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8개 버스 노조 ‘파업’ 결의…“여전히 17시간 운행”
입력 2018.12.22 (07:37)
수정 2018.12.22 (08: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임금 협상을 벌이고 있는 경기지역 8개 버스 노조가 파업찬반 투표를 했습니다.
파업 찬성이 90%를 넘어 다음 주 조정 절차에서 합의가 안 될 경우 버스 대란이 우려됩니다.
임명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를 운전하는 이재봉 씨.
지난 7월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후에도 장시간 운행은 여전합니다.
[이재봉/버스 운전 기사 : "오늘 제 6시에 출근했고요, 내일 새벽 1시에 퇴근합니다. 18시간에서 19시간을 근무하고 있습니다. 오후 정도 되면집중력도 떨어지고."]
운행 일지 기록을 보면 다른 동료들의 근무 여건도 이 씨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정부가 준 6개월의 유예기간도 이달 말이면 끝이지만 시스템 변화 움직임은 없습니다.
380명이 일하는 이 회사의 경우 하루 2교대가 되려면 50명이 더 필요합니다.
하지만, 재정 여건도 어렵고 채용을 하려고 해도 오는 사람이 드물다고 합니다.
[최성일/버스회사 노조 관계자 : "서울시쪽으로 이직을 하려고 사람들이 많이 노력을 합니다. 그쪽으로 가면 대우도 좋고 임금도 많아지기 때문에..."]
버스 회사들은 준공영제가 도입돼 지원이 늘어야 실마리를 풀 수 있다는 입장이라 협의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근무여건 개선 기미가 안 보이자 경기지역 8개 버스노조가 파업 찬반 투표를 거쳐 파업을 결의했습니다.
이들 노조에 속한 인원은 2천8백여 명에 버스 2천백여 대로 경기지역 전체의 10%가 넘습니다.
특히, 광역버스가 많은 수원과 전체 시내버스가 해당되는 안양과 안산, 시흥 등은 타격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노사 양측은 조정 기간인 오는 27일까지 타결에 노력한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조정까지 결렬될 경우 28일 바로 파업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 연말 버스 대란도 우려됩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임금 협상을 벌이고 있는 경기지역 8개 버스 노조가 파업찬반 투표를 했습니다.
파업 찬성이 90%를 넘어 다음 주 조정 절차에서 합의가 안 될 경우 버스 대란이 우려됩니다.
임명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를 운전하는 이재봉 씨.
지난 7월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후에도 장시간 운행은 여전합니다.
[이재봉/버스 운전 기사 : "오늘 제 6시에 출근했고요, 내일 새벽 1시에 퇴근합니다. 18시간에서 19시간을 근무하고 있습니다. 오후 정도 되면집중력도 떨어지고."]
운행 일지 기록을 보면 다른 동료들의 근무 여건도 이 씨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정부가 준 6개월의 유예기간도 이달 말이면 끝이지만 시스템 변화 움직임은 없습니다.
380명이 일하는 이 회사의 경우 하루 2교대가 되려면 50명이 더 필요합니다.
하지만, 재정 여건도 어렵고 채용을 하려고 해도 오는 사람이 드물다고 합니다.
[최성일/버스회사 노조 관계자 : "서울시쪽으로 이직을 하려고 사람들이 많이 노력을 합니다. 그쪽으로 가면 대우도 좋고 임금도 많아지기 때문에..."]
버스 회사들은 준공영제가 도입돼 지원이 늘어야 실마리를 풀 수 있다는 입장이라 협의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근무여건 개선 기미가 안 보이자 경기지역 8개 버스노조가 파업 찬반 투표를 거쳐 파업을 결의했습니다.
이들 노조에 속한 인원은 2천8백여 명에 버스 2천백여 대로 경기지역 전체의 10%가 넘습니다.
특히, 광역버스가 많은 수원과 전체 시내버스가 해당되는 안양과 안산, 시흥 등은 타격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노사 양측은 조정 기간인 오는 27일까지 타결에 노력한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조정까지 결렬될 경우 28일 바로 파업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 연말 버스 대란도 우려됩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기 8개 버스 노조 ‘파업’ 결의…“여전히 17시간 운행”
-
- 입력 2018-12-22 07:43:58
- 수정2018-12-22 08:02:29

[앵커]
임금 협상을 벌이고 있는 경기지역 8개 버스 노조가 파업찬반 투표를 했습니다.
