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취업 지원하랬더니…위탁기관이 개인정보 무단 사용

입력 2019.01.23 (07:33) 수정 2019.01.23 (13: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취업성공패키지' 라는 정부의 취업 취약계층 지원 사업이 있습니다.

민간 위탁업체가 구직자 상담부터 일자리 소개까지 해주는 건데 이때 위탁업체는 실적에 따라 정부로부터 일정 사업비를 받습니다.

이거 많이 받기 위해 업체들이 구직자들의 개인 정보를 무단 사용한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노동부는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습니다.

이승철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리포트]

'취업으로 가는 지름길', '꿀 혜택 취업 서비스', '취업성공패키지' 사업을 홍보하는 각종 문구입니다.

현재, 정부를 대신해 이 사업을 벌이고 있는 민간 위탁기관은 600여 곳입니다.

고용노동부가 특별점검해봤더니, 지난 2년 동안 118곳이 각종 취업정보사이트에서 구직자 개인정보 37만 4천 건을 조회해 무단 사용한 정황이 있습니다.

현재, 민간 위탁기관들은 정부로부터 사업비를 지원받는데, 구직자에게 취업계획을 세워주면 한 명당 40만 원, 취업까지 연결하면 최고 160만 원입니다.

문제는, 위탁기관들이 실적을 높이기 위해 취업 가능성 높은 구직자들을 골라내는 데 조회한 개인정보를 악용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겁니다.

[취업성공패키지 참여 업체 관계자 : "(정부가 우리 같은) 민간(위탁)업체들을 우호적이고 선한 존재로 본 거죠. 영리 업체가 거기에 호응할 것 같습니까?"]

정부는 개인정보 조회로 얼마나 실적을 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제 프로그램 참여자 명단을 요청했지만, 4만 건이 넘는 구직자 정보를 조회한 한 업체는 이 가운데 3명만 참여했다고 보고했고, 11곳은 아예 모집명단을 삭제해 증거를 없애기도 했습니다.

정부는 지난해 사업비로 위탁 업체에 천600억 원을 지급했습니다.

[오민홍/동아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취업성공패키지 연구자 :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하지도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정부로부터 수익금을 받아낼 수가 있기 때문에 상당히 위험한 상황이라 생각이 됩니다."]

정부는 56개 기관을 경고 조치하고, 9곳의 사업 계약을 해지했습니다.

또, 경찰에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혐의로 수사를 의뢰했고, 방송통신위원회에도 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로 조사를 요청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취업 지원하랬더니…위탁기관이 개인정보 무단 사용
    • 입력 2019-01-23 07:38:57
    • 수정2019-01-23 13:04:37
    뉴스광장
[앵커]

'취업성공패키지' 라는 정부의 취업 취약계층 지원 사업이 있습니다.

민간 위탁업체가 구직자 상담부터 일자리 소개까지 해주는 건데 이때 위탁업체는 실적에 따라 정부로부터 일정 사업비를 받습니다.

이거 많이 받기 위해 업체들이 구직자들의 개인 정보를 무단 사용한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노동부는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습니다.

이승철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리포트]

'취업으로 가는 지름길', '꿀 혜택 취업 서비스', '취업성공패키지' 사업을 홍보하는 각종 문구입니다.

현재, 정부를 대신해 이 사업을 벌이고 있는 민간 위탁기관은 600여 곳입니다.

고용노동부가 특별점검해봤더니, 지난 2년 동안 118곳이 각종 취업정보사이트에서 구직자 개인정보 37만 4천 건을 조회해 무단 사용한 정황이 있습니다.

현재, 민간 위탁기관들은 정부로부터 사업비를 지원받는데, 구직자에게 취업계획을 세워주면 한 명당 40만 원, 취업까지 연결하면 최고 160만 원입니다.

문제는, 위탁기관들이 실적을 높이기 위해 취업 가능성 높은 구직자들을 골라내는 데 조회한 개인정보를 악용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겁니다.

[취업성공패키지 참여 업체 관계자 : "(정부가 우리 같은) 민간(위탁)업체들을 우호적이고 선한 존재로 본 거죠. 영리 업체가 거기에 호응할 것 같습니까?"]

정부는 개인정보 조회로 얼마나 실적을 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제 프로그램 참여자 명단을 요청했지만, 4만 건이 넘는 구직자 정보를 조회한 한 업체는 이 가운데 3명만 참여했다고 보고했고, 11곳은 아예 모집명단을 삭제해 증거를 없애기도 했습니다.

정부는 지난해 사업비로 위탁 업체에 천600억 원을 지급했습니다.

[오민홍/동아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취업성공패키지 연구자 :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하지도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정부로부터 수익금을 받아낼 수가 있기 때문에 상당히 위험한 상황이라 생각이 됩니다."]

정부는 56개 기관을 경고 조치하고, 9곳의 사업 계약을 해지했습니다.

또, 경찰에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혐의로 수사를 의뢰했고, 방송통신위원회에도 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로 조사를 요청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