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24 현장] ‘흑인노예 배상’, 미국 대선 이슈로
입력 2019.07.01 (20:39)
수정 2019.07.01 (20: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흑인노예제도 배상문제를 놓고 요즘 미국 사회에서 찬반 논쟁이 뜨겁습니다.
노예 후손들에게 배상을 해야 한다는 민주당과 이를 반대하는 공화당, 양쪽이 맞서면서 대선 이슈로까지 불이 붙는 모양새인데요.
김철우 특파원! 노예제도 배상 문제가 왜 갑자기 대선이슈가 된 겁니까?
[기자]
네, 지난달 미 하원 공청회에서 이 문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됐습니다.
미국에서는 6월 19일을 발음 나는 대로 '준틴스'라고 부르면서 노예제도 종식일로 기념하는데요.
바로 다음 날인 20일 미 하원에서 노예제도 배상과 관련된 공청회가 열린 겁니다.
정치권에 몸담고 있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참석해 의견을 냈는데요.
[코리 부커/민주당 상원의원 : "인종주의와 백인우월주의는 이 나라의 건국에 흠집을 냈고, 오늘날까지 깊은 불평등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지금 이것은 매우 중요한 청문회입니다."]
올해 초, 민주당의 '실라 잭슨 리' 하원의원이 '노예제 배상법안'을 제출하면서 논의가 시작됐는데요.
법안에는 흑인노예제도에 대해 정부가 공식 사과하고, 차별받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위해 보상책을 내놓을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대선 후보들이 이 법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면서 대선이슈로 떠오른 거죠.
[엘리자베스 워런/민주당 상원의원 : "바로 지금, 노예제 배상에 대해 전국적, 전면적 대화를 시작할 때입니다."]
노예제 배상을 추진하는 민주당과 달리, 공화당은 반대 또는 유보적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미치 매코널/공화당 상원의원 : "150년 전 일에 대한 배상은 좋은 생각이 아닙니다. 현재를 사는 우리 중 그 누구도 책임이 없습니다."]
[앵커]
그런데 정가 논쟁 이전에 노예제 배상에 대해 여론을 일으킨 곳이 또 따로 있다고요?
[기자]
네, 노예제 배상 움직임은 워싱턴 DC에 있는 조지타운대학교에서 시작됐습니다.
이 대학교는 노예를 사고팔았던 과거사에 대해 2006년 공식 사과했고 노예 후손들의 입학을 우대하고 있는데요.
조지타운대학은 180년 전 재정난 속에 기금을 마련하려고 흑인 노예 270여 명을 팔아넘긴 부끄러운 과거를 갖고 있습니다.
당시 노예를 판 수익은 현재 가치로 350만 달러 정도, 우리 돈으로 40억 원에 이릅니다.
지난 4월 총학생회는 학생들이 각자 등록금을 더 내서 노예 후손을 위한 기금을 조성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전체 학생 투표에서 68%가 찬성했는데요.
반대의견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플로/조지타운대 재학생 : "수년 전 대학이 저지른 잘못이잖아요. 배상금을 지급할 책임은 대학에 있다고 생각해요."]
[알리샤/조지타운대 재학생 : "당시 노예들의 희생이 없었다면 학교는 문을 닫았겠죠. 그들 후손에게 빚이 있다고 생각해요. 대가를 갚아야죠."]
[앵커]
대학 캠퍼스에서 시작된 찬반 논쟁이 정가까지로 옮겨간 모습인데, 배상문제를 놓고 단순 찬반이 아니라 제3의 방법도 거론되고 있다구요?
[기자]
네, 민주당이 법안을 제출했고 추진 중이지만 노예제 배상 문제를 본격화하는 데는 부담이 있습니다.
배상 금액 때문입니다.
추산된 배상금은 대략 14조 달러, 미국 GDP의 70%에 이릅니다.
표심잡기도 고민이죠.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초기 경선에서 민주당 선거인단의 60% 이상이 흑인입니다.
노예제도에 대한 직접 배상보다는 저소득층 후손에게 보건지원,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게 더 현실적이라는 의견도 나옵니다.
