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충전] 꽃보다 봄나물…입안 가득 퍼지는 향긋한 봄

입력 2019.04.09 (12:46) 수정 2019.04.09 (12: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완연한 봄 날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반가운 봄비도 예보돼 있는데요.

봄이 왔다는 건 식탁에 오른 음식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정보충전에서 땅속의 보물, 봄나물 200% 즐기는 법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초록빛 나물이 가득합니다.

봄을 대표하는 봄나물을 오감으로 체험하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나물 계의 인삼이라 불리는 냉이부터 쌉싸래한 맛과 향의 달래, 달콤한 맛의 원추리 등 우리나라에서 많이 채취되는 열다섯 종의 나물이 전시되어 있는데요.

[정관 스님/백양사 천진암 주지 : "(봄나물은) 자기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향이 있어서 그걸 먹으면 신진대사가 원활해지고 피로가 싹 가십니다. 그리고 피부도 고와져요."]

겨우내 땅속에서 자란 봄나물에는 비타민과 무기질 등 필수 영양소가 많아 면역력을 높여 주는데요.

나물들은 각각의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채소 향부터 과일 향, 꽃향, 견과류 향, 매운 향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데요.

비름나물의 경우 흙냄새가 강하고 냉이는 후추 같은 매운 향이, 곰취는 사과 같은 과일 향이 강합니다.

[김정은/요리연구가 : "봄나물은 채소, 과일, 매운 향 등 다양한 향을 가지고 있는데, 봄나물의 맛과 향을 알고 그 특징을 이해하면 나물 본연의 맛과 향을 살릴 수 있습니다."]

돌나물과 봄동의 풋풋한 향을 살릴 땐 간장 양념이 냉이나 풋마늘대처럼 특유의 향이 강하다면 된장 양념과도 잘 어울리는데요.

된장의 구수한 향이 나물의 강한 향을 눌러 줍니다.

된장과 깨를 일대일 비율로 섞어준 뒤 참기름을 적당히 넣어주면 맛깔 나는 양념이 됩니다.

겨우내 흙 속에 묻혀있던 봄나물.

나물에 묻은 흙과 이물질을 제거하려면 손이 많이 가죠,

많게는 스무 번 넘게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요.

쿠킹포일과 고무줄만 있으면 손쉽게 나물을 손질할 수 있습니다.

냉이처럼 잎과 뿌리 사이사이를 손질해야 하는 나물의 경우 쿠킹포일을 구겨 이물질이 묻은 부분을 살살 긁어내면 됩니다.

달래처럼 줄기째 먹는 나물은 줄기 끝 부분을 고무줄로 묶어주면 한 번에 흔들어 씻을 수 있고 나물이 흩어지지 않아 손질 과정이 간단해집니다.

나물을 삶을 땐 나물 종류에 따라 삶는 시간에도 차이를 둬야 합니다.

세발나물같이 연한 잎만 먹는 경우엔 30초, 냉이나 원추리같이 뿌리도 함께 먹는 경우는 1분 정도, 곰취나 머위잎처럼 식감이 질긴 나물은 2분 이상 삶아주어야 합니다.

데친 나물의 물기를 짤 땐, 이 김발을 이용해주면 됩니다.

김발에 나물을 넣고 가볍게 잡아주듯 말아주면 나물의 물기를 고르게 짤 수 있습니다.

같은 나물이라도 조리방법에 따라 다른 향을 가질 수 있는데요.

냉이의 경우 찌거나 데치면 녹차 같은 풀 냄새를 맡을 수 있고요.

반면 불에 굽거나 볶으면 냉이의 아삭함과 감칠맛이 상승하면서 해산물 향이 나게 됩니다.

[김미정/한국식생활교육연구원 교수 : "냉이는 황을 가진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데요. 냉이를 불에 굽거나 볶을 경우 분자량이 작은 황 화합물로 바뀌는데 이것은 김의 향기 성분과 유사한 성분입니다."]

봄나물, 색다르게 즐길 수도 있습니다.

일반 달래를 1년 정도 더 키워 수확한 은달래로는 땅콩버터에 민감한 분도 맛볼 수 있는 고소한 버터도 만들 수 있습니다.

달래의 알뿌리를 굵게 다져 준비한 다음 볶아주는데요.

여기에 된장과 생크림을 넣고 다시 볶아준 뒤 믹서로 곱게 갈아 점성이 생길 때까지 졸여내고요.

참기름을 넣고 식혀주면 고소한 달래 버터가 됩니다.

[김미정/한국식생활교육연구원 교수 : "은달래를 볶을 경우에 고소한 향이 나는 이유는 은달래의 향과 단백질이 결합하여 고소한 풍미의 화합물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주로 국에 넣어 먹는 참나물로 근사한 샐러드도 만들 수 있습니다.

줄기와 잎 부분을 모두 다진 참나물에 작게 썬 토마토와 양파, 고추를 넣고 식초로 간을 해주면 참나물 샐러드가 되는데요.

바게트나 크래커 등에 곁들이면 간식으로도 제격이겠죠.

[강민혜/경기도 고양시 : "견과류가 하나도 들어가지 않았는데 달래와 된장, 그리고 몇 가지 소스만으로 고소하고 크림 같은 땅콩버터 맛이 나는 게 너무 신기했어요."]

봄이 주는 선물 봄나물.

제대로 알고 맛있게 즐겨보세요.

