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부추기는 성형·미용 광고…44%가 ‘불법’
입력 2019.08.01 (07:25)
수정 2019.08.01 (13: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각종 미용시술, 성형수술이 늘면서 병원마다 경쟁적으로 광고를 늘리고 있습니다.
정부가 이런 의료 광고를 점검했는데, 10건 중 4건이 관련 법규를 무시한 과다 광고, 거짓 광고였습니다.
엄진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미용 시술 상품을 전문으로 소개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입니다.
보톡스, 지방흡입, 레이저 시술 등 갖가지 미용 시술이 나와 있습니다.
보건복지부가 이런 사이트에 올라온 광고 2천4백 건을 조사했더니, 44%가 불법이었습니다.
눈이나 코 성형을 하면 지방 이식 시술을 얹어주는 등 고가의 수술에 미용 시술을 끼워파는 이른바 '묶어 팔기'가 가장 많았습니다.
특별 할인, 무료 시술 등의 문구로 현혹하고, 실제로는 사진 촬영이나 후기 작성 등을 요구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
'부작용 없음' , '전 세계 최고' 같은 허위·과장 광고도 있었습니다
모두 소비자를 현혹하는 불법 광고입니다.
[신제은/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과 : "의료는 환자의 생명과 안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사후 모니터링을 할 예정입니다. 불리한 조건이 붙어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해서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선택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이런 불법 광고는 미용시술이나 성형을 부추겨 과도한 비용 지출로 이어집니다.
또, 이런 광고가 청소년이 많이 이용하는 휴대전화와 인터넷에 많은 만큼 청소년에게 왜곡된 미의식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복지부는 적발된 병·의원 대한 행정처분을 의뢰하는 한편, 모든 수술과 시술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 만큼,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고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엄진아입니다.
각종 미용시술, 성형수술이 늘면서 병원마다 경쟁적으로 광고를 늘리고 있습니다.
정부가 이런 의료 광고를 점검했는데, 10건 중 4건이 관련 법규를 무시한 과다 광고, 거짓 광고였습니다.
엄진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미용 시술 상품을 전문으로 소개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입니다.
보톡스, 지방흡입, 레이저 시술 등 갖가지 미용 시술이 나와 있습니다.
보건복지부가 이런 사이트에 올라온 광고 2천4백 건을 조사했더니, 44%가 불법이었습니다.
눈이나 코 성형을 하면 지방 이식 시술을 얹어주는 등 고가의 수술에 미용 시술을 끼워파는 이른바 '묶어 팔기'가 가장 많았습니다.
특별 할인, 무료 시술 등의 문구로 현혹하고, 실제로는 사진 촬영이나 후기 작성 등을 요구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
'부작용 없음' , '전 세계 최고' 같은 허위·과장 광고도 있었습니다
모두 소비자를 현혹하는 불법 광고입니다.
[신제은/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과 : "의료는 환자의 생명과 안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사후 모니터링을 할 예정입니다. 불리한 조건이 붙어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해서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선택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이런 불법 광고는 미용시술이나 성형을 부추겨 과도한 비용 지출로 이어집니다.
또, 이런 광고가 청소년이 많이 이용하는 휴대전화와 인터넷에 많은 만큼 청소년에게 왜곡된 미의식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복지부는 적발된 병·의원 대한 행정처분을 의뢰하는 한편, 모든 수술과 시술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 만큼,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고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엄진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비 부추기는 성형·미용 광고…44%가 ‘불법’
-
- 입력 2019-08-01 07:27:25
- 수정2019-08-01 13:12:11
[앵커]
각종 미용시술, 성형수술이 늘면서 병원마다 경쟁적으로 광고를 늘리고 있습니다.
정부가 이런 의료 광고를 점검했는데, 10건 중 4건이 관련 법규를 무시한 과다 광고, 거짓 광고였습니다.
엄진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미용 시술 상품을 전문으로 소개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입니다.
보톡스, 지방흡입, 레이저 시술 등 갖가지 미용 시술이 나와 있습니다.
보건복지부가 이런 사이트에 올라온 광고 2천4백 건을 조사했더니, 44%가 불법이었습니다.
눈이나 코 성형을 하면 지방 이식 시술을 얹어주는 등 고가의 수술에 미용 시술을 끼워파는 이른바 '묶어 팔기'가 가장 많았습니다.
특별 할인, 무료 시술 등의 문구로 현혹하고, 실제로는 사진 촬영이나 후기 작성 등을 요구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
'부작용 없음' , '전 세계 최고' 같은 허위·과장 광고도 있었습니다
모두 소비자를 현혹하는 불법 광고입니다.
[신제은/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과 : "의료는 환자의 생명과 안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사후 모니터링을 할 예정입니다. 불리한 조건이 붙어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해서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선택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이런 불법 광고는 미용시술이나 성형을 부추겨 과도한 비용 지출로 이어집니다.
또, 이런 광고가 청소년이 많이 이용하는 휴대전화와 인터넷에 많은 만큼 청소년에게 왜곡된 미의식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복지부는 적발된 병·의원 대한 행정처분을 의뢰하는 한편, 모든 수술과 시술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 만큼,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고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엄진아입니다.
각종 미용시술, 성형수술이 늘면서 병원마다 경쟁적으로 광고를 늘리고 있습니다.
정부가 이런 의료 광고를 점검했는데, 10건 중 4건이 관련 법규를 무시한 과다 광고, 거짓 광고였습니다.
엄진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미용 시술 상품을 전문으로 소개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입니다.
보톡스, 지방흡입, 레이저 시술 등 갖가지 미용 시술이 나와 있습니다.
보건복지부가 이런 사이트에 올라온 광고 2천4백 건을 조사했더니, 44%가 불법이었습니다.
눈이나 코 성형을 하면 지방 이식 시술을 얹어주는 등 고가의 수술에 미용 시술을 끼워파는 이른바 '묶어 팔기'가 가장 많았습니다.
특별 할인, 무료 시술 등의 문구로 현혹하고, 실제로는 사진 촬영이나 후기 작성 등을 요구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
'부작용 없음' , '전 세계 최고' 같은 허위·과장 광고도 있었습니다
모두 소비자를 현혹하는 불법 광고입니다.
[신제은/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과 : "의료는 환자의 생명과 안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사후 모니터링을 할 예정입니다. 불리한 조건이 붙어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해서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선택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이런 불법 광고는 미용시술이나 성형을 부추겨 과도한 비용 지출로 이어집니다.
또, 이런 광고가 청소년이 많이 이용하는 휴대전화와 인터넷에 많은 만큼 청소년에게 왜곡된 미의식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복지부는 적발된 병·의원 대한 행정처분을 의뢰하는 한편, 모든 수술과 시술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 만큼,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고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엄진아입니다.
-
-
엄진아 기자 aza@kbs.co.kr
엄진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