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탬 안 되는 빈곤층 난방 지원…“겨울이 무서워요”

입력 2018.12.22 (06:42) 수정 2018.12.22 (07: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에너지 빈곤층에게 난방비를 지원하는 제도로, 연탄 쿠폰 외에 '에너지바우처'가 있습니다.

난방에 들어가는 가스와 전기요금을 일부 지원하는 제도인데요, 정작 필요한 사람들에게 보탬이 안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계속해서 김진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약봉지와 옷가지로 꽉 찬 비좁은 단칸방.

바닥 난방이 안 되는 탓에 차가운 습기가 올라옵니다.

요와 이불을 다섯 겹이나 깔았습니다.

[김정길/쪽방촌 거주민 : "(난방) 안 들어와요. 안 들어오니까 전기장판 켜고 난방이면 얼마나 좋겠어요, 뜨거운 물도 안 나오고 여기."]

요금 부담 탓에 전기장판과 전기난로조차 맘껏 쓰지 못합니다.

겨울 한 철 최대 14만 5천 원까지 난방비를 지원하는 바우처 제도도 김 씨에게는 있으나 마나입니다.

난방에 쓴 가스와 전기요금을 고지서에서 차감하는 방식이어서, 여러 가구가 하나의 계량기를 쓰면 개별 고지서가 없어 혜택을 못 받습니다.

동사무소에 신청하면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데, 대부분 환급 제도 자체를 모릅니다.

[이난순/쪽방촌 거주민 : "오늘 들었다니까요. 그게 뭔지도 모르고, 우리가 (신청서를) 내본 적도 없고 그렇다고 했거든..."]

에너지 빈곤층의 겨울철 주택 평균 실내온도는 17도.

적정온도보다 3도나 낮습니다.

절반은 감기를 달고 삽니다.

[김민채/에너지시민연대 사업부장 : "에너지 취약계층의 근본적인 감소를 위해서는 주거환경개선이 가장 필요한 부분이고요, 맞춤형 지원을 하기 위해선 현장성이 반영이 돼야 한다고 봅니다."]

지난해 겨울 바우처 지급 대상자는 지원이 필요한 에너지 빈곤층의 3분의 1인 54만 가구에 그쳤습니다.

그조차도 현실과 맞지 않는 허점 탓에 10%는 쓰이지 않고 환수됐습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보탬 안 되는 빈곤층 난방 지원…“겨울이 무서워요”
    • 입력 2018-12-22 06:43:56
    • 수정2018-12-22 07:44:42
    뉴스광장 1부
[앵커]

에너지 빈곤층에게 난방비를 지원하는 제도로, 연탄 쿠폰 외에 '에너지바우처'가 있습니다.

난방에 들어가는 가스와 전기요금을 일부 지원하는 제도인데요, 정작 필요한 사람들에게 보탬이 안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계속해서 김진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약봉지와 옷가지로 꽉 찬 비좁은 단칸방.

바닥 난방이 안 되는 탓에 차가운 습기가 올라옵니다.

요와 이불을 다섯 겹이나 깔았습니다.

[김정길/쪽방촌 거주민 : "(난방) 안 들어와요. 안 들어오니까 전기장판 켜고 난방이면 얼마나 좋겠어요, 뜨거운 물도 안 나오고 여기."]

요금 부담 탓에 전기장판과 전기난로조차 맘껏 쓰지 못합니다.

겨울 한 철 최대 14만 5천 원까지 난방비를 지원하는 바우처 제도도 김 씨에게는 있으나 마나입니다.

난방에 쓴 가스와 전기요금을 고지서에서 차감하는 방식이어서, 여러 가구가 하나의 계량기를 쓰면 개별 고지서가 없어 혜택을 못 받습니다.

동사무소에 신청하면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데, 대부분 환급 제도 자체를 모릅니다.

[이난순/쪽방촌 거주민 : "오늘 들었다니까요. 그게 뭔지도 모르고, 우리가 (신청서를) 내본 적도 없고 그렇다고 했거든..."]

에너지 빈곤층의 겨울철 주택 평균 실내온도는 17도.

적정온도보다 3도나 낮습니다.

절반은 감기를 달고 삽니다.

[김민채/에너지시민연대 사업부장 : "에너지 취약계층의 근본적인 감소를 위해서는 주거환경개선이 가장 필요한 부분이고요, 맞춤형 지원을 하기 위해선 현장성이 반영이 돼야 한다고 봅니다."]

지난해 겨울 바우처 지급 대상자는 지원이 필요한 에너지 빈곤층의 3분의 1인 54만 가구에 그쳤습니다.

그조차도 현실과 맞지 않는 허점 탓에 10%는 쓰이지 않고 환수됐습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