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하와이 미 해병 항공기 14대 한반도 전개…北 비난
입력 2019.04.02 (19:10)
수정 2019.04.02 (19: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달 미국 해병대 항공기가 한반도에 전개돼 비공개 한미 연합 훈련을 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습니다.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위한 한미 군 당국의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박민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미국 해병대가 운용하는 수직이·착륙기, 오스프리입니다.
최대 20여 명의 병력을 태울 수 있으며, 주로 상륙작전 등에 투입됩니다.
지난달, 이 수송기와 공격헬기 등 미 해병대 소속 항공기 14대가 하와이에서 한반도로 전개됐습니다.
일부는 한국 해병대 뿐만 아니라 특전사와도 연합훈련을 펼쳤습니다.
크라파로타 미 태평양해병부대 사령관은 한국 해병대 창설 70주년 기념식에서 뒤늦게 이같은 사실을 밝혔습니다.
[크라파로타/미국 태평양해병부대사령관 : "한국군과의 훈련을 통해 미 해병대의 전투준비태세는 향상됐습니다. 우리는 한국 해병대와 다음 70년 동안도 동맹과 파트너로 함께 하길 기대합니다."]
크라파로타 사령관은 또 한국군의 대형 수송함과 상륙함에 미 해병의 F-35B 전투기나 상륙장갑차를 싣는 방안 등도 언급했습니다.
키리졸브와 독수리연습 등 대규모 한미 연합훈련이 종료됐지만, 두 나라 전투부대의 연합작전 능력을 발전시키는 방안에 대해서는 미군 측이 계속 고심하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이와 함께 한미 군 당국은 지난달부터 특별상설군사위원회를 열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조건을 평가하는 등 전작권 전환 준비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 매체들은 지난달 열린 한미 공군 연합훈련과 미국 버솔프 경비함의 제주 입항을 지목하며 북한에 대한 군사적 압박이라고 비난했습니다.
KBS 뉴스 박민철입니다.
지난달 미국 해병대 항공기가 한반도에 전개돼 비공개 한미 연합 훈련을 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습니다.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위한 한미 군 당국의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박민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미국 해병대가 운용하는 수직이·착륙기, 오스프리입니다.
최대 20여 명의 병력을 태울 수 있으며, 주로 상륙작전 등에 투입됩니다.
지난달, 이 수송기와 공격헬기 등 미 해병대 소속 항공기 14대가 하와이에서 한반도로 전개됐습니다.
일부는 한국 해병대 뿐만 아니라 특전사와도 연합훈련을 펼쳤습니다.
크라파로타 미 태평양해병부대 사령관은 한국 해병대 창설 70주년 기념식에서 뒤늦게 이같은 사실을 밝혔습니다.
[크라파로타/미국 태평양해병부대사령관 : "한국군과의 훈련을 통해 미 해병대의 전투준비태세는 향상됐습니다. 우리는 한국 해병대와 다음 70년 동안도 동맹과 파트너로 함께 하길 기대합니다."]
크라파로타 사령관은 또 한국군의 대형 수송함과 상륙함에 미 해병의 F-35B 전투기나 상륙장갑차를 싣는 방안 등도 언급했습니다.
키리졸브와 독수리연습 등 대규모 한미 연합훈련이 종료됐지만, 두 나라 전투부대의 연합작전 능력을 발전시키는 방안에 대해서는 미군 측이 계속 고심하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이와 함께 한미 군 당국은 지난달부터 특별상설군사위원회를 열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조건을 평가하는 등 전작권 전환 준비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 매체들은 지난달 열린 한미 공군 연합훈련과 미국 버솔프 경비함의 제주 입항을 지목하며 북한에 대한 군사적 압박이라고 비난했습니다.
KBS 뉴스 박민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달 하와이 미 해병 항공기 14대 한반도 전개…北 비난
-
- 입력 2019-04-02 19:11:51
- 수정2019-04-02 19:56:41

[앵커]
지난달 미국 해병대 항공기가 한반도에 전개돼 비공개 한미 연합 훈련을 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습니다.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위한 한미 군 당국의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박민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미국 해병대가 운용하는 수직이·착륙기, 오스프리입니다.
최대 20여 명의 병력을 태울 수 있으며, 주로 상륙작전 등에 투입됩니다.
지난달, 이 수송기와 공격헬기 등 미 해병대 소속 항공기 14대가 하와이에서 한반도로 전개됐습니다.
일부는 한국 해병대 뿐만 아니라 특전사와도 연합훈련을 펼쳤습니다.
크라파로타 미 태평양해병부대 사령관은 한국 해병대 창설 70주년 기념식에서 뒤늦게 이같은 사실을 밝혔습니다.
[크라파로타/미국 태평양해병부대사령관 : "한국군과의 훈련을 통해 미 해병대의 전투준비태세는 향상됐습니다. 우리는 한국 해병대와 다음 70년 동안도 동맹과 파트너로 함께 하길 기대합니다."]
크라파로타 사령관은 또 한국군의 대형 수송함과 상륙함에 미 해병의 F-35B 전투기나 상륙장갑차를 싣는 방안 등도 언급했습니다.
키리졸브와 독수리연습 등 대규모 한미 연합훈련이 종료됐지만, 두 나라 전투부대의 연합작전 능력을 발전시키는 방안에 대해서는 미군 측이 계속 고심하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이와 함께 한미 군 당국은 지난달부터 특별상설군사위원회를 열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조건을 평가하는 등 전작권 전환 준비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 매체들은 지난달 열린 한미 공군 연합훈련과 미국 버솔프 경비함의 제주 입항을 지목하며 북한에 대한 군사적 압박이라고 비난했습니다.
KBS 뉴스 박민철입니다.
지난달 미국 해병대 항공기가 한반도에 전개돼 비공개 한미 연합 훈련을 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습니다.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위한 한미 군 당국의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박민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미국 해병대가 운용하는 수직이·착륙기, 오스프리입니다.
최대 20여 명의 병력을 태울 수 있으며, 주로 상륙작전 등에 투입됩니다.
지난달, 이 수송기와 공격헬기 등 미 해병대 소속 항공기 14대가 하와이에서 한반도로 전개됐습니다.
일부는 한국 해병대 뿐만 아니라 특전사와도 연합훈련을 펼쳤습니다.
크라파로타 미 태평양해병부대 사령관은 한국 해병대 창설 70주년 기념식에서 뒤늦게 이같은 사실을 밝혔습니다.
[크라파로타/미국 태평양해병부대사령관 : "한국군과의 훈련을 통해 미 해병대의 전투준비태세는 향상됐습니다. 우리는 한국 해병대와 다음 70년 동안도 동맹과 파트너로 함께 하길 기대합니다."]
크라파로타 사령관은 또 한국군의 대형 수송함과 상륙함에 미 해병의 F-35B 전투기나 상륙장갑차를 싣는 방안 등도 언급했습니다.
키리졸브와 독수리연습 등 대규모 한미 연합훈련이 종료됐지만, 두 나라 전투부대의 연합작전 능력을 발전시키는 방안에 대해서는 미군 측이 계속 고심하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이와 함께 한미 군 당국은 지난달부터 특별상설군사위원회를 열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조건을 평가하는 등 전작권 전환 준비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 매체들은 지난달 열린 한미 공군 연합훈련과 미국 버솔프 경비함의 제주 입항을 지목하며 북한에 대한 군사적 압박이라고 비난했습니다.
KBS 뉴스 박민철입니다.
-
-
박민철 기자 mcpark@kbs.co.kr
박민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