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산불 한달…이재민 고통 여전·멀고 먼 복구
입력 2019.05.04 (07:35)
수정 2019.05.04 (07: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동해안 대형 산불이 발생한 지 어느덧 한 달이 됐습니다.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들의 고통이 여전한 가운데, 피해 건축물 철거와 복구 등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때 50개 넘는 텐트가 자리했던 이재민 대피소입니다.
아직 15개 텐트에 이재민 30명 정도가 생활하고 있습니다.
자원봉사자와 공무원 도움으로 조금씩 안정을 되찾고 있지만, 언제 집으로 돌아갈지 불투명합니다.
[변향자/산불 피해 이재민 : "(정부가) 빨리 집을 지어 줘야지. 살던 집 똑같이. 그게 소원이지."]
화마가 휩쓸고 간 마을은 한 달 전 모습 그대로입니다.
산불 피해 지역 곳곳에서는 이렇게 불에 탄 채 여전히 방치되고 있는 건물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산불 피해가 가장 컸던 고성군 지역의 경우, 피해시설 철거 동의 비율이 34%에 불과합니다.
피해 주민 상당수는 한전의 보상 계획 등이 마련되기 전에는 철거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자치단체는 산불 이후 산사태 등 2차 피해 예방과 복구를 동시에 진행할 방침입니다.
[이경일/고성군수 : "마을 인근에 있는 산림에 대해서는 긴급 벌채를 하고 또 사방도 하고 농사일도 바로 하실 수 있도록 그런 작업들이 시급한 것 같습니다."]
산불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의 임시주택 입주도 시작됐습니다.
기존 연수원 등에서 집 근처에 마련된 임시 조립주택으로 거처를 옮긴 겁니다.
[산불 피해 이재민 : "방도 협소하고 주방이라든지 그런 게 좀 불편하지만 이런 편리를 제공해주셔서 시에 감사합니다."]
동해안 대형 산불 한 달째, 피해 주민들이 일상을 되찾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과 지원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동해안 대형 산불이 발생한 지 어느덧 한 달이 됐습니다.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들의 고통이 여전한 가운데, 피해 건축물 철거와 복구 등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때 50개 넘는 텐트가 자리했던 이재민 대피소입니다.
아직 15개 텐트에 이재민 30명 정도가 생활하고 있습니다.
자원봉사자와 공무원 도움으로 조금씩 안정을 되찾고 있지만, 언제 집으로 돌아갈지 불투명합니다.
[변향자/산불 피해 이재민 : "(정부가) 빨리 집을 지어 줘야지. 살던 집 똑같이. 그게 소원이지."]
화마가 휩쓸고 간 마을은 한 달 전 모습 그대로입니다.
산불 피해 지역 곳곳에서는 이렇게 불에 탄 채 여전히 방치되고 있는 건물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산불 피해가 가장 컸던 고성군 지역의 경우, 피해시설 철거 동의 비율이 34%에 불과합니다.
피해 주민 상당수는 한전의 보상 계획 등이 마련되기 전에는 철거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자치단체는 산불 이후 산사태 등 2차 피해 예방과 복구를 동시에 진행할 방침입니다.
[이경일/고성군수 : "마을 인근에 있는 산림에 대해서는 긴급 벌채를 하고 또 사방도 하고 농사일도 바로 하실 수 있도록 그런 작업들이 시급한 것 같습니다."]
산불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의 임시주택 입주도 시작됐습니다.
기존 연수원 등에서 집 근처에 마련된 임시 조립주택으로 거처를 옮긴 겁니다.
[산불 피해 이재민 : "방도 협소하고 주방이라든지 그런 게 좀 불편하지만 이런 편리를 제공해주셔서 시에 감사합니다."]
동해안 대형 산불 한 달째, 피해 주민들이 일상을 되찾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과 지원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해안 산불 한달…이재민 고통 여전·멀고 먼 복구
-
- 입력 2019-05-04 07:39:17
- 수정2019-05-04 07:58:30
[앵커]
동해안 대형 산불이 발생한 지 어느덧 한 달이 됐습니다.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들의 고통이 여전한 가운데, 피해 건축물 철거와 복구 등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때 50개 넘는 텐트가 자리했던 이재민 대피소입니다.
아직 15개 텐트에 이재민 30명 정도가 생활하고 있습니다.
자원봉사자와 공무원 도움으로 조금씩 안정을 되찾고 있지만, 언제 집으로 돌아갈지 불투명합니다.
[변향자/산불 피해 이재민 : "(정부가) 빨리 집을 지어 줘야지. 살던 집 똑같이. 그게 소원이지."]
화마가 휩쓸고 간 마을은 한 달 전 모습 그대로입니다.
산불 피해 지역 곳곳에서는 이렇게 불에 탄 채 여전히 방치되고 있는 건물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산불 피해가 가장 컸던 고성군 지역의 경우, 피해시설 철거 동의 비율이 34%에 불과합니다.
피해 주민 상당수는 한전의 보상 계획 등이 마련되기 전에는 철거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자치단체는 산불 이후 산사태 등 2차 피해 예방과 복구를 동시에 진행할 방침입니다.
[이경일/고성군수 : "마을 인근에 있는 산림에 대해서는 긴급 벌채를 하고 또 사방도 하고 농사일도 바로 하실 수 있도록 그런 작업들이 시급한 것 같습니다."]
산불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의 임시주택 입주도 시작됐습니다.
기존 연수원 등에서 집 근처에 마련된 임시 조립주택으로 거처를 옮긴 겁니다.
[산불 피해 이재민 : "방도 협소하고 주방이라든지 그런 게 좀 불편하지만 이런 편리를 제공해주셔서 시에 감사합니다."]
동해안 대형 산불 한 달째, 피해 주민들이 일상을 되찾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과 지원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동해안 대형 산불이 발생한 지 어느덧 한 달이 됐습니다.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들의 고통이 여전한 가운데, 피해 건축물 철거와 복구 등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때 50개 넘는 텐트가 자리했던 이재민 대피소입니다.
아직 15개 텐트에 이재민 30명 정도가 생활하고 있습니다.
자원봉사자와 공무원 도움으로 조금씩 안정을 되찾고 있지만, 언제 집으로 돌아갈지 불투명합니다.
[변향자/산불 피해 이재민 : "(정부가) 빨리 집을 지어 줘야지. 살던 집 똑같이. 그게 소원이지."]
화마가 휩쓸고 간 마을은 한 달 전 모습 그대로입니다.
산불 피해 지역 곳곳에서는 이렇게 불에 탄 채 여전히 방치되고 있는 건물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산불 피해가 가장 컸던 고성군 지역의 경우, 피해시설 철거 동의 비율이 34%에 불과합니다.
피해 주민 상당수는 한전의 보상 계획 등이 마련되기 전에는 철거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자치단체는 산불 이후 산사태 등 2차 피해 예방과 복구를 동시에 진행할 방침입니다.
[이경일/고성군수 : "마을 인근에 있는 산림에 대해서는 긴급 벌채를 하고 또 사방도 하고 농사일도 바로 하실 수 있도록 그런 작업들이 시급한 것 같습니다."]
산불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의 임시주택 입주도 시작됐습니다.
기존 연수원 등에서 집 근처에 마련된 임시 조립주택으로 거처를 옮긴 겁니다.
[산불 피해 이재민 : "방도 협소하고 주방이라든지 그런 게 좀 불편하지만 이런 편리를 제공해주셔서 시에 감사합니다."]
동해안 대형 산불 한 달째, 피해 주민들이 일상을 되찾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과 지원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
-
정면구 기자 nine@kbs.co.kr
정면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강원 산불…복구 총력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