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 시험 사격”…軍 “미사일”
입력 2019.08.01 (19:03)
수정 2019.08.01 (19: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 매체가 어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시험 발사한 발사체는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라며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합참은 발사체의 비행특성을 보고 판단한 결과라며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라는 평가를 고수하고 있습니다.
북한 발표와 우리 군 당국 평가가 엇갈리면서 대북 정보력 논란도 불거지고 있습니다.
유지향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발사체가 화염을 내뿜으며 차량에서 솟구칩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보는 모니터에는 발사체의 궤적이 포물선을 그리고 있고, 표적을 맞춘듯한 장면도 나옵니다.
북한이 공개한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 시험사격 장면입니다.
[조선중앙TV :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탄의 전술적 제원과 기술적특성이 설계값에 도달하였다는것이 과학적으로 확인되고 무기체계 전반에 대한 전투적용 효과성이 검증되었습니다."]
신형 방사포 외형은 북한이 지난달 25일 발사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과 많이 다릅니다.
앞부분에 유도장치를 장착하는 등 구경 300밀리미터 방사포와 외형이 비슷해 이를 개량한 것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신종우/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 : "과거 300mm 방사포보다 구경을 키운 400mm방사포로 보이는데요. 탄두의 탑재 중량이 늘어나 더 위협적인 신형 방사포를 공개한 것입니다."]
발사 차량 역시 모자이크 처리된 발사대 부분 윤곽을 보면 ENG+발사관이 장착돼 있는 등 방사포와 외형이 비슷합니다.
반면 합참은 발사체의 초기 속도와 포물선 궤적을 봤을 때 지난달 25일 발사된 단거리 탄도 미사일과 유사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북측의 발표와 우리 군 당국의 평가가 엇갈리면서 향후 우리 군의 대북 정보 판단 능력을 두고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북한 매체가 어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시험 발사한 발사체는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라며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합참은 발사체의 비행특성을 보고 판단한 결과라며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라는 평가를 고수하고 있습니다.
북한 발표와 우리 군 당국 평가가 엇갈리면서 대북 정보력 논란도 불거지고 있습니다.
유지향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발사체가 화염을 내뿜으며 차량에서 솟구칩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보는 모니터에는 발사체의 궤적이 포물선을 그리고 있고, 표적을 맞춘듯한 장면도 나옵니다.
북한이 공개한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 시험사격 장면입니다.
[조선중앙TV :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탄의 전술적 제원과 기술적특성이 설계값에 도달하였다는것이 과학적으로 확인되고 무기체계 전반에 대한 전투적용 효과성이 검증되었습니다."]
신형 방사포 외형은 북한이 지난달 25일 발사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과 많이 다릅니다.
앞부분에 유도장치를 장착하는 등 구경 300밀리미터 방사포와 외형이 비슷해 이를 개량한 것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신종우/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 : "과거 300mm 방사포보다 구경을 키운 400mm방사포로 보이는데요. 탄두의 탑재 중량이 늘어나 더 위협적인 신형 방사포를 공개한 것입니다."]
발사 차량 역시 모자이크 처리된 발사대 부분 윤곽을 보면 ENG+발사관이 장착돼 있는 등 방사포와 외형이 비슷합니다.
반면 합참은 발사체의 초기 속도와 포물선 궤적을 봤을 때 지난달 25일 발사된 단거리 탄도 미사일과 유사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북측의 발표와 우리 군 당국의 평가가 엇갈리면서 향후 우리 군의 대북 정보 판단 능력을 두고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 시험 사격”…軍 “미사일”
-
- 입력 2019-08-01 19:06:29
- 수정2019-08-01 19:54:15
![](/data/news/2019/08/01/4254473_40.jpg)
[앵커]
북한 매체가 어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시험 발사한 발사체는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라며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합참은 발사체의 비행특성을 보고 판단한 결과라며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라는 평가를 고수하고 있습니다.
북한 발표와 우리 군 당국 평가가 엇갈리면서 대북 정보력 논란도 불거지고 있습니다.
유지향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발사체가 화염을 내뿜으며 차량에서 솟구칩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보는 모니터에는 발사체의 궤적이 포물선을 그리고 있고, 표적을 맞춘듯한 장면도 나옵니다.
북한이 공개한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 시험사격 장면입니다.
[조선중앙TV :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탄의 전술적 제원과 기술적특성이 설계값에 도달하였다는것이 과학적으로 확인되고 무기체계 전반에 대한 전투적용 효과성이 검증되었습니다."]
신형 방사포 외형은 북한이 지난달 25일 발사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과 많이 다릅니다.
앞부분에 유도장치를 장착하는 등 구경 300밀리미터 방사포와 외형이 비슷해 이를 개량한 것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신종우/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 : "과거 300mm 방사포보다 구경을 키운 400mm방사포로 보이는데요. 탄두의 탑재 중량이 늘어나 더 위협적인 신형 방사포를 공개한 것입니다."]
발사 차량 역시 모자이크 처리된 발사대 부분 윤곽을 보면 ENG+발사관이 장착돼 있는 등 방사포와 외형이 비슷합니다.
반면 합참은 발사체의 초기 속도와 포물선 궤적을 봤을 때 지난달 25일 발사된 단거리 탄도 미사일과 유사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북측의 발표와 우리 군 당국의 평가가 엇갈리면서 향후 우리 군의 대북 정보 판단 능력을 두고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북한 매체가 어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시험 발사한 발사체는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라며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합참은 발사체의 비행특성을 보고 판단한 결과라며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라는 평가를 고수하고 있습니다.
북한 발표와 우리 군 당국 평가가 엇갈리면서 대북 정보력 논란도 불거지고 있습니다.
유지향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발사체가 화염을 내뿜으며 차량에서 솟구칩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보는 모니터에는 발사체의 궤적이 포물선을 그리고 있고, 표적을 맞춘듯한 장면도 나옵니다.
북한이 공개한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 시험사격 장면입니다.
[조선중앙TV :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탄의 전술적 제원과 기술적특성이 설계값에 도달하였다는것이 과학적으로 확인되고 무기체계 전반에 대한 전투적용 효과성이 검증되었습니다."]
신형 방사포 외형은 북한이 지난달 25일 발사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과 많이 다릅니다.
앞부분에 유도장치를 장착하는 등 구경 300밀리미터 방사포와 외형이 비슷해 이를 개량한 것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신종우/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 : "과거 300mm 방사포보다 구경을 키운 400mm방사포로 보이는데요. 탄두의 탑재 중량이 늘어나 더 위협적인 신형 방사포를 공개한 것입니다."]
발사 차량 역시 모자이크 처리된 발사대 부분 윤곽을 보면 ENG+발사관이 장착돼 있는 등 방사포와 외형이 비슷합니다.
반면 합참은 발사체의 초기 속도와 포물선 궤적을 봤을 때 지난달 25일 발사된 단거리 탄도 미사일과 유사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북측의 발표와 우리 군 당국의 평가가 엇갈리면서 향후 우리 군의 대북 정보 판단 능력을 두고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
-
유지향 기자 nausika@kbs.co.kr
유지향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