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아닌 바이러스성 소아 장염 유행
입력 2003.03.14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때아닌 바이러스성 장염이 극성을 부리고 있습니다.
증상과 예방법을 이준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요즘 소아과를 찾는 어린이의 절반 가량은 장염환자입니다.
보통 초겨울인 11월과 12월에 유행하는 바이러스성 장염이 초봄에 극성을 부리는 것은 이례적인 일입니다.
장염에 걸리면 심한 구토와 함께 설사를 하고 열이 나기도 합니다.
⊙임현정(보호자): 심한 날은 20번 정도 설사를 이불에 젖을 정도로 했어요.
⊙기자: 이런 증세가 2, 3일 이상 계속되면 탈수 증세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한 설사 끝에 탈수증에 빠진 이 어린이도 일주일째 입원중입니다.
⊙강영란(보호자): 먹지를 못하니까요, 애들이.
거의 탈진상태에서 거의 입원하니까...
⊙기자: 특히 유아의 경우 탈수증이 분명하지 않아 치료시기를 놓치기 쉽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김성구(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소아과): 구토와 설사가 동반되는 경우에는 어른하고 비교해서 빠르게 탈수에 빠질 수가 있고 그런 경우에는 전해질 불균형이 올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쇼크에까지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기자: 이런 경우 충분한 수분을 공급해 주어야 하지만 당도가 높은 일반 음료수는 피해야 합니다.
바이러스성 장염은 여름철 장염보다 확산속도가 훨씬 빨라 당분간은 어린이들의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KBS뉴스 이준희입니다.
증상과 예방법을 이준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요즘 소아과를 찾는 어린이의 절반 가량은 장염환자입니다.
보통 초겨울인 11월과 12월에 유행하는 바이러스성 장염이 초봄에 극성을 부리는 것은 이례적인 일입니다.
장염에 걸리면 심한 구토와 함께 설사를 하고 열이 나기도 합니다.
⊙임현정(보호자): 심한 날은 20번 정도 설사를 이불에 젖을 정도로 했어요.
⊙기자: 이런 증세가 2, 3일 이상 계속되면 탈수 증세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한 설사 끝에 탈수증에 빠진 이 어린이도 일주일째 입원중입니다.
⊙강영란(보호자): 먹지를 못하니까요, 애들이.
거의 탈진상태에서 거의 입원하니까...
⊙기자: 특히 유아의 경우 탈수증이 분명하지 않아 치료시기를 놓치기 쉽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김성구(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소아과): 구토와 설사가 동반되는 경우에는 어른하고 비교해서 빠르게 탈수에 빠질 수가 있고 그런 경우에는 전해질 불균형이 올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쇼크에까지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기자: 이런 경우 충분한 수분을 공급해 주어야 하지만 당도가 높은 일반 음료수는 피해야 합니다.
바이러스성 장염은 여름철 장염보다 확산속도가 훨씬 빨라 당분간은 어린이들의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KBS뉴스 이준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때아닌 바이러스성 소아 장염 유행
-
- 입력 2003-03-14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때아닌 바이러스성 장염이 극성을 부리고 있습니다.
증상과 예방법을 이준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요즘 소아과를 찾는 어린이의 절반 가량은 장염환자입니다.
보통 초겨울인 11월과 12월에 유행하는 바이러스성 장염이 초봄에 극성을 부리는 것은 이례적인 일입니다.
장염에 걸리면 심한 구토와 함께 설사를 하고 열이 나기도 합니다.
⊙임현정(보호자): 심한 날은 20번 정도 설사를 이불에 젖을 정도로 했어요.
⊙기자: 이런 증세가 2, 3일 이상 계속되면 탈수 증세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한 설사 끝에 탈수증에 빠진 이 어린이도 일주일째 입원중입니다.
⊙강영란(보호자): 먹지를 못하니까요, 애들이.
거의 탈진상태에서 거의 입원하니까...
⊙기자: 특히 유아의 경우 탈수증이 분명하지 않아 치료시기를 놓치기 쉽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김성구(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소아과): 구토와 설사가 동반되는 경우에는 어른하고 비교해서 빠르게 탈수에 빠질 수가 있고 그런 경우에는 전해질 불균형이 올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쇼크에까지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기자: 이런 경우 충분한 수분을 공급해 주어야 하지만 당도가 높은 일반 음료수는 피해야 합니다.
바이러스성 장염은 여름철 장염보다 확산속도가 훨씬 빨라 당분간은 어린이들의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KBS뉴스 이준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