지금까지 뉴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흑인노예제도 배상문제를 놓고 요즘 미국 사회에서 찬반 논쟁이 뜨겁습니다.
노예 후손들에게 배상을 해야 한다는 민주당과 이를 반대하는 공화당, 양쪽이 맞서면서 대선 이슈로까지 불이 붙는 모양새인데요.
김철우 특파원! 노예제도 배상 문제가 왜 갑자기 대선이슈가 된 겁니까?
[기자]
네, 지난달 미 하원 공청회에서 이 문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됐습니다.
미국에서는 6월 19일을 발음 나는 대로 '준틴스'라고 부르면서 노예제도 종식일로 기념하는데요.
바로 다음 날인 20일 미 하원에서 노예제도 배상과 관련된 공청회가 열린 겁니다.
정치권에 몸담고 있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참석해 의견을 냈는데요.
[코리 부커/민주당 상원의원 : "인종주의와 백인우월주의는 이 나라의 건국에 흠집을 냈고, 오늘날까지 깊은 불평등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지금 이것은 매우 중요한 청문회입니다."]
올해 초, 민주당의 '실라 잭슨 리' 하원의원이 '노예제 배상법안'을 제출하면서 논의가 시작됐는데요.
법안에는 흑인노예제도에 대해 정부가 공식 사과하고, 차별받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위해 보상책을 내놓을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대선 후보들이 이 법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면서 대선이슈로 떠오른 거죠.
[엘리자베스 워런/민주당 상원의원 : "바로 지금, 노예제 배상에 대해 전국적, 전면적 대화를 시작할 때입니다."]
노예제 배상을 추진하는 민주당과 달리, 공화당은 반대 또는 유보적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미치 매코널/공화당 상원의원 : "150년 전 일에 대한 배상은 좋은 생각이 아닙니다. 현재를 사는 우리 중 그 누구도 책임이 없습니다."]
[앵커]
그런데 정가 논쟁 이전에 노예제 배상에 대해 여론을 일으킨 곳이 또 따로 있다고요?
[기자]
네, 노예제 배상 움직임은 워싱턴 DC에 있는 조지타운대학교에서 시작됐습니다.
이 대학교는 노예를 사고팔았던 과거사에 대해 2006년 공식 사과했고 노예 후손들의 입학을 우대하고 있는데요.
조지타운대학은 180년 전 재정난 속에 기금을 마련하려고 흑인 노예 270여 명을 팔아넘긴 부끄러운 과거를 갖고 있습니다.
당시 노예를 판 수익은 현재 가치로 350만 달러 정도, 우리 돈으로 40억 원에 이릅니다.
지난 4월 총학생회는 학생들이 각자 등록금을 더 내서 노예 후손을 위한 기금을 조성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전체 학생 투표에서 68%가 찬성했는데요.
반대의견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플로/조지타운대 재학생 : "수년 전 대학이 저지른 잘못이잖아요. 배상금을 지급할 책임은 대학에 있다고 생각해요."]
[알리샤/조지타운대 재학생 : "당시 노예들의 희생이 없었다면 학교는 문을 닫았겠죠. 그들 후손에게 빚이 있다고 생각해요. 대가를 갚아야죠."]
[앵커]
대학 캠퍼스에서 시작된 찬반 논쟁이 정가까지로 옮겨간 모습인데, 배상문제를 놓고 단순 찬반이 아니라 제3의 방법도 거론되고 있다구요?
[기자]
네, 민주당이 법안을 제출했고 추진 중이지만 노예제 배상 문제를 본격화하는 데는 부담이 있습니다.
배상 금액 때문입니다.
추산된 배상금은 대략 14조 달러, 미국 GDP의 70%에 이릅니다.
표심잡기도 고민이죠.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초기 경선에서 민주당 선거인단의 60% 이상이 흑인입니다.
노예제도에 대한 직접 배상보다는 저소득층 후손에게 보건지원,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게 더 현실적이라는 의견도 나옵니다.
