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동창리 발사장 정상 가동 상태 복귀한 듯”…한미 ‘예의 주시’
입력 2019.03.08 (19:03)
수정 2019.03.08 (21: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1차 북미 정상회담 이후 폐기 절차에 들어갔던 북한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서 최근 복구 움직임이 잇따라 포착되고 있습니다.
한미 정보 당국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가운데 북한의 정확한 의도를 파악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홍석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전문 매체인 '38노스'가 최근 공개한 북한 동창리 일대 위성 사진입니다.
미사일 발사대 주변에 차량 몇 대가 서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또, 해체됐던 수직 엔진 시험대의 상부 구조가 복구된 흔적도 포착됐습니다.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 CSIS는 "미사일 발사대와 수직엔진 시험대의 주요 부품들에 대한 복구가 계속되고 있다"며 사실상 정상가동 상태로 분석했습니다.
대미 압박용 메시지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빅터 차/조지타운 대학교 교수 : "지난번 하노이 회담 이후 뚜렷한 결론이 나지 않은 상황에 대해 (북한이) 트럼프 대통령과 세계에 보내는 메시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동창리 미사일 시험장은 북한이 대륙간 탄도 미사일, ICBM 기술을 연구해 온 곳으로 지난해 1차 북미 정상회담에서 폐기에 합의한 뒤 활동을 중단했습니다.
한미 정보 당국은 북한의 의도 파악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현수/국방부 대변인/어제 : "동창리와 산음동 연구단지를 포함한 북한의 핵과 미사일 시설에 대해 예의 주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 관영매체들이 2차 북미 회담을 선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이 갑자기 방향을 틀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태영호/전 영국주재 북한공사/미국의소리 방송 인터뷰 : "지금의 대화 흐름 유지냐, 강경으로 갈 것이냐 방향을 정하는 데까지는 못해도 한 달 정도는 걸릴 겁니다."]
북한이 4월 중순 예정된 14차 최고인민회의를 앞두고 탄도 미사일 발사를 강행할 것이란 추측도 나오고 있지만 비핵화의 중대한 국면에서 국제사회의 고립을 자초하지는 않을 것이란 분석이 우세합니다.
KBS 뉴스 홍석우입니다.
지난해 1차 북미 정상회담 이후 폐기 절차에 들어갔던 북한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서 최근 복구 움직임이 잇따라 포착되고 있습니다.
한미 정보 당국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가운데 북한의 정확한 의도를 파악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홍석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전문 매체인 '38노스'가 최근 공개한 북한 동창리 일대 위성 사진입니다.
미사일 발사대 주변에 차량 몇 대가 서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또, 해체됐던 수직 엔진 시험대의 상부 구조가 복구된 흔적도 포착됐습니다.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 CSIS는 "미사일 발사대와 수직엔진 시험대의 주요 부품들에 대한 복구가 계속되고 있다"며 사실상 정상가동 상태로 분석했습니다.
대미 압박용 메시지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빅터 차/조지타운 대학교 교수 : "지난번 하노이 회담 이후 뚜렷한 결론이 나지 않은 상황에 대해 (북한이) 트럼프 대통령과 세계에 보내는 메시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동창리 미사일 시험장은 북한이 대륙간 탄도 미사일, ICBM 기술을 연구해 온 곳으로 지난해 1차 북미 정상회담에서 폐기에 합의한 뒤 활동을 중단했습니다.
한미 정보 당국은 북한의 의도 파악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현수/국방부 대변인/어제 : "동창리와 산음동 연구단지를 포함한 북한의 핵과 미사일 시설에 대해 예의 주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 관영매체들이 2차 북미 회담을 선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이 갑자기 방향을 틀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태영호/전 영국주재 북한공사/미국의소리 방송 인터뷰 : "지금의 대화 흐름 유지냐, 강경으로 갈 것이냐 방향을 정하는 데까지는 못해도 한 달 정도는 걸릴 겁니다."]
북한이 4월 중순 예정된 14차 최고인민회의를 앞두고 탄도 미사일 발사를 강행할 것이란 추측도 나오고 있지만 비핵화의 중대한 국면에서 국제사회의 고립을 자초하지는 않을 것이란 분석이 우세합니다.