파업 찬성이 90%를 넘어 다음 주 조정 절차에서 합의가 안 될 경우 버스 대란이 우려됩니다.
임명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를 운전하는 이재봉 씨.
지난 7월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후에도 장시간 운행은 여전합니다.
[이재봉/버스 운전 기사 : "오늘 제 6시에 출근했고요, 내일 새벽 1시에 퇴근합니다. 18시간에서 19시간을 근무하고 있습니다. 오후 정도 되면집중력도 떨어지고."]
운행 일지 기록을 보면 다른 동료들의 근무 여건도 이 씨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정부가 준 6개월의 유예기간도 이달 말이면 끝이지만 시스템 변화 움직임은 없습니다.
380명이 일하는 이 회사의 경우 하루 2교대가 되려면 50명이 더 필요합니다.
하지만, 재정 여건도 어렵고 채용을 하려고 해도 오는 사람이 드물다고 합니다.
[최성일/버스회사 노조 관계자 : "서울시쪽으로 이직을 하려고 사람들이 많이 노력을 합니다. 그쪽으로 가면 대우도 좋고 임금도 많아지기 때문에..."]
버스 회사들은 준공영제가 도입돼 지원이 늘어야 실마리를 풀 수 있다는 입장이라 협의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근무여건 개선 기미가 안 보이자 경기지역 8개 버스노조가 파업 찬반 투표를 거쳐 파업을 결의했습니다.
이들 노조에 속한 인원은 2천8백여 명에 버스 2천백여 대로 경기지역 전체의 10%가 넘습니다.
특히, 광역버스가 많은 수원과 전체 시내버스가 해당되는 안양과 안산, 시흥 등은 타격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노사 양측은 조정 기간인 오는 27일까지 타결에 노력한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조정까지 결렬될 경우 28일 바로 파업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 연말 버스 대란도 우려됩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임금 협상을 벌이고 있는 경기지역 8개 버스 노조가 파업찬반 투표를 했습니다.
파업 찬성이 90%를 넘어 다음 주 조정 절차에서 합의가 안 될 경우 버스 대란이 우려됩니다.
임명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를 운전하는 이재봉 씨.
지난 7월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후에도 장시간 운행은 여전합니다.
[이재봉/버스 운전 기사 : "오늘 제 6시에 출근했고요, 내일 새벽 1시에 퇴근합니다. 18시간에서 19시간을 근무하고 있습니다. 오후 정도 되면집중력도 떨어지고."]
운행 일지 기록을 보면 다른 동료들의 근무 여건도 이 씨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정부가 준 6개월의 유예기간도 이달 말이면 끝이지만 시스템 변화 움직임은 없습니다.
380명이 일하는 이 회사의 경우 하루 2교대가 되려면 50명이 더 필요합니다.
하지만, 재정 여건도 어렵고 채용을 하려고 해도 오는 사람이 드물다고 합니다.
[최성일/버스회사 노조 관계자 : "서울시쪽으로 이직을 하려고 사람들이 많이 노력을 합니다. 그쪽으로 가면 대우도 좋고 임금도 많아지기 때문에..."]
버스 회사들은 준공영제가 도입돼 지원이 늘어야 실마리를 풀 수 있다는 입장이라 협의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근무여건 개선 기미가 안 보이자 경기지역 8개 버스노조가 파업 찬반 투표를 거쳐 파업을 결의했습니다.
이들 노조에 속한 인원은 2천8백여 명에 버스 2천백여 대로 경기지역 전체의 10%가 넘습니다.
특히, 광역버스가 많은 수원과 전체 시내버스가 해당되는 안양과 안산, 시흥 등은 타격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노사 양측은 조정 기간인 오는 27일까지 타결에 노력한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조정까지 결렬될 경우 28일 바로 파업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 연말 버스 대란도 우려됩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
-
임명규 기자 thelord@kbs.co.kr
임명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