지금까지 뉴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글로벌24 현장] ‘흑인노예 배상’, 미국 대선 이슈로
-
- 입력 2019-07-01 20:39:12
- 수정2019-07-01 20:59:59
[앵커]
흑인노예제도 배상문제를 놓고 요즘 미국 사회에서 찬반 논쟁이 뜨겁습니다.
노예 후손들에게 배상을 해야 한다는 민주당과 이를 반대하는 공화당, 양쪽이 맞서면서 대선 이슈로까지 불이 붙는 모양새인데요.
김철우 특파원! 노예제도 배상 문제가 왜 갑자기 대선이슈가 된 겁니까?
[기자]
네, 지난달 미 하원 공청회에서 이 문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됐습니다.
미국에서는 6월 19일을 발음 나는 대로 '준틴스'라고 부르면서 노예제도 종식일로 기념하는데요.
바로 다음 날인 20일 미 하원에서 노예제도 배상과 관련된 공청회가 열린 겁니다.
정치권에 몸담고 있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참석해 의견을 냈는데요.
[코리 부커/민주당 상원의원 : "인종주의와 백인우월주의는 이 나라의 건국에 흠집을 냈고, 오늘날까지 깊은 불평등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지금 이것은 매우 중요한 청문회입니다."]
올해 초, 민주당의 '실라 잭슨 리' 하원의원이 '노예제 배상법안'을 제출하면서 논의가 시작됐는데요.
법안에는 흑인노예제도에 대해 정부가 공식 사과하고, 차별받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위해 보상책을 내놓을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대선 후보들이 이 법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면서 대선이슈로 떠오른 거죠.
[엘리자베스 워런/민주당 상원의원 : "바로 지금, 노예제 배상에 대해 전국적, 전면적 대화를 시작할 때입니다."]
노예제 배상을 추진하는 민주당과 달리, 공화당은 반대 또는 유보적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미치 매코널/공화당 상원의원 : "150년 전 일에 대한 배상은 좋은 생각이 아닙니다. 현재를 사는 우리 중 그 누구도 책임이 없습니다."]
[앵커]
그런데 정가 논쟁 이전에 노예제 배상에 대해 여론을 일으킨 곳이 또 따로 있다고요?
[기자]
네, 노예제 배상 움직임은 워싱턴 DC에 있는 조지타운대학교에서 시작됐습니다.
이 대학교는 노예를 사고팔았던 과거사에 대해 2006년 공식 사과했고 노예 후손들의 입학을 우대하고 있는데요.
조지타운대학은 180년 전 재정난 속에 기금을 마련하려고 흑인 노예 270여 명을 팔아넘긴 부끄러운 과거를 갖고 있습니다.
당시 노예를 판 수익은 현재 가치로 350만 달러 정도, 우리 돈으로 40억 원에 이릅니다.
지난 4월 총학생회는 학생들이 각자 등록금을 더 내서 노예 후손을 위한 기금을 조성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전체 학생 투표에서 68%가 찬성했는데요.
반대의견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플로/조지타운대 재학생 : "수년 전 대학이 저지른 잘못이잖아요. 배상금을 지급할 책임은 대학에 있다고 생각해요."]
[알리샤/조지타운대 재학생 : "당시 노예들의 희생이 없었다면 학교는 문을 닫았겠죠. 그들 후손에게 빚이 있다고 생각해요. 대가를 갚아야죠."]
[앵커]
대학 캠퍼스에서 시작된 찬반 논쟁이 정가까지로 옮겨간 모습인데, 배상문제를 놓고 단순 찬반이 아니라 제3의 방법도 거론되고 있다구요?
[기자]
네, 민주당이 법안을 제출했고 추진 중이지만 노예제 배상 문제를 본격화하는 데는 부담이 있습니다.
배상 금액 때문입니다.
추산된 배상금은 대략 14조 달러, 미국 GDP의 70%에 이릅니다.
표심잡기도 고민이죠.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초기 경선에서 민주당 선거인단의 60% 이상이 흑인입니다.
노예제도에 대한 직접 배상보다는 저소득층 후손에게 보건지원,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게 더 현실적이라는 의견도 나옵니다.