KBS 뉴스 홍석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 동창리 발사장 정상 가동 상태 복귀한 듯”…한미 ‘예의 주시’
-
- 입력 2019-03-08 19:06:38
- 수정2019-03-08 21:54:30

[앵커]
지난해 1차 북미 정상회담 이후 폐기 절차에 들어갔던 북한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서 최근 복구 움직임이 잇따라 포착되고 있습니다.
한미 정보 당국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가운데 북한의 정확한 의도를 파악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홍석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전문 매체인 '38노스'가 최근 공개한 북한 동창리 일대 위성 사진입니다.
미사일 발사대 주변에 차량 몇 대가 서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또, 해체됐던 수직 엔진 시험대의 상부 구조가 복구된 흔적도 포착됐습니다.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 CSIS는 "미사일 발사대와 수직엔진 시험대의 주요 부품들에 대한 복구가 계속되고 있다"며 사실상 정상가동 상태로 분석했습니다.
대미 압박용 메시지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빅터 차/조지타운 대학교 교수 : "지난번 하노이 회담 이후 뚜렷한 결론이 나지 않은 상황에 대해 (북한이) 트럼프 대통령과 세계에 보내는 메시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동창리 미사일 시험장은 북한이 대륙간 탄도 미사일, ICBM 기술을 연구해 온 곳으로 지난해 1차 북미 정상회담에서 폐기에 합의한 뒤 활동을 중단했습니다.
한미 정보 당국은 북한의 의도 파악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현수/국방부 대변인/어제 : "동창리와 산음동 연구단지를 포함한 북한의 핵과 미사일 시설에 대해 예의 주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 관영매체들이 2차 북미 회담을 선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이 갑자기 방향을 틀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태영호/전 영국주재 북한공사/미국의소리 방송 인터뷰 : "지금의 대화 흐름 유지냐, 강경으로 갈 것이냐 방향을 정하는 데까지는 못해도 한 달 정도는 걸릴 겁니다."]
북한이 4월 중순 예정된 14차 최고인민회의를 앞두고 탄도 미사일 발사를 강행할 것이란 추측도 나오고 있지만 비핵화의 중대한 국면에서 국제사회의 고립을 자초하지는 않을 것이란 분석이 우세합니다.
KBS 뉴스 홍석우입니다.
지난해 1차 북미 정상회담 이후 폐기 절차에 들어갔던 북한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서 최근 복구 움직임이 잇따라 포착되고 있습니다.
한미 정보 당국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가운데 북한의 정확한 의도를 파악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홍석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전문 매체인 '38노스'가 최근 공개한 북한 동창리 일대 위성 사진입니다.
미사일 발사대 주변에 차량 몇 대가 서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또, 해체됐던 수직 엔진 시험대의 상부 구조가 복구된 흔적도 포착됐습니다.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 CSIS는 "미사일 발사대와 수직엔진 시험대의 주요 부품들에 대한 복구가 계속되고 있다"며 사실상 정상가동 상태로 분석했습니다.
대미 압박용 메시지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빅터 차/조지타운 대학교 교수 : "지난번 하노이 회담 이후 뚜렷한 결론이 나지 않은 상황에 대해 (북한이) 트럼프 대통령과 세계에 보내는 메시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동창리 미사일 시험장은 북한이 대륙간 탄도 미사일, ICBM 기술을 연구해 온 곳으로 지난해 1차 북미 정상회담에서 폐기에 합의한 뒤 활동을 중단했습니다.
한미 정보 당국은 북한의 의도 파악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현수/국방부 대변인/어제 : "동창리와 산음동 연구단지를 포함한 북한의 핵과 미사일 시설에 대해 예의 주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 관영매체들이 2차 북미 회담을 선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이 갑자기 방향을 틀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태영호/전 영국주재 북한공사/미국의소리 방송 인터뷰 : "지금의 대화 흐름 유지냐, 강경으로 갈 것이냐 방향을 정하는 데까지는 못해도 한 달 정도는 걸릴 겁니다."]
북한이 4월 중순 예정된 14차 최고인민회의를 앞두고 탄도 미사일 발사를 강행할 것이란 추측도 나오고 있지만 비핵화의 중대한 국면에서 국제사회의 고립을 자초하지는 않을 것이란 분석이 우세합니다.
KBS 뉴스 홍석우입니다.
-
-
홍석우 기자 musehong@kbs.co.kr
홍석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2019 북미 정상회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