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체 어떻게, 왜…故 김용균 진상규명위 활동 시작
입력 2019.04.03 (21:26)
수정 2019.04.04 (08: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현장을 제대로 고려한 개선 대책이 나올 수 있을까요.
태안화력발전소 하청업체 비정규직 노동자였던 고 김용균씨가 세상을 떠난지 넉 달 가까이 지난 오늘(3일)에서야 진상규명위원회가 실태조사에 나섰습니다.
변진석 기자가 동행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연기를 뿜으며 가동중인 태안화력발전소, 김용균씨가 숨진 그곳엔 사고 당시의 석탄 가루가 그대로 쌓여있습니다.
[진상조사위원 : "배큠클리너(진공청소기)가 (석탄가루를) 빨아들이지 못해서 거의 안 쓴다고 그러던데요? 그냥 긁어낸다고.]
사고 뒤 밝은 전등이 달리긴 했지만 안전대책은 여전히 미흡합니다.
배출가스의 황을 제거하는 시설, 안전설비 없이 노출된 컨베이어 벨트가 소음을 내며 돌아갑니다.
황당한 대책도 나왔습니다.
김용균씨 사고 이후에 이 노란색 안전펜스가 설치됐습니다.
그런데 이 펜스 때문에 작업설비에 접근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근로자의 요구는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하청업체 근로자/음성변조 : "(외부 계단이) 미끄럽고 좁고 균형성도 안맞을 수 있다는 생각도 들어요. 20년 동안 엘리베이터도 없이 왔다갔다..."]
이런 현실이 유가족에겐 답답합니다.
[김미숙/고 김용균 씨 어머니 : "현장 개선을 28번이나 요구를 했는데도 원청에서는 자기일 아니라고만..."]
고 김용균씨의 사망후 넉달 가까이 지나서야 시작된 정부 진상규명위원회 활동.
[김지형/김용균 진상규명위 위원장 : "산재 발생이 아주 오랜 기간동안 OECD 국가 1위입니다. 국가적으로 참기 힘든 치욕이고 엄청난 불명예....."]
조사위원 16명은 7월까지 실태를 조사해 개선대책을 내놓을 예정입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이번에는 현장을 제대로 고려한 개선 대책이 나올 수 있을까요.
태안화력발전소 하청업체 비정규직 노동자였던 고 김용균씨가 세상을 떠난지 넉 달 가까이 지난 오늘(3일)에서야 진상규명위원회가 실태조사에 나섰습니다.
변진석 기자가 동행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연기를 뿜으며 가동중인 태안화력발전소, 김용균씨가 숨진 그곳엔 사고 당시의 석탄 가루가 그대로 쌓여있습니다.
[진상조사위원 : "배큠클리너(진공청소기)가 (석탄가루를) 빨아들이지 못해서 거의 안 쓴다고 그러던데요? 그냥 긁어낸다고.]
사고 뒤 밝은 전등이 달리긴 했지만 안전대책은 여전히 미흡합니다.
배출가스의 황을 제거하는 시설, 안전설비 없이 노출된 컨베이어 벨트가 소음을 내며 돌아갑니다.
황당한 대책도 나왔습니다.
김용균씨 사고 이후에 이 노란색 안전펜스가 설치됐습니다.
그런데 이 펜스 때문에 작업설비에 접근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근로자의 요구는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하청업체 근로자/음성변조 : "(외부 계단이) 미끄럽고 좁고 균형성도 안맞을 수 있다는 생각도 들어요. 20년 동안 엘리베이터도 없이 왔다갔다..."]
이런 현실이 유가족에겐 답답합니다.
[김미숙/고 김용균 씨 어머니 : "현장 개선을 28번이나 요구를 했는데도 원청에서는 자기일 아니라고만..."]
고 김용균씨의 사망후 넉달 가까이 지나서야 시작된 정부 진상규명위원회 활동.
[김지형/김용균 진상규명위 위원장 : "산재 발생이 아주 오랜 기간동안 OECD 국가 1위입니다. 국가적으로 참기 힘든 치욕이고 엄청난 불명예....."]
조사위원 16명은 7월까지 실태를 조사해 개선대책을 내놓을 예정입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도대체 어떻게, 왜…故 김용균 진상규명위 활동 시작
-
- 입력 2019-04-03 21:29:42
- 수정2019-04-04 08:49:02

[앵커]
이번에는 현장을 제대로 고려한 개선 대책이 나올 수 있을까요.
태안화력발전소 하청업체 비정규직 노동자였던 고 김용균씨가 세상을 떠난지 넉 달 가까이 지난 오늘(3일)에서야 진상규명위원회가 실태조사에 나섰습니다.
변진석 기자가 동행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연기를 뿜으며 가동중인 태안화력발전소, 김용균씨가 숨진 그곳엔 사고 당시의 석탄 가루가 그대로 쌓여있습니다.
[진상조사위원 : "배큠클리너(진공청소기)가 (석탄가루를) 빨아들이지 못해서 거의 안 쓴다고 그러던데요? 그냥 긁어낸다고.]
사고 뒤 밝은 전등이 달리긴 했지만 안전대책은 여전히 미흡합니다.
배출가스의 황을 제거하는 시설, 안전설비 없이 노출된 컨베이어 벨트가 소음을 내며 돌아갑니다.
황당한 대책도 나왔습니다.
김용균씨 사고 이후에 이 노란색 안전펜스가 설치됐습니다.
그런데 이 펜스 때문에 작업설비에 접근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근로자의 요구는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하청업체 근로자/음성변조 : "(외부 계단이) 미끄럽고 좁고 균형성도 안맞을 수 있다는 생각도 들어요. 20년 동안 엘리베이터도 없이 왔다갔다..."]
이런 현실이 유가족에겐 답답합니다.
[김미숙/고 김용균 씨 어머니 : "현장 개선을 28번이나 요구를 했는데도 원청에서는 자기일 아니라고만..."]
고 김용균씨의 사망후 넉달 가까이 지나서야 시작된 정부 진상규명위원회 활동.
[김지형/김용균 진상규명위 위원장 : "산재 발생이 아주 오랜 기간동안 OECD 국가 1위입니다. 국가적으로 참기 힘든 치욕이고 엄청난 불명예....."]
조사위원 16명은 7월까지 실태를 조사해 개선대책을 내놓을 예정입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
-
변진석 기자 brick@kbs.co.kr
변진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