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정 없는 EU 탈퇴 vs 사실상 잔류…영국의 운명은?

입력 2019.03.30 (21:25) 수정 2019.03.30 (21: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영국이 유럽연합 탈퇴 방안을 찾지 못한 채 혼돈에 빠지고 있습니다.

EU에서 탈퇴하는 조건을 담은 결의안이 어제(29일) 하원에서 또 부결된겁니다.

이제 영국엔 아무 협정 없이 EU를 떠나는 노 딜 브렉시트냐, 아니면 사실상의 유럽연합 잔류냐의 선택이 남았습니다.

유광석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메이 총리가 승부수를 던졌지만 결국 또 패배했습니다.

'탈퇴협정을 승인해 5월 22일 EU를 떠난다'는 정부 결의안이 하원에서 58표차로 부결됐습니다.

이미 두 차례 부결된 브렉시트 합의안 가운데 핵심 내용인 탈퇴협정만 따로 떼어내 표결에 부쳤지만 이마저 거부당한 겁니다.

[테레사 메이/영국 총리 : "오늘 하원의 결정은 매우 심각합니다. 이제 법적 절차는 영국이 4월 12일 EU를 떠날 예정이라는 것입니다."]

시위대 브렉시트 일정이 지연되자 브렉시트 지지자 수천 명이 거리로 나와 의회를 성토했습니다.

[로저 태터잘/브렉시트 지지자 : "의원들이 약속한 것을 왜 우선 실행하지 않고 제때 떠나지 못하게 하는 겁니까?"]

지난주엔 브렉시트에 반대하는 수십만 명이 제2국민투표를 주장하며 거리를 행진했습니다.

EU탈퇴협정 부결로 영국은 이제 4월 12일 노 딜 브렉시트냐, 아니면 브렉시트 장기 연기, 사실상의 장기간 EU 잔류냐의 선택에 직면했습니다.

영국이 5월에 치러질 유럽연합 선거에 참여할지 여부가 이 선택을 좌우합니다.

일각에선 메이 총리 퇴진과 조기 총선 방안이 거론되는 등 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유럽연합은 4월 12일 영국이 협정 없이 탈퇴하는 노 딜 브렉시트 시나리오에 완전히 대비돼 있음을 강조했지만 노 딜은 유럽연합에도 혼란이 불가피한 선택입니다.

유럽연합은 일단 다음달 10일 임시 정상회의를 열어 브렉시트 문제를 논의합니다.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협정 없는 EU 탈퇴 vs 사실상 잔류…영국의 운명은?
    • 입력 2019-03-30 21:28:07
    • 수정2019-03-30 21:49:31
    뉴스 9
[앵커]

영국이 유럽연합 탈퇴 방안을 찾지 못한 채 혼돈에 빠지고 있습니다.

EU에서 탈퇴하는 조건을 담은 결의안이 어제(29일) 하원에서 또 부결된겁니다.

이제 영국엔 아무 협정 없이 EU를 떠나는 노 딜 브렉시트냐, 아니면 사실상의 유럽연합 잔류냐의 선택이 남았습니다.

유광석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메이 총리가 승부수를 던졌지만 결국 또 패배했습니다.

'탈퇴협정을 승인해 5월 22일 EU를 떠난다'는 정부 결의안이 하원에서 58표차로 부결됐습니다.

이미 두 차례 부결된 브렉시트 합의안 가운데 핵심 내용인 탈퇴협정만 따로 떼어내 표결에 부쳤지만 이마저 거부당한 겁니다.

[테레사 메이/영국 총리 : "오늘 하원의 결정은 매우 심각합니다. 이제 법적 절차는 영국이 4월 12일 EU를 떠날 예정이라는 것입니다."]

시위대 브렉시트 일정이 지연되자 브렉시트 지지자 수천 명이 거리로 나와 의회를 성토했습니다.

[로저 태터잘/브렉시트 지지자 : "의원들이 약속한 것을 왜 우선 실행하지 않고 제때 떠나지 못하게 하는 겁니까?"]

지난주엔 브렉시트에 반대하는 수십만 명이 제2국민투표를 주장하며 거리를 행진했습니다.

EU탈퇴협정 부결로 영국은 이제 4월 12일 노 딜 브렉시트냐, 아니면 브렉시트 장기 연기, 사실상의 장기간 EU 잔류냐의 선택에 직면했습니다.

영국이 5월에 치러질 유럽연합 선거에 참여할지 여부가 이 선택을 좌우합니다.

일각에선 메이 총리 퇴진과 조기 총선 방안이 거론되는 등 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유럽연합은 4월 12일 영국이 협정 없이 탈퇴하는 노 딜 브렉시트 시나리오에 완전히 대비돼 있음을 강조했지만 노 딜은 유럽연합에도 혼란이 불가피한 선택입니다.

유럽연합은 일단 다음달 10일 임시 정상회의를 열어 브렉시트 문제를 논의합니다.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