵커]

점원 없는 매장이나 무인 계산대, 마트나 음식점에 가면 요즘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인데요.

스마트폰 등에 익숙지 않은 노년층들은 이런 곳이 매우 불편할 수도 있겠죠.

디지털 격차가 만들어낸 '소비 세대차'의 현실을 홍진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서울역 매표소 앞.

이 70대 어르신은 꼭 매표소에서 표를 삽니다.

[차명철/73세 : "기계로 하기가 더 불편해서 번거롭고 그래서... (앱이나 자동판매기는 이용해보셨어요?) 안 해봤습니다. 한 번도."]

2주마다 한 번씩 열차를 이용하는 20대 이진아씨는 매표소에는 들려본 적이 없습니다.

[이진아/23세 : "바로 기차 탈 수 있어서 편리해서 애플리케이션 많이 씁니다."]

온라인 시장이 발달하고 무인화, 자동화 기술이 곳곳에 도입되면서 소비 방식에 있어서도 세대 차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27살과 70살 두 여성에게 식료품 3가지씩을 사게 하고, 계산 방식을 관찰해봤습니다.

70대는 유인 계산대 앞에 줄을 서고,

20대는 한산한 무인 계산대로 향합니다.

계산하는 데 걸리는 시간만 두 배 넘게 차이 납니다.

[이형자/70세 : "계산원이 있을 때는 제가 신경을 안 써도 되고 그냥 계산원이 계산하면 카드만 주면 끝나니까…."]

[최명지/27세 : "보통 무인으로 많이 빨리 계산하고 나가는 편이에요. 요즘에는 휴대전화로 장 보는 게 워낙 잘되어있어서 실제로 마트에는 자주 안 오고요."]

이번엔 패스트푸드 점포 무인 계산대, 몇 번의 손가락 동작으로 수십 초 만에 주문을 마치는 20대와 달리, 70대는 한참을 헤매다 결국 직원에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이형자/70세 : "만약에 뒤에 사람이 줄을 섰으면 약간 좀 눈치가 보였을 것 같아요. '저 앞에 있는 노인네 왜 얼른 못하고 저러나?'..."]

우리나라 장, 노년층의 IT 기기 사용 능력은 국민 평균의 절반 수준.

디지털 정보 격차가 노년층의 소비 소외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홍진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