지금까지 뉴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흑인노예제도 배상문제를 놓고 요즘 미국 사회에서 찬반 논쟁이 뜨겁습니다.
노예 후손들에게 배상을 해야 한다는 민주당과 이를 반대하는 공화당, 양쪽이 맞서면서 대선 이슈로까지 불이 붙는 모양새인데요.
김철우 특파원! 노예제도 배상 문제가 왜 갑자기 대선이슈가 된 겁니까?
[기자]
네, 지난달 미 하원 공청회에서 이 문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됐습니다.
미국에서는 6월 19일을 발음 나는 대로 '준틴스'라고 부르면서 노예제도 종식일로 기념하는데요.
바로 다음 날인 20일 미 하원에서 노예제도 배상과 관련된 공청회가 열린 겁니다.
정치권에 몸담고 있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참석해 의견을 냈는데요.
[코리 부커/민주당 상원의원 : "인종주의와 백인우월주의는 이 나라의 건국에 흠집을 냈고, 오늘날까지 깊은 불평등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지금 이것은 매우 중요한 청문회입니다."]
올해 초, 민주당의 '실라 잭슨 리' 하원의원이 '노예제 배상법안'을 제출하면서 논의가 시작됐는데요.
법안에는 흑인노예제도에 대해 정부가 공식 사과하고, 차별받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위해 보상책을 내놓을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대선 후보들이 이 법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면서 대선이슈로 떠오른 거죠.
[엘리자베스 워런/민주당 상원의원 : "바로 지금, 노예제 배상에 대해 전국적, 전면적 대화를 시작할 때입니다."]
노예제 배상을 추진하는 민주당과 달리, 공화당은 반대 또는 유보적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미치 매코널/공화당 상원의원 : "150년 전 일에 대한 배상은 좋은 생각이 아닙니다. 현재를 사는 우리 중 그 누구도 책임이 없습니다."]
[앵커]
그런데 정가 논쟁 이전에 노예제 배상에 대해 여론을 일으킨 곳이 또 따로 있다고요?
[기자]
네, 노예제 배상 움직임은 워싱턴 DC에 있는 조지타운대학교에서 시작됐습니다.
이 대학교는 노예를 사고팔았던 과거사에 대해 2006년 공식 사과했고 노예 후손들의 입학을 우대하고 있는데요.
조지타운대학은 180년 전 재정난 속에 기금을 마련하려고 흑인 노예 270여 명을 팔아넘긴 부끄러운 과거를 갖고 있습니다.
당시 노예를 판 수익은 현재 가치로 350만 달러 정도, 우리 돈으로 40억 원에 이릅니다.
지난 4월 총학생회는 학생들이 각자 등록금을 더 내서 노예 후손을 위한 기금을 조성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전체 학생 투표에서 68%가 찬성했는데요.
반대의견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플로/조지타운대 재학생 : "수년 전 대학이 저지른 잘못이잖아요. 배상금을 지급할 책임은 대학에 있다고 생각해요."]
[알리샤/조지타운대 재학생 : "당시 노예들의 희생이 없었다면 학교는 문을 닫았겠죠. 그들 후손에게 빚이 있다고 생각해요. 대가를 갚아야죠."]
[앵커]
대학 캠퍼스에서 시작된 찬반 논쟁이 정가까지로 옮겨간 모습인데, 배상문제를 놓고 단순 찬반이 아니라 제3의 방법도 거론되고 있다구요?
[기자]
네, 민주당이 법안을 제출했고 추진 중이지만 노예제 배상 문제를 본격화하는 데는 부담이 있습니다.
배상 금액 때문입니다.
추산된 배상금은 대략 14조 달러, 미국 GDP의 70%에 이릅니다.
표심잡기도 고민이죠.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초기 경선에서 민주당 선거인단의 60% 이상이 흑인입니다.
노예제도에 대한 직접 배상보다는 저소득층 후손에게 보건지원,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게 더 현실적이라는 의견도 나옵니다.
지금까지 뉴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
김철우 기자 cwkim@kbs.co.kr
김철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