정보충전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보충전] 꽃보다 봄나물…입안 가득 퍼지는 향긋한 봄
    • 입력 2019-04-09 12:51:00
    • 수정2019-04-09 12:59:23
    뉴스 12
[앵커]

완연한 봄 날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반가운 봄비도 예보돼 있는데요.

봄이 왔다는 건 식탁에 오른 음식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정보충전에서 땅속의 보물, 봄나물 200% 즐기는 법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초록빛 나물이 가득합니다.

봄을 대표하는 봄나물을 오감으로 체험하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나물 계의 인삼이라 불리는 냉이부터 쌉싸래한 맛과 향의 달래, 달콤한 맛의 원추리 등 우리나라에서 많이 채취되는 열다섯 종의 나물이 전시되어 있는데요.

[정관 스님/백양사 천진암 주지 : "(봄나물은) 자기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향이 있어서 그걸 먹으면 신진대사가 원활해지고 피로가 싹 가십니다. 그리고 피부도 고와져요."]

겨우내 땅속에서 자란 봄나물에는 비타민과 무기질 등 필수 영양소가 많아 면역력을 높여 주는데요.

나물들은 각각의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채소 향부터 과일 향, 꽃향, 견과류 향, 매운 향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데요.

비름나물의 경우 흙냄새가 강하고 냉이는 후추 같은 매운 향이, 곰취는 사과 같은 과일 향이 강합니다.

[김정은/요리연구가 : "봄나물은 채소, 과일, 매운 향 등 다양한 향을 가지고 있는데, 봄나물의 맛과 향을 알고 그 특징을 이해하면 나물 본연의 맛과 향을 살릴 수 있습니다."]

돌나물과 봄동의 풋풋한 향을 살릴 땐 간장 양념이 냉이나 풋마늘대처럼 특유의 향이 강하다면 된장 양념과도 잘 어울리는데요.

된장의 구수한 향이 나물의 강한 향을 눌러 줍니다.

된장과 깨를 일대일 비율로 섞어준 뒤 참기름을 적당히 넣어주면 맛깔 나는 양념이 됩니다.

겨우내 흙 속에 묻혀있던 봄나물.

나물에 묻은 흙과 이물질을 제거하려면 손이 많이 가죠,

많게는 스무 번 넘게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요.

쿠킹포일과 고무줄만 있으면 손쉽게 나물을 손질할 수 있습니다.

냉이처럼 잎과 뿌리 사이사이를 손질해야 하는 나물의 경우 쿠킹포일을 구겨 이물질이 묻은 부분을 살살 긁어내면 됩니다.

달래처럼 줄기째 먹는 나물은 줄기 끝 부분을 고무줄로 묶어주면 한 번에 흔들어 씻을 수 있고 나물이 흩어지지 않아 손질 과정이 간단해집니다.

나물을 삶을 땐 나물 종류에 따라 삶는 시간에도 차이를 둬야 합니다.

세발나물같이 연한 잎만 먹는 경우엔 30초, 냉이나 원추리같이 뿌리도 함께 먹는 경우는 1분 정도, 곰취나 머위잎처럼 식감이 질긴 나물은 2분 이상 삶아주어야 합니다.

데친 나물의 물기를 짤 땐, 이 김발을 이용해주면 됩니다.

김발에 나물을 넣고 가볍게 잡아주듯 말아주면 나물의 물기를 고르게 짤 수 있습니다.

같은 나물이라도 조리방법에 따라 다른 향을 가질 수 있는데요.

냉이의 경우 찌거나 데치면 녹차 같은 풀 냄새를 맡을 수 있고요.

반면 불에 굽거나 볶으면 냉이의 아삭함과 감칠맛이 상승하면서 해산물 향이 나게 됩니다.

[김미정/한국식생활교육연구원 교수 : "냉이는 황을 가진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데요. 냉이를 불에 굽거나 볶을 경우 분자량이 작은 황 화합물로 바뀌는데 이것은 김의 향기 성분과 유사한 성분입니다."]

봄나물, 색다르게 즐길 수도 있습니다.

일반 달래를 1년 정도 더 키워 수확한 은달래로는 땅콩버터에 민감한 분도 맛볼 수 있는 고소한 버터도 만들 수 있습니다.

달래의 알뿌리를 굵게 다져 준비한 다음 볶아주는데요.

여기에 된장과 생크림을 넣고 다시 볶아준 뒤 믹서로 곱게 갈아 점성이 생길 때까지 졸여내고요.

참기름을 넣고 식혀주면 고소한 달래 버터가 됩니다.

[김미정/한국식생활교육연구원 교수 : "은달래를 볶을 경우에 고소한 향이 나는 이유는 은달래의 향과 단백질이 결합하여 고소한 풍미의 화합물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주로 국에 넣어 먹는 참나물로 근사한 샐러드도 만들 수 있습니다.

줄기와 잎 부분을 모두 다진 참나물에 작게 썬 토마토와 양파, 고추를 넣고 식초로 간을 해주면 참나물 샐러드가 되는데요.

바게트나 크래커 등에 곁들이면 간식으로도 제격이겠죠.

[강민혜/경기도 고양시 : "견과류가 하나도 들어가지 않았는데 달래와 된장, 그리고 몇 가지 소스만으로 고소하고 크림 같은 땅콩버터 맛이 나는 게 너무 신기했어요."]

봄이 주는 선물 봄나물.

제대로 알고 맛있게 즐겨보세요.

정보충전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