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는 감옥”…도움받기 어려운 설날이 막막한 장애인

입력 2019.02.05 (21:19) 수정 2019.02.05 (22: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명절 연휴가 달갑지만은 않은 사람들도 있습니다.

몸을 움직이기 어려운 중증 장애인들입니다.

활동 보조인의 도움을 받기 어렵기 때문인데요.

연휴에 오히려 외로움과 고통이 더해진다는 이들을, 김진호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제가 못 움직이니까요. 먹고 싶어도 그냥 바라만 보고 못 먹는 거예요."]

뇌병변 장애가 있는 이 모 씨가 어두운 방 안에 혼자 누워 있습니다.

온몸이 마비된 이 씨는 혼자서는 불을 켤 수도, 밥을 먹을 수도, 화장실에 갈 수도 없습니다.

하루 2시간, 활동보조인이 집에 와주는 때가 먹고 씻는 유일한 시간입니다.

활동보조인이 휴가를 가는 명절 연휴엔 그 시간마저 허락되지 않습니다.

내내 끼니도 거를 수밖에 없습니다.

[이○○/뇌병변 장애인/음성변조 : "며칠 동안 나 혼자 있어야 하고, 나 혼자 아무것도 없이 그냥, 그냥, 지옥 같아요."]

연휴 기간에 도와줄 보조인을 따로 구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구해서 도움을 받는다 해도 걱정입니다.

휴일엔 활동보조 서비스 시간을 1.5배로 계산하기 때문에 연휴에 보조인을 부르면 서비스 시간이 더 빨리 줄어듭니다.

연휴 뒤가 또 막막합니다.

[신영노/뇌병변 장애인 : "1.5배가 나가니까 너무나 아깝죠, 저희한테는..."]

[김순미/뇌병변 장애인 : "'명절 특별시간'이라고 해서 그런 시간이 주어질 수 있다면... 그때만이라도 좀 더 많은 시간이 주어질 수 있다면 가장 적합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활동지원 서비스를 받는 장애인은 7만여 명.

명절 연휴는 외로움을 넘어 목숨을 걸어야 할 고통의 기간입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연휴는 감옥”…도움받기 어려운 설날이 막막한 장애인
    • 입력 2019-02-05 21:20:59
    • 수정2019-02-05 22:20:00
    뉴스 9
[앵커]

명절 연휴가 달갑지만은 않은 사람들도 있습니다.

몸을 움직이기 어려운 중증 장애인들입니다.

활동 보조인의 도움을 받기 어렵기 때문인데요.

연휴에 오히려 외로움과 고통이 더해진다는 이들을, 김진호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제가 못 움직이니까요. 먹고 싶어도 그냥 바라만 보고 못 먹는 거예요."]

뇌병변 장애가 있는 이 모 씨가 어두운 방 안에 혼자 누워 있습니다.

온몸이 마비된 이 씨는 혼자서는 불을 켤 수도, 밥을 먹을 수도, 화장실에 갈 수도 없습니다.

하루 2시간, 활동보조인이 집에 와주는 때가 먹고 씻는 유일한 시간입니다.

활동보조인이 휴가를 가는 명절 연휴엔 그 시간마저 허락되지 않습니다.

내내 끼니도 거를 수밖에 없습니다.

[이○○/뇌병변 장애인/음성변조 : "며칠 동안 나 혼자 있어야 하고, 나 혼자 아무것도 없이 그냥, 그냥, 지옥 같아요."]

연휴 기간에 도와줄 보조인을 따로 구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구해서 도움을 받는다 해도 걱정입니다.

휴일엔 활동보조 서비스 시간을 1.5배로 계산하기 때문에 연휴에 보조인을 부르면 서비스 시간이 더 빨리 줄어듭니다.

연휴 뒤가 또 막막합니다.

[신영노/뇌병변 장애인 : "1.5배가 나가니까 너무나 아깝죠, 저희한테는..."]

[김순미/뇌병변 장애인 : "'명절 특별시간'이라고 해서 그런 시간이 주어질 수 있다면... 그때만이라도 좀 더 많은 시간이 주어질 수 있다면 가장 적합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활동지원 서비스를 받는 장애인은 7만여 명.

명절 연휴는 외로움을 넘어 목숨을 걸어야 할 고통의 